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Ⅰ. (들어가며) 고종이 문제가 되는 이유
Ⅱ. 고종황제 정책의 긍정적 부분
1. 개화, 개방정책
2. 부패 경계
3. 서민대중 성장
Ⅲ. 고종황제 정책의 부정적 부분
1. 단기간의 건전한 재정 운영
2. 매관매직 성행
3. 전제군주
Ⅳ. 내가 평가한 고종황제
Ⅴ. (마무리하며) ‘우리 안의 패배주의’와 고종의 재평가
Ⅰ. (들어가며) 고종이 문제가 되는 이유
Ⅱ. 고종황제 정책의 긍정적 부분
1. 개화, 개방정책
2. 부패 경계
3. 서민대중 성장
Ⅲ. 고종황제 정책의 부정적 부분
1. 단기간의 건전한 재정 운영
2. 매관매직 성행
3. 전제군주
Ⅳ. 내가 평가한 고종황제
Ⅴ. (마무리하며) ‘우리 안의 패배주의’와 고종의 재평가
본문내용
논란의 여지가 조금이라도 존재한다면 그 틈을 공략해 자신의 주장을 확고히 하려는 학자들의 열망은 항상 존재한다. 그나마 과학이나 사회문화적 학문은 증명을 통해 옳고 그름을 판단 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는 실제 증거자료가 확보되기 전 까지는 그 누구의 학설도 정설이라 판단하기를 유보 해야 한다. 더군다나 이번 일처럼 단순한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고종’ 이라는 한 인물의 심리를 판단 해야 하는 문제는 논쟁의 끝을 보기가 쉽지 않다. 증거는 제시 되고 있다. 양측 모두 증거 대해서는 일체 부정하지 않는다. 다만 사료를 읽는 관점의 차이에 따른 논쟁이 있을 뿐이다. 어느 사료에도 나타날 수 없는 개인의 심리적 동태는 어느 범위까지 인지도 모를 정도의 방대한 양의 사료들과 깊이도 알 수 없는 정도의 역사적 상황을 토대로 추측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고종에 대한 평가들이 엇갈리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