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파견사업주등에 대한 사업주로서의 실체 판단
3. 사용사업주등의 지휘․명령에 대한 판단
2. 파견사업주등에 대한 사업주로서의 실체 판단
3. 사용사업주등의 지휘․명령에 대한 판단
본문내용
근태 관리권 및 징계권
휴가, 결근, 조퇴, 외출, 지각원, 출근부, 기타 징계관련 서류 등의 확인을 통해 판단한다.
4) 업무수행에 대한 평가권
업무수행 및 실적에 대한 평가서, 파견사업주등의 직원이 현장에서 감독평가하는지 여부, 잘못된 업무수행이 발견된 경우에 있어서의 조치 관행 등을 확인하여 판단한다.
5) 연장휴일야간근로 등의 근로시간 결정권
휴가, 결근, 조퇴, 외출, 지각원, 출근부, 기타 징계관련 서류 등의 확인을 통해 판단한다.
4) 업무수행에 대한 평가권
업무수행 및 실적에 대한 평가서, 파견사업주등의 직원이 현장에서 감독평가하는지 여부, 잘못된 업무수행이 발견된 경우에 있어서의 조치 관행 등을 확인하여 판단한다.
5) 연장휴일야간근로 등의 근로시간 결정권
키워드
추천자료
업무상 재해인정기준
근기법상의 근로자 및 사용자
업무상재해의 인정기준에 관한 쟁점
비정규직
도급근로자의 법적 보호 방안 검토
우리나라에서의 비정규직 근로자 보호 내용
특수고용직의 근로자성에 대하여
재해보상시 업무상재해의 인정기준
근로자의 의의
특수고용과 고용형태, 특수고용과 근로자의 개념, 특수고용노동자의 근로자성 판결 근거와 판...
특수고용관계에 있는 자의 근로자성
[간접고용][간접고용의 유형][간접고용의 목적][미국의 간접고용 사례][간접고용 규제의 우선...
이혼부부와 자녀사이의 법률문제, 사용자와 근로자
계약직근로자(기간제, 비정규직노동자)의 노동, 계약직근로자(기간제, 비정규직노동자)의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