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자와 맹자
2. 맹자의 일생
3. 墨子의 兼愛와 孔子의 仁
4. 본성에 대한 규정
5. 四端 (four beginning)
6. 四端 확충의 방법
7. 浩然之氣
8. 맹자의 이상정치와 경제제도
9. 孟子의 反功利
10. 맹자사상의 핵심
2. 맹자의 일생
3. 墨子의 兼愛와 孔子의 仁
4. 본성에 대한 규정
5. 四端 (four beginning)
6. 四端 확충의 방법
7. 浩然之氣
8. 맹자의 이상정치와 경제제도
9. 孟子의 反功利
10. 맹자사상의 핵심
본문내용
반(反)공리(功利:자신에게 이익이 있는것만을 결부)주의)
순자 - 아리스토텔레스(논리적, 현실주의적)
*맹자 - “사람이 배부르게 먹고 따듯한 옷을 입고 편안히 산다고 해도
훌륭한 교육이 없다면 금수와 가깝다.“ 그러므로 선생들이 윤리를 가르쳤다.
- 윤리란 오륜(五倫) :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유학의 추기급인(推己及人:자신을 미루어 남에게 베푼다.)
-가까운것에서부터 먼 것으로 나아감. 부모→남
-인은 차등이 있음.
*묵가(墨家)
-죄수나 노종자같은 하층민들으르 주 구성원으로 하는 집단
공리주의적, 겸애(兼愛), 박애주의
-겸애는 평등주의에 기반, 모든이를 똑같이 사랑,
남에대한 사랑은 부모에 대한 사랑과 같아야..
-유가는 차등적 사랑 강조
-巫馬者가 묵자에게 자신은 모든 이를 동등하게 사랑하는 겸애를 실천할 수 없습니다.
→겸애자체가 실제적으로 실천하기 어려움을 반영(인간의 정서반영)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
1)근거? 그 근거의 근거는 무엇인가?(계속적 탐구)
2)기준(어느정도 받아들여야함. 계속적 탐구속에서도 기준은 존재)
*맹자는 인성은 두가지로 나뉜다고 말함.
욕망, 본능(짐승적) / 선(인성)
*사단(四端) - 네가지 시작, 기본이 되는 것,
성숙한 인간이 되기위한 가장 기본적인 네가지 마음.
1)측은지심(測隱之心: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 : 인지단(仁之端:인의 시작이다.)
2)수오지심(羞惡之心:옮지 못함을 부끄러워하는 마음) : 의지단(義之端)
3)사양지심(辭讓之心:사양하는 마음) : 예지단(禮之端)
4)시비지심(是非之心:잘못을 가릴 수 있는 마음) : 지지단(智之端)
→인지단, 의지단, 예지단, 지지단을 합쳐 사덕(四德)이라 일컬음.
-사단은 배워서 아는 것이 아니다. → 양지(良志), 양능(良能)
-사단(四端)확충 →도적적 인간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남을 참지못하는 마음) - 남의 고통을 참지 못하는 마음.
*명경(明鏡)
-인간의 본성은 맑은 거울과 같다. 하지만 오래된 거울이 때가 묻듯이,
자라면서 환경, 습관에 의해 흐려진다. 따라서 교육을 통해 사단의 확충해야한다.
사리(私利), 사욕(私慾), 사심(私心)을 없애야 한다.
吾十有五而志於學에서 於자를 于로
六十而順耳에서 順耳을 耳順으로
수정
*공도자(公都子)왈 “다 똑같은 사람인데 누구는 대인이 되고 누구는 소인이 됩니까.”
맹자왈 “대체(大體:마음, 사단)를 따르면 대인(大人)이 되고
소체(小體:감각, 본능)를 따르면 소인(小人)이 된다.”
*사단 확충의 방법
1)부동심(不動心:마음을 동요하지 않게 바로잡음.)
-공자의 논어의 불혹(不惑), 종심소욕 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와 같다.
2)구방심(求放心:놓아버린 마음을 찾아옴.)
3)존심(存心)
-진심, 지성, 지천"이란 말을 씁니다.
이 말은 맹자에 나오는 말인데 전문의 해석은 이렇습니다.
"자신의 마음을 다 발휘한 사람은 자신의 본성을 알게 되고, 본성을 알면 하늘을 알게 된다. 자신의 마음을 보존하고 본성을 함양하는 것이 곧 하늘을 섬기는 방법이다. 단명 과 장수에 상관하지 않고 오직 수신(도덕적 수양)함으로써 천명을 기다리는 것이 곧 안 심입명의 방법이다." 여기서 "자신의 마음을 보존"한다는 것이 "존심"이고 이것은 4단을 확충해 인의예지의 4덕의 작용을 발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사람이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선한 본성을 잘 견지하고 깨달아 잘 발휘하는 것이 하늘에 대한 인간의 당연 한 의무라는 것이 이 글(혹은 유학)의 요지입니다.
4)양기(養氣:기를 기른다. 어떤기?→호연지기!)
-맹자에 호연지기(浩然之氣), 호연지기를 기른 사람을 대장부(大丈夫)
cf)논어
20-지어학(至於學:학문에 뜻을 두다.)
30-이립(而立:가정과 사회에 모든 기반을 닦는다.)
40-불혹(不惑:세상일에 미혹함이 없다.)
50-지천명(知天命:천명을 알게된다.)
60-이순(耳順:생각하는 모든 것이 원만하여 무슨 일이든 들으면 곧 이해가 된다.)
70-종심소욕 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마음이 하고자하는 대로 행하되 법도를 뛰어 넘지 않는다)
*호연지기의 요걸
1)명도 : 도를 밝힘.
2)집의 : 의를 모음. 의를 실천함으로 의가 모여짐.
3)물정 : '正'은 '止'(그치다)의 뜻이라는 해석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호연지기를 배양하기 위해서는 의를 축적하고(집의), 조급해하거나 서둘 지 말며(勿助長), 중단하지 말아야(勿正) 한다는 의미겠지요.
4)물망 : 사단확충행위, 인간의 본성, 호연지기, 명도, 집의와 같은 방법적 부분까지도
잊지않고 수양하는 것.
5)물조 : 조장하지 않는다. 호연지기는 자연스러운것, 억지로 해서는X
-명도와 집의는 적극적, 나머지는 소극적
不忍人之心으로
수정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에서 비롯된 불인인지정
-남의 고통을 참을 수 없는 마음이 있기에 그것을 다스려주는 정치가 생겨남.
*왕도정치(王道政治)↔패도정치(覇道政治)
-왕도정치는 자기로부터 시작
*맹자왈
-덕 대신에 폭력을 사용하는 자는 패이다. 덕이 있어서 인을 실천하는 자는 왕이다.
힘으로 사람을 복종시키면 그들은 심복하지 않고 오직 겉으로만 그리할 것이다.
그것은 거역할만한 힘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덕으로서 남을 따르게 한다면 그들은
진심으로 기뻐할 것이고 수많은 제자들이 공자에게 그리했듯이 자발적으로 복종하게
될 것이다.(반공리)
*맹자에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불인인지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정치는 오십보백보
*民爲貴 社稷次之 君爲輕(민위귀, 사직차지 군위경)
*역성혁명(易姓革命) - 백성의 뜻에 맞지않으면 성을 바꾸는 혁명도 가능하다.
*무항산 무항심(無恒産 無恒心:일정한 생업이 없으면 변함없는 지조가 있을 수 없다.)
-백성들의 경제적 부분에 관심(정전법(井田法)-시행은X)
*묵자는 유가의 후장(厚葬:후하게 장사지냄), 구상(久喪:오랫동안 상을지냄) 비판
-절장(節葬), 단상(短喪)
*1)만물개비어아의
2)추기급인을 통해서 누구나 요순이 될 수 있다.
3)
*공자 내성만 강조
맹자는 내성(內性)으로부터 외왕(外王)으로 나아감. - 개개인에서 국가로
순자 - 아리스토텔레스(논리적, 현실주의적)
*맹자 - “사람이 배부르게 먹고 따듯한 옷을 입고 편안히 산다고 해도
훌륭한 교육이 없다면 금수와 가깝다.“ 그러므로 선생들이 윤리를 가르쳤다.
- 윤리란 오륜(五倫) :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유학의 추기급인(推己及人:자신을 미루어 남에게 베푼다.)
-가까운것에서부터 먼 것으로 나아감. 부모→남
-인은 차등이 있음.
*묵가(墨家)
-죄수나 노종자같은 하층민들으르 주 구성원으로 하는 집단
공리주의적, 겸애(兼愛), 박애주의
-겸애는 평등주의에 기반, 모든이를 똑같이 사랑,
남에대한 사랑은 부모에 대한 사랑과 같아야..
-유가는 차등적 사랑 강조
-巫馬者가 묵자에게 자신은 모든 이를 동등하게 사랑하는 겸애를 실천할 수 없습니다.
→겸애자체가 실제적으로 실천하기 어려움을 반영(인간의 정서반영)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
1)근거? 그 근거의 근거는 무엇인가?(계속적 탐구)
2)기준(어느정도 받아들여야함. 계속적 탐구속에서도 기준은 존재)
*맹자는 인성은 두가지로 나뉜다고 말함.
욕망, 본능(짐승적) / 선(인성)
*사단(四端) - 네가지 시작, 기본이 되는 것,
성숙한 인간이 되기위한 가장 기본적인 네가지 마음.
1)측은지심(測隱之心: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 : 인지단(仁之端:인의 시작이다.)
2)수오지심(羞惡之心:옮지 못함을 부끄러워하는 마음) : 의지단(義之端)
3)사양지심(辭讓之心:사양하는 마음) : 예지단(禮之端)
4)시비지심(是非之心:잘못을 가릴 수 있는 마음) : 지지단(智之端)
→인지단, 의지단, 예지단, 지지단을 합쳐 사덕(四德)이라 일컬음.
-사단은 배워서 아는 것이 아니다. → 양지(良志), 양능(良能)
-사단(四端)확충 →도적적 인간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남을 참지못하는 마음) - 남의 고통을 참지 못하는 마음.
*명경(明鏡)
-인간의 본성은 맑은 거울과 같다. 하지만 오래된 거울이 때가 묻듯이,
자라면서 환경, 습관에 의해 흐려진다. 따라서 교육을 통해 사단의 확충해야한다.
사리(私利), 사욕(私慾), 사심(私心)을 없애야 한다.
吾十有五而志於學에서 於자를 于로
六十而順耳에서 順耳을 耳順으로
수정
*공도자(公都子)왈 “다 똑같은 사람인데 누구는 대인이 되고 누구는 소인이 됩니까.”
맹자왈 “대체(大體:마음, 사단)를 따르면 대인(大人)이 되고
소체(小體:감각, 본능)를 따르면 소인(小人)이 된다.”
*사단 확충의 방법
1)부동심(不動心:마음을 동요하지 않게 바로잡음.)
-공자의 논어의 불혹(不惑), 종심소욕 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와 같다.
2)구방심(求放心:놓아버린 마음을 찾아옴.)
3)존심(存心)
-진심, 지성, 지천"이란 말을 씁니다.
이 말은 맹자에 나오는 말인데 전문의 해석은 이렇습니다.
"자신의 마음을 다 발휘한 사람은 자신의 본성을 알게 되고, 본성을 알면 하늘을 알게 된다. 자신의 마음을 보존하고 본성을 함양하는 것이 곧 하늘을 섬기는 방법이다. 단명 과 장수에 상관하지 않고 오직 수신(도덕적 수양)함으로써 천명을 기다리는 것이 곧 안 심입명의 방법이다." 여기서 "자신의 마음을 보존"한다는 것이 "존심"이고 이것은 4단을 확충해 인의예지의 4덕의 작용을 발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사람이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선한 본성을 잘 견지하고 깨달아 잘 발휘하는 것이 하늘에 대한 인간의 당연 한 의무라는 것이 이 글(혹은 유학)의 요지입니다.
4)양기(養氣:기를 기른다. 어떤기?→호연지기!)
-맹자에 호연지기(浩然之氣), 호연지기를 기른 사람을 대장부(大丈夫)
cf)논어
20-지어학(至於學:학문에 뜻을 두다.)
30-이립(而立:가정과 사회에 모든 기반을 닦는다.)
40-불혹(不惑:세상일에 미혹함이 없다.)
50-지천명(知天命:천명을 알게된다.)
60-이순(耳順:생각하는 모든 것이 원만하여 무슨 일이든 들으면 곧 이해가 된다.)
70-종심소욕 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마음이 하고자하는 대로 행하되 법도를 뛰어 넘지 않는다)
*호연지기의 요걸
1)명도 : 도를 밝힘.
2)집의 : 의를 모음. 의를 실천함으로 의가 모여짐.
3)물정 : '正'은 '止'(그치다)의 뜻이라는 해석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호연지기를 배양하기 위해서는 의를 축적하고(집의), 조급해하거나 서둘 지 말며(勿助長), 중단하지 말아야(勿正) 한다는 의미겠지요.
4)물망 : 사단확충행위, 인간의 본성, 호연지기, 명도, 집의와 같은 방법적 부분까지도
잊지않고 수양하는 것.
5)물조 : 조장하지 않는다. 호연지기는 자연스러운것, 억지로 해서는X
-명도와 집의는 적극적, 나머지는 소극적
不忍人之心으로
수정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에서 비롯된 불인인지정
-남의 고통을 참을 수 없는 마음이 있기에 그것을 다스려주는 정치가 생겨남.
*왕도정치(王道政治)↔패도정치(覇道政治)
-왕도정치는 자기로부터 시작
*맹자왈
-덕 대신에 폭력을 사용하는 자는 패이다. 덕이 있어서 인을 실천하는 자는 왕이다.
힘으로 사람을 복종시키면 그들은 심복하지 않고 오직 겉으로만 그리할 것이다.
그것은 거역할만한 힘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덕으로서 남을 따르게 한다면 그들은
진심으로 기뻐할 것이고 수많은 제자들이 공자에게 그리했듯이 자발적으로 복종하게
될 것이다.(반공리)
*맹자에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불인인지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정치는 오십보백보
*民爲貴 社稷次之 君爲輕(민위귀, 사직차지 군위경)
*역성혁명(易姓革命) - 백성의 뜻에 맞지않으면 성을 바꾸는 혁명도 가능하다.
*무항산 무항심(無恒産 無恒心:일정한 생업이 없으면 변함없는 지조가 있을 수 없다.)
-백성들의 경제적 부분에 관심(정전법(井田法)-시행은X)
*묵자는 유가의 후장(厚葬:후하게 장사지냄), 구상(久喪:오랫동안 상을지냄) 비판
-절장(節葬), 단상(短喪)
*1)만물개비어아의
2)추기급인을 통해서 누구나 요순이 될 수 있다.
3)
*공자 내성만 강조
맹자는 내성(內性)으로부터 외왕(外王)으로 나아감. - 개개인에서 국가로
추천자료
불교사상의 기본 이론
동양전통 무도수련의 변화와 현대적 의미에 관한 소고
동서양사상에서의 환경윤리 비교
공자사상의 현대적 재해석
[유토피아][유토피아 발상][유토피아 개념][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동양과 서양의 유토피아]...
[주자, 주자의 사상] 주자의 사상과 철학
[도가사상]道(도)의 정의, 道(도)의 깨달음, 도가사상(노장사상)의 개념, 도가사상(노장사상)...
[동양문화] 그들이 본 동양 - 觀識문화 캐릭터에서 드러나는 동양인에 대한 서양인들의 특징...
[우주관][프톨레마이오스 우주관][근대시대 우주관][서양 우주관][동양 우주관][도가 우주관]...
[인간관][플라톤 인간관][정산종사 인간관][순자 인간관][동양 인간관][서양][불교][성리학]...
[동양][동양인간관][동양우주관][동양시공간][동양과학]동양과 동양인간관, 동양과 동양우주...
[환경관][동양][서양][고구려][정산종사][유교적 환경관][도교적 환경관][불교적 환경관][유...
[중화사상, 중화사상 의미, 중화사상 역사, 중화사상의 민족중심문화, 중화사상의 우월의식, ...
한용운(韓龍雲)이 말하는 사상 연구 - 침묵에 관한 연구, 시에 나타난 님의 견해, 승려 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