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지도C]유아교육기관의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지도계획안을 전체 활동과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놀이지도C]유아교육기관의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지도계획안을 전체 활동과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놀이 지도
1. 놀이의 개념
2. 놀이의 동기
3. 놀이이론
4. 놀이지도
5. 놀이지도 방법

Ⅲ. 유아교육기관의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지도계획안을 전체 활동과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구성하여 제시

[팀별로 실크 천 통과하기 놀이(상상속의 눈)]

Ⅳ.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내려올 수 있도록 실크를 잡은 채 두 팔을 가볍게 내린다.
3. B팀은 실크를 통과하면서 실크의 부드러움을 느끼면서 실크가 바닥으로 떨어지기 전에 실크 사이를 통과한다.
4. 실크를 다 통과했을 때 자신이 몇 번 통과했는지 알 수 있도록 막대 판에 막대를 꽂는다.
* A팀과 B팀은 실크를 몇 번 통과했을 때 천 잡이를 바꿀지 미리 의논한다.
5. B팀이 다 통과했다면 A팀과 바꾸어 천 잡이가 된다.
6. A팀도 실크를 통과하면서 눈 내리는 모습과 실크의 움직임을 느끼면서 활동한다.
B팀과 똑같이 한 번씩 통과할 때마다 막대를 꽂는다.
7. 규칙대로 다 통과했다면 유아는 뒷정리 하고 모이거나, 의논해서 한 번 더 반복해서 상상의 눈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또는 교사가 놀이의 종결을 알리는 음을 들려주면 유아는 뒷정리를 하고 원으로 모인다.
평가
* 유아가 실크의 움직임이 하늘에서 내리는 눈과는 다르게 어떠한 느낌을 가지고 활동을 이루어가는 지 살펴본다.
* 실크를 통과하는 횟수가 규칙에 맞게 지켜지는 지 살펴본다.
유의점
* 유아와의 신체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확장활동
* 천 잡이는 앉아서 실크를 양손에 잡는다.
실크가 바닥에 닿이도록 내려놓고 가볍게 실크를 살짝 들어 올렸다가 내려 놓으면 잔잔한 물결이 일어나게 되는 데 A팀 유아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일 때 실크의 움직임에 따라 각자 자유롭게 실크의 움직임에 따른 느낌을 신체활동으로 표현해 볼 수 있다.
(예: 실크의 움직임이 눈길을 걷는 느낌이었다면 (또는 물결치는 모습) 그 느낌을 가지고 걸어보거나 자신이 원하는 행동을 취해서 왔다 갔다 할 수 있다.)
Ⅳ. 결 론
실외자유놀이란 유아들이 활발하게 움직이며 탐색활동을 하는 놀이 활동으로 바깥놀이라고도 한다.
실내와 실외의 균형 있는 활동은 유아들에게 보다 풍부한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고 놀이의 발달수준을 높여 나갈 수 있다.
실외 놀이터란 유치원 전체공간에서 건물을 제외한 나머지 대지를 말한다.(이기숙, 1993)
실외놀이터의 필요성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언급되어 왔다. 그중 Baker(1966)는 모든 유아는 위험 부담 없이 뛰어다닐 수 있는 자유와 놀잇감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자유를 필요로 하므로 좋은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실외 놀이터에서 유아들이 충분히 놀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Sutton-Smith(1990) 역시 실외 놀이터에 대해 다른 사람을 모방하고 탐구, 실험, 구성을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곳으로 강조하였다. 또한 Moore(1992)는 놀이를 장려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실외 놀이 환경을 창조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실외 놀이에서 남아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실내보다 더 복잡한 구조를 나타낸다고 지적하면서 학문적 성취를 위해 실외활동의 시간을 단축시키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실외활동이 유아교육과정에서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Tizard, Phillips와 Plewis, 1976).
이와 같이 실외 놀이터는 공간적으로 실내와 다른 특징을 지니기 때문에 유아들에게 독특한 놀이 경험을 제공 할 수 있다. 실내 놀이공간과 달리 실외놀이공간만이 갖는 이점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이기숙 1985; 지혜련,1980; 지혜련 김온기,1990; Henniger,1985; Myers, 1985; Paley,1984).
첫째, 신체적 발달을 위한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실외놀이공간은 실내 놀이공간보다 대근육 운동이나 신체적 활동을 허용한다. 잘 조직된 놀이터에서 유아들은 체육시간보다 더 적극적이며 활발한 활동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실외 놀이터는 단순히 대근육 활동을 위한 공간의 의미를 벗어나 자발적인 신체적 활동을 하도록 하는 공간이다.
둘째, 자연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자연학습 장소이다. 이것은 어떤 실내 환경과 비슷한 움직임과 전적으로 다르다. 또한 신선한 공기, 벽과 천장이 없는 공간, 흙 그 자체의 특성은 실외환경만이 주는 생생한 요소이다
셋째, 실외 놀이터는 신체활동과 자연학습에 매우 중요하지만 전형적인 실내 활동들도 개방공간으로 확장시켜 실시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내 활동들이 실외 놀이공간에서도 실시될 수 있으며 실외의 개방된 공간은 마음껏 움직일 수 있고 소음에 긴장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실내에서 불가능한 여러 가지 활동을 첨가해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협동놀이가 교육과정의 목적이라면 교사의 계획에 실내 환경뿐만 아니라 실외환경 모두가 포함되어야 하며 실내 환경에서 좁은 공간과 소음이로 제한 받는 유아에게 실외환경은 대안적인 학습 환경으로 사용될 수 있다.
넷째, 복잡한 도시환경에서 지내고 있는 유아들에게 실외 놀이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덜어 줄 수 있는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다섯째, 실외는 유아들 간에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는 놀이공간이다. 여아들의 실내에서의 상징놀이는 주로 가사와 관련된 역할놀이이지만 실외에서는 만화 주인공의 영웅과 같은 역할을 하며, 남아들과 여아들이 함께 놀이를 한다. 실내보다 실외에서 더 많은 협동놀이가 나타나며 사회계층에 관계없이 유아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실외에서 더 많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하면 실외 놀이공간은 실내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놀이를 연장시켜 줄 뿐만 아니라 실내공간에서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수 있고 자연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경험하는 장소이며 또래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많은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장소이다.
유아는 여러 가지 물리적 환경과 공간, 교사,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배우고 성장 발달하므로 실외 놀이터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충분히 제공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실외 놀이공간은 유아의 신체적 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을 도와줄 수 있도록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참고 자료]
유효순, 조정숙, 놀이이론과 실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6
이상화, 최석란, 놀이지도, 공동체, 2010
채종옥, 영유아를 위한 놀이지도, 양서원, 2010
하정연, 유아놀이지도, 공동체, 2008
김나영, 놀이지도, 양서원, 2008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10.05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