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주방기기들과 대형 냉장고와 그릴을 구경하며 음식 만드는 과정을 직접 체험한다. 부산 해운대점의 경우, 방문한 아이들의 이름을 방명록 보드판에 붙이고 다음 방문 때 아이들이 그 이름표를 직접 떼어내면 아이스크림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아웃백의 박계윤 마케팅 팀장은 “아웃백의 키드 투어는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에게 세계의 문화와 문물을 가까이서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며 “어린이들이 꿈과 희망을 키우고 더 넓은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행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 노력. 가족 고객에게는 특별한 일요일이 있다. 어린이 메뉴가 단돈 천원! 2009년 3월부터 실시한 선데이 패밀리 프로그램은 주말 나들이 후 알뜰하고 풍성하게 즐길 수 있는 가족 만찬으로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고객들에게 꾸준히 인기를 모으고 있다.
TV광고가 아웃백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면 런치 메뉴와 할인이벤트는 아웃백을 찾아오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과거 패밀리레스토랑은 고급스럽고 비싸다는 이미지가 강해 대중이 쉽게 접근하기가 부담스러웠지만 저렴한 런치 메뉴가 등장하면서 주고객이 2535세대에서 1825세대로 낮아졌고, 가족 단위는 물론 친구끼리의 모임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가격 부담 때문에 패밀리레스토랑에 가지 않던 고객들이 ‘아웃백’에 가는 계기가 된 것이다.
즉 친구들과 모임 장소를 고민하다가 아웃백으로 결정하고, 가족들이 외식을 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장소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보통 패밀리레스토랑에 갈 때마다 늘 먹던 메뉴만 주문하는 경우가 많았다. 비싼 음식 시켰는데 입맛에 맞지 않으면 괜히 기분 나쁘고 속이 상하기 때문이다. 특히 새로 나온 메뉴는 익숙하지 않으므로 모험을 잘 하지 않게 된다. 가격에 대비해 메뉴를 주문할 때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아웃백에서는 웨이팅 푸드 서비스를 통해 여러 가지 음식을 미리 맛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다양한 메뉴에 관심을 기울이게 하여 다른 메뉴를 주문하게끔 유도하는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나 역시 서비스로 먹어본 음식 맛에 반해 그 날 그 메뉴를 주문하였다.
비성수기 시기가 그리 많거나 길지 않기 때문에 수요가 적은 메뉴를 소비하기 위한 방법을 통해 소멸성을 극복하고 있다.
아웃백 하면 떠오르는 것?
런치 세트메뉴, 생일, 모임, 부쉬맨 브레드, 호주, 캥거루, 친철함, 맛있다, 편하다, 특별하다, 소중하다…….
아웃백은 소비자들이 더 이상 ‘맛‘으로만 선택하지 않고 좀 더 공감각적인 컨셉을 가지며 아웃백이 추구하는 ’가치‘를 느낄 수 있게끔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아웃백에서 모임이나 약속을 잡는다는 것이 기존 음식점의 가장 큰 이유인 단순히 맛만을 추구하러 간다는 것으로 기능을 다 하는 것이 아니라 ‘아웃백에 간다.’라는 말 자체가 소비자의 개별적인 필요와 욕구를 충족 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이상이 되는 동시에 가치가 형성되었다.
패밀리레스토랑에 갔을 때 음식을 남기는 경우가 거의 없는 나와 친구들로서는 식사 후 밖에 나가는 순간 그 패밀리레스토랑에 대한 서비스 가치가 그리 오래 가지 않는다.
아웃백에 가면 손에 항상 부쉬맨 브레드가 든 아웃백 종이가방을 들고 나서기 때문에 ‘나 아웃백 다녀왔어요~.’하고 사람들에게 자랑하는 듯해서 괜히 우쭐해지는 느낌도 받는다.
이처럼 패밀리레스토랑을 찾는 고객들 중 특히 여대생에게는 명품을 가졌을 때 느낄 수 있는 기분과 같이 남과 다른 자신을 아웃백에서는 느낄 수 있다는, 그렇지만 명품과 같은 분수에 넘치는 부정적인 느낌이 아닌 자연스러운 특별함으로 다가갈 수 있는 아웃백만의 컨셉으로 다가가고 있다.
가족 고객의 마음속에는 특별한 날이나 나들이에 외식을 할 경우 고기집을 가기엔 너무 평범하고 뷔페는 너무 과하다는 생각이 들 때 찾아 갈 수 있는 있는 곳으로 위치하고 있다. 조금 더 특별해지고 싶은 날, 오늘 하루가 특별한 날, 꼭 특별한 날이 아니더라도 편안한 마음으로 찾아 갈 수 있는 곳. 그 곳에 아웃백이 있다.
출처
이코노미스트 2004년 06월 11일 742호
이코노미스트 2005년 03월 28일 781호
비즈넷타임즈 2004년 11월 21일 105호
다음 카페 패밀리 레스토랑 카페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홈페이지 http://www.outback.co.kr/
LG경제연구소 www.lgeri.co.kr
아크로팬 아웃백을 알뜰하게 즐기는 다양한 '공략법' 2009년 05월 18일
월간 호텔&레스토랑
외식 경제신문
두 번째 노력. 가족 고객에게는 특별한 일요일이 있다. 어린이 메뉴가 단돈 천원! 2009년 3월부터 실시한 선데이 패밀리 프로그램은 주말 나들이 후 알뜰하고 풍성하게 즐길 수 있는 가족 만찬으로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고객들에게 꾸준히 인기를 모으고 있다.
TV광고가 아웃백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면 런치 메뉴와 할인이벤트는 아웃백을 찾아오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과거 패밀리레스토랑은 고급스럽고 비싸다는 이미지가 강해 대중이 쉽게 접근하기가 부담스러웠지만 저렴한 런치 메뉴가 등장하면서 주고객이 2535세대에서 1825세대로 낮아졌고, 가족 단위는 물론 친구끼리의 모임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가격 부담 때문에 패밀리레스토랑에 가지 않던 고객들이 ‘아웃백’에 가는 계기가 된 것이다.
즉 친구들과 모임 장소를 고민하다가 아웃백으로 결정하고, 가족들이 외식을 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장소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보통 패밀리레스토랑에 갈 때마다 늘 먹던 메뉴만 주문하는 경우가 많았다. 비싼 음식 시켰는데 입맛에 맞지 않으면 괜히 기분 나쁘고 속이 상하기 때문이다. 특히 새로 나온 메뉴는 익숙하지 않으므로 모험을 잘 하지 않게 된다. 가격에 대비해 메뉴를 주문할 때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아웃백에서는 웨이팅 푸드 서비스를 통해 여러 가지 음식을 미리 맛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다양한 메뉴에 관심을 기울이게 하여 다른 메뉴를 주문하게끔 유도하는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나 역시 서비스로 먹어본 음식 맛에 반해 그 날 그 메뉴를 주문하였다.
비성수기 시기가 그리 많거나 길지 않기 때문에 수요가 적은 메뉴를 소비하기 위한 방법을 통해 소멸성을 극복하고 있다.
아웃백 하면 떠오르는 것?
런치 세트메뉴, 생일, 모임, 부쉬맨 브레드, 호주, 캥거루, 친철함, 맛있다, 편하다, 특별하다, 소중하다…….
아웃백은 소비자들이 더 이상 ‘맛‘으로만 선택하지 않고 좀 더 공감각적인 컨셉을 가지며 아웃백이 추구하는 ’가치‘를 느낄 수 있게끔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아웃백에서 모임이나 약속을 잡는다는 것이 기존 음식점의 가장 큰 이유인 단순히 맛만을 추구하러 간다는 것으로 기능을 다 하는 것이 아니라 ‘아웃백에 간다.’라는 말 자체가 소비자의 개별적인 필요와 욕구를 충족 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이상이 되는 동시에 가치가 형성되었다.
패밀리레스토랑에 갔을 때 음식을 남기는 경우가 거의 없는 나와 친구들로서는 식사 후 밖에 나가는 순간 그 패밀리레스토랑에 대한 서비스 가치가 그리 오래 가지 않는다.
아웃백에 가면 손에 항상 부쉬맨 브레드가 든 아웃백 종이가방을 들고 나서기 때문에 ‘나 아웃백 다녀왔어요~.’하고 사람들에게 자랑하는 듯해서 괜히 우쭐해지는 느낌도 받는다.
이처럼 패밀리레스토랑을 찾는 고객들 중 특히 여대생에게는 명품을 가졌을 때 느낄 수 있는 기분과 같이 남과 다른 자신을 아웃백에서는 느낄 수 있다는, 그렇지만 명품과 같은 분수에 넘치는 부정적인 느낌이 아닌 자연스러운 특별함으로 다가갈 수 있는 아웃백만의 컨셉으로 다가가고 있다.
가족 고객의 마음속에는 특별한 날이나 나들이에 외식을 할 경우 고기집을 가기엔 너무 평범하고 뷔페는 너무 과하다는 생각이 들 때 찾아 갈 수 있는 있는 곳으로 위치하고 있다. 조금 더 특별해지고 싶은 날, 오늘 하루가 특별한 날, 꼭 특별한 날이 아니더라도 편안한 마음으로 찾아 갈 수 있는 곳. 그 곳에 아웃백이 있다.
출처
이코노미스트 2004년 06월 11일 742호
이코노미스트 2005년 03월 28일 781호
비즈넷타임즈 2004년 11월 21일 105호
다음 카페 패밀리 레스토랑 카페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홈페이지 http://www.outback.co.kr/
LG경제연구소 www.lgeri.co.kr
아크로팬 아웃백을 알뜰하게 즐기는 다양한 '공략법' 2009년 05월 18일
월간 호텔&레스토랑
외식 경제신문
추천자료
서비스의 의의와 특성
[서비스품질][고객만족]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분석(서비스의 정의 및 특성, 고객만족의 개념...
[무선인터넷][유럽 무선인터넷 사례][MMS][인터넷]유럽의 무선인터넷 사례를 통해 본 무선인...
[지원고용]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필요성,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특성과 지원고용...
[생산관리/생산운영관리A+]아웃백(OUTBACK Stakehouse) 서비스 프로세스 효율화전략 분석
[우리나라 장애인구 현황] 장애인의 현황과 장애인의 특성 및 복지서비스
[경영] 1장. 서비스의 의의와 특성
[장애인복지론] 지적장애인의 정의 및 특성 - 교육보장서비스, 법률, 교육관련 예산, 공동생...
무선인터넷의 향후 대체 서비스의 기술적 특성에 대한 나의 의견
가족복지를 담당하는 주체를 나누어보고 가복복지 서비스를 기능상의 특성에 따라 유형을 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기관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 - 인간서비스 기관들의 특성, 조...
다국적서비스기업의 투자동기, 성장추세, 주요특성 (산업다국적기업의 서비스분야 직접투자 ...
영국 1997년 노동당勞動黨 집권 이전의 지방정부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