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 학파의 기원
2. 묵자:공자 최초의 반대자
3. 명가(名家)와 변자(辯者)
4. 음양가(陰陽家)와 고대 중국의 정치
5. 순자
6. 한비자와 법가
7. 한 제국의 이론가:동중서
2. 묵자:공자 최초의 반대자
3. 명가(名家)와 변자(辯者)
4. 음양가(陰陽家)와 고대 중국의 정치
5. 순자
6. 한비자와 법가
7. 한 제국의 이론가:동중서
본문내용
제6강 유가 이외의 학파들
문제: 학자집단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 유가
*1) 도덕가는 도가
*묵자가 말하는 난세의 원인 - 사람들이 사랑하지 않아서..
*유가는 별애(別愛), 묵가는 겸애(兼愛)
*도가의 천지불인(天地不仁:천지는 인하지 않는다.)
-천지는 자연그대로의 천지이기 때문에, 하늘이 가려서 누구를 더 사항하지 않는다.
자연이 베푸는 사랑은 평등하다. (유가의 사상과 대립, 묵가와 유사)
*절용 - 쓰는 것을 절제
1)생산의 제한 : 쓸데없는 생산 제한,
재물의 낭비가 없고 백성의 수고로움이 없을 때 이익 상승
2)소비의 제한 : 쓸데없는 생산이 없어지면 소비도 없어짐.
3)노동의 제한 : 백성들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 노동은 사회에 보탬이 되지X
*비유 - 유가를 비판, 비공 - 전쟁반대
1)유가의 삼강오륜이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 한 오히려 사악한 것.
2)천명론(운명론)
-여러 관리들이 운명을 믿으면 직분에 태만, 민중들이 이것을 믿으면 일에 태만.
관리들이 다스리지 않으면 어지러워지고 농사가 늦어지면 가난해진다.
(신비주의적 관점에 대한 비판)
3)음악이 백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하여 배척, 예(ex.상례) 부정
-유가들은 예와 악을 번거롭게 하여 사람들을 어지럽히고, 오랫동안 상을 치루며 거짓을 품으로 부모를 속인다. 운명에 입각하여 가난에 빠져도 고상한체하며, 근본을 어기고 할 일을 버리면서도 태만하고 거만함을 편히 즐기고 먹고 마시는 것을 탐하면서도 일하 는것은 게으르다.
4)공리주의적 입장에서 유학자들의 박학다식함에 비해 논의하는 것은
세상일에 이롭지 않음을 비판
5)공자 개인의 행위를 비판
-무릇 굶주리고 공궁할때는 망령되게 치하여 제 몸부터 사리기를 불사, 넉넉할 때는
거짓행동으로 자신을 꾸미니 더럽고 사악하고 거짓되기가 이보다 더 큰 것이 있겠는가
*하위삼표, 자맹자언왈, 유본지자(근본), 유원지자(근원), 유용지자(실천,이용), 우하본지
상본지우보자성왕지사, 우하원지, 하원찰백성이목지실, 어하용지,
발이위형정, 관기중국가백성인민지리, 차소위언유삼표야
*삼표론
-근거
-근원(실증)
-이용
*묵자는 귀신이 존재 긍정(삼표에 의해)
-근거(과거 문헌)
-근원(백성들이 듣고본 사실)
-이용(귀신의 존재 인간에게 이를 가져다줌.)
*운명론비판 - 정치적 계략
*명가 : 명(이름)과 실(실제적 대상)의 관계에 주목
*혜시
-제1사 : 실제의 사물간의 차이라는 것은 가변적
1. 세상의 실제하는 구체적 사물의 성질과 차이는 모두 상대적이며, 가변적.
2. 절대적이고, 불변적 개념은 사유를 통한 "명제 또는 정의"를 통해서 가능하며,
실제 경험, 실제 사물을 통해서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
-제3사 : 상대적 개념
∴우리가 경험세계속에서 이성과 지식을 통해서 무언가를 알려고 할 때
그 지식은 상대적 가변적,
*공손룡
1)백마비마(흰말은 말이 아니다.)
- 말은 보편자로서의 말→백마는 보편자로서의 말이 아니다→백마는 말이 아니다.
2)수레바퀴는 땅에 닿지 않는다.
- 땅은 보편자로서의 땅, 수레바퀴는 모든 땅을 가지 않는다. 패러독스적
*혜시와 공손룡 모두 인간의 이성을 통해 세계를 관찰해서 얻어낸 결과라는 점에서
유가나 다른 학파와 다른 모습
*도가는 명가들의 말들에 반대하면서도 명가들이 찾고자 했던 보편자에 대한
탐색을 본격적으로 연구(명가의 비판자이면서도 계승자)
*오덕종시설 : 상생(相生), 상극(相剋)
*상극관계는 역대 왕조의 변화와도 일치
*객관식문제: 오행 5가지를 묻는 문제
정답: 목, 화, 토, 금, 수
*순자 제천명이용지(制天命而用之:천명을 제어해서 유리하게 그것을 이용한다.)
-순응주의 거부, 인간의 노력 강조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 악은 사욕을 뜻하기도..그 욕망 절제위해서도 예가 필요
*정명 강조(외부적), 명은 법(法)과 형(形) cf)인은 내부적 측면
*존군(尊君)론 - 사회질서위해 군왕의 절대권력 필요 주장, 민귀론도 주장
*법가사상의 출발(한비자가 순자의 제자)
하지만 순자는 절대권력이 어디서부터 나오느냐는 민귀(民貴)론을 주장
한비자는 주로 존군론, 철저한 형법과 법률로 통제되는 사회
*객관식 문제: 법, 세, 술
*형벌(刑罰), 상벌(賞罰)
*유가의 삼강오륜과 일반적 도덕법칙 인정,
사람이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스스로 도덕법칙의 방향으로 본성을 발현하지 못한다고 봄. 그래서 형벌을 잘 이용해야..
*음양가 이론 - 삼통설
흑, 백, 적 왕통의 순환
*군왕의 지위자체를 하늘이 부여한 것으로..그럼에도 절대왕권 견제위해
천인감응설(하늘과인간이 서로 감응, 하늘의 구조를 인간이 똑같이 타고났다, 현대의 한의 학에서도 사용)에 기초한 재이설(임금이 잘못된 정치를 하면 하늘이 경고)주장.
→절대왕권에 제동
문제: 학자집단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 유가
*1) 도덕가는 도가
*묵자가 말하는 난세의 원인 - 사람들이 사랑하지 않아서..
*유가는 별애(別愛), 묵가는 겸애(兼愛)
*도가의 천지불인(天地不仁:천지는 인하지 않는다.)
-천지는 자연그대로의 천지이기 때문에, 하늘이 가려서 누구를 더 사항하지 않는다.
자연이 베푸는 사랑은 평등하다. (유가의 사상과 대립, 묵가와 유사)
*절용 - 쓰는 것을 절제
1)생산의 제한 : 쓸데없는 생산 제한,
재물의 낭비가 없고 백성의 수고로움이 없을 때 이익 상승
2)소비의 제한 : 쓸데없는 생산이 없어지면 소비도 없어짐.
3)노동의 제한 : 백성들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 노동은 사회에 보탬이 되지X
*비유 - 유가를 비판, 비공 - 전쟁반대
1)유가의 삼강오륜이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 한 오히려 사악한 것.
2)천명론(운명론)
-여러 관리들이 운명을 믿으면 직분에 태만, 민중들이 이것을 믿으면 일에 태만.
관리들이 다스리지 않으면 어지러워지고 농사가 늦어지면 가난해진다.
(신비주의적 관점에 대한 비판)
3)음악이 백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하여 배척, 예(ex.상례) 부정
-유가들은 예와 악을 번거롭게 하여 사람들을 어지럽히고, 오랫동안 상을 치루며 거짓을 품으로 부모를 속인다. 운명에 입각하여 가난에 빠져도 고상한체하며, 근본을 어기고 할 일을 버리면서도 태만하고 거만함을 편히 즐기고 먹고 마시는 것을 탐하면서도 일하 는것은 게으르다.
4)공리주의적 입장에서 유학자들의 박학다식함에 비해 논의하는 것은
세상일에 이롭지 않음을 비판
5)공자 개인의 행위를 비판
-무릇 굶주리고 공궁할때는 망령되게 치하여 제 몸부터 사리기를 불사, 넉넉할 때는
거짓행동으로 자신을 꾸미니 더럽고 사악하고 거짓되기가 이보다 더 큰 것이 있겠는가
*하위삼표, 자맹자언왈, 유본지자(근본), 유원지자(근원), 유용지자(실천,이용), 우하본지
상본지우보자성왕지사, 우하원지, 하원찰백성이목지실, 어하용지,
발이위형정, 관기중국가백성인민지리, 차소위언유삼표야
*삼표론
-근거
-근원(실증)
-이용
*묵자는 귀신이 존재 긍정(삼표에 의해)
-근거(과거 문헌)
-근원(백성들이 듣고본 사실)
-이용(귀신의 존재 인간에게 이를 가져다줌.)
*운명론비판 - 정치적 계략
*명가 : 명(이름)과 실(실제적 대상)의 관계에 주목
*혜시
-제1사 : 실제의 사물간의 차이라는 것은 가변적
1. 세상의 실제하는 구체적 사물의 성질과 차이는 모두 상대적이며, 가변적.
2. 절대적이고, 불변적 개념은 사유를 통한 "명제 또는 정의"를 통해서 가능하며,
실제 경험, 실제 사물을 통해서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
-제3사 : 상대적 개념
∴우리가 경험세계속에서 이성과 지식을 통해서 무언가를 알려고 할 때
그 지식은 상대적 가변적,
*공손룡
1)백마비마(흰말은 말이 아니다.)
- 말은 보편자로서의 말→백마는 보편자로서의 말이 아니다→백마는 말이 아니다.
2)수레바퀴는 땅에 닿지 않는다.
- 땅은 보편자로서의 땅, 수레바퀴는 모든 땅을 가지 않는다. 패러독스적
*혜시와 공손룡 모두 인간의 이성을 통해 세계를 관찰해서 얻어낸 결과라는 점에서
유가나 다른 학파와 다른 모습
*도가는 명가들의 말들에 반대하면서도 명가들이 찾고자 했던 보편자에 대한
탐색을 본격적으로 연구(명가의 비판자이면서도 계승자)
*오덕종시설 : 상생(相生), 상극(相剋)
*상극관계는 역대 왕조의 변화와도 일치
*객관식문제: 오행 5가지를 묻는 문제
정답: 목, 화, 토, 금, 수
*순자 제천명이용지(制天命而用之:천명을 제어해서 유리하게 그것을 이용한다.)
-순응주의 거부, 인간의 노력 강조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 악은 사욕을 뜻하기도..그 욕망 절제위해서도 예가 필요
*정명 강조(외부적), 명은 법(法)과 형(形) cf)인은 내부적 측면
*존군(尊君)론 - 사회질서위해 군왕의 절대권력 필요 주장, 민귀론도 주장
*법가사상의 출발(한비자가 순자의 제자)
하지만 순자는 절대권력이 어디서부터 나오느냐는 민귀(民貴)론을 주장
한비자는 주로 존군론, 철저한 형법과 법률로 통제되는 사회
*객관식 문제: 법, 세, 술
*형벌(刑罰), 상벌(賞罰)
*유가의 삼강오륜과 일반적 도덕법칙 인정,
사람이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스스로 도덕법칙의 방향으로 본성을 발현하지 못한다고 봄. 그래서 형벌을 잘 이용해야..
*음양가 이론 - 삼통설
흑, 백, 적 왕통의 순환
*군왕의 지위자체를 하늘이 부여한 것으로..그럼에도 절대왕권 견제위해
천인감응설(하늘과인간이 서로 감응, 하늘의 구조를 인간이 똑같이 타고났다, 현대의 한의 학에서도 사용)에 기초한 재이설(임금이 잘못된 정치를 하면 하늘이 경고)주장.
→절대왕권에 제동
추천자료
불교사상의 기본 이론
동양전통 무도수련의 변화와 현대적 의미에 관한 소고
동서양사상에서의 환경윤리 비교
공자사상의 현대적 재해석
[유토피아][유토피아 발상][유토피아 개념][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동양과 서양의 유토피아]...
[주자, 주자의 사상] 주자의 사상과 철학
[도가사상]道(도)의 정의, 道(도)의 깨달음, 도가사상(노장사상)의 개념, 도가사상(노장사상)...
[동양문화] 그들이 본 동양 - 觀識문화 캐릭터에서 드러나는 동양인에 대한 서양인들의 특징...
[우주관][프톨레마이오스 우주관][근대시대 우주관][서양 우주관][동양 우주관][도가 우주관]...
[인간관][플라톤 인간관][정산종사 인간관][순자 인간관][동양 인간관][서양][불교][성리학]...
[동양][동양인간관][동양우주관][동양시공간][동양과학]동양과 동양인간관, 동양과 동양우주...
[환경관][동양][서양][고구려][정산종사][유교적 환경관][도교적 환경관][불교적 환경관][유...
[중화사상, 중화사상 의미, 중화사상 역사, 중화사상의 민족중심문화, 중화사상의 우월의식, ...
한용운(韓龍雲)이 말하는 사상 연구 - 침묵에 관한 연구, 시에 나타난 님의 견해, 승려 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