목차
1. 성 공
1) 생산과 품질관리 측면
2) 경영철학 및 전략 측면
2. TOYOTA 사태와 실패
1) 도요타 사태
2) 거시경제 관점에서의 일본경제 파급효과
3. 생산운영기능의 무엇이 어떻게 중요한가?
1) TQC(종합품질관리)
2) JIT&TPS
3) 과도한 볼륨확장
4. 후기 및 시사점
1) 생산과 품질관리 측면
2) 경영철학 및 전략 측면
2. TOYOTA 사태와 실패
1) 도요타 사태
2) 거시경제 관점에서의 일본경제 파급효과
3. 생산운영기능의 무엇이 어떻게 중요한가?
1) TQC(종합품질관리)
2) JIT&TPS
3) 과도한 볼륨확장
4. 후기 및 시사점
본문내용
하지만 도요타는 이러한 계속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세계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더 높이기 위하여 무리한
볼륨확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볼륨확장을 위해 무리한 공장 확장을 하게 되었고, 해외지점과 부품을 납품하는
아웃소싱 업체에게 도요타 본사의 생산시스템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부품 결함이라는 문제를 초래 하게
되었다. 또한 원가절감을 위하여 제품 개발기간을 단축하게 된 것도 이번 사태의 원인이 되고 있다.
4. 후기 및 시사점
도요타의 생산시스템 자체는 매우 우수한 체제이다. 그것은 위에서 봄과 같이 여러 수상 경력과 리콜 사태
이전의 판매력, 80년대 미국에서의 벤치마킹 사례 등이 입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혁신적인 시스템의 개발로
자동차 제조 산업 전반적으로도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다. 현대에서 도요타의 생산방식을 배우기 위해 도요타의
직원들을 초청한 적이 있다. 현대의 생산 시스템을 둘러본 도요타의 직원은 “나는 지금 현대가 부럽다. 도요타는
원가 절감을 하기 어려울 정도의 생산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생산시설 부분에의 경쟁력 상승은 기대할 수
없지만 지금 내가 보고 있는 현대의 생산 시스템은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너무 많다.” 라고 말할 정도로 자사의
생산 시스템에 대한 신뢰와 자부심이 우수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효율성 높은 시스템에 대한 자부심이
자칫 지나친 것이 이번 사태를 초래하게 된 것은 아닌가 싶다. 도요타의 시스템을 완성한 마지막 요소인 시스템
소프트에 대해서 보면, 그 동안의 개선과 완벽한 품질이 도요타 소프트의 중추적인 개념이었다. 그동안의 시스템에
대한 성과나 업적들의 전 세계적인 호평이 도요타 시스템의 중심인 도요타 소프트의 자만을 초래한 것이다.
획기적인 시스템과 자사의 시스템에 대한 자만은 결국 무리한 해외로의 확장이 되었고 해외 확장 시 좀 더
체계적인 계획안에서 무리한 확장을 지양하고, 단기적인 이익에 연연하지 않고 더 장기적인 계획안에서 사업을
진행해야 했다.
그리고 이번 도요타 사태의 가장 큰 문제로 삼고 있는 것이 품질결함 은폐 의혹이다. 이번 도요타 사태와
더불어 한국에서도 현대차의 급발진으로 추정되는 사고가 있었지만 현대에서의 입장은 지금은 알릴 수 없다
기다려 달라는 말만 할 뿐이다. 이처럼 제품의 문제점이 발견되었을 때 은폐하고 회피하는 것 보다 먼저 발
빠르게 진상을 규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볼륨확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볼륨확장을 위해 무리한 공장 확장을 하게 되었고, 해외지점과 부품을 납품하는
아웃소싱 업체에게 도요타 본사의 생산시스템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부품 결함이라는 문제를 초래 하게
되었다. 또한 원가절감을 위하여 제품 개발기간을 단축하게 된 것도 이번 사태의 원인이 되고 있다.
4. 후기 및 시사점
도요타의 생산시스템 자체는 매우 우수한 체제이다. 그것은 위에서 봄과 같이 여러 수상 경력과 리콜 사태
이전의 판매력, 80년대 미국에서의 벤치마킹 사례 등이 입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혁신적인 시스템의 개발로
자동차 제조 산업 전반적으로도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다. 현대에서 도요타의 생산방식을 배우기 위해 도요타의
직원들을 초청한 적이 있다. 현대의 생산 시스템을 둘러본 도요타의 직원은 “나는 지금 현대가 부럽다. 도요타는
원가 절감을 하기 어려울 정도의 생산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생산시설 부분에의 경쟁력 상승은 기대할 수
없지만 지금 내가 보고 있는 현대의 생산 시스템은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너무 많다.” 라고 말할 정도로 자사의
생산 시스템에 대한 신뢰와 자부심이 우수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효율성 높은 시스템에 대한 자부심이
자칫 지나친 것이 이번 사태를 초래하게 된 것은 아닌가 싶다. 도요타의 시스템을 완성한 마지막 요소인 시스템
소프트에 대해서 보면, 그 동안의 개선과 완벽한 품질이 도요타 소프트의 중추적인 개념이었다. 그동안의 시스템에
대한 성과나 업적들의 전 세계적인 호평이 도요타 시스템의 중심인 도요타 소프트의 자만을 초래한 것이다.
획기적인 시스템과 자사의 시스템에 대한 자만은 결국 무리한 해외로의 확장이 되었고 해외 확장 시 좀 더
체계적인 계획안에서 무리한 확장을 지양하고, 단기적인 이익에 연연하지 않고 더 장기적인 계획안에서 사업을
진행해야 했다.
그리고 이번 도요타 사태의 가장 큰 문제로 삼고 있는 것이 품질결함 은폐 의혹이다. 이번 도요타 사태와
더불어 한국에서도 현대차의 급발진으로 추정되는 사고가 있었지만 현대에서의 입장은 지금은 알릴 수 없다
기다려 달라는 말만 할 뿐이다. 이처럼 제품의 문제점이 발견되었을 때 은폐하고 회피하는 것 보다 먼저 발
빠르게 진상을 규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