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개념
Ⅱ.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유형
1. 전통적 실행연구
2. 협동 실행연구
3. 기술적 실행연구
4. 실제적 실행연구
5. 해방적 실행연구
6. 비판적 실행연구
7. 참여 실행연구
Ⅲ.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단계
1. 문제점 혹은 연구 관심 분야 인식
2. 문제점이나 관심 영역에 관련된 구체적 내용 수집
3. 해결방안 모색 및 준비
4. 해결방안 실험
5. 해결방안 효과 관찰 및 관찰 결과 숙고
6. 해결방안 보완 및 수정
Ⅳ. 실행연구(액션리서치)와 장이론
1. 기본개념
2. 장과 유의성
1) 장(field)
2) 유의성
3. 학습이론
1) 학습과정
2) 학습원리
4. 장이론의 특징
5. 주장내용
Ⅴ.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사례
Ⅵ.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활용
참고문헌
Ⅱ.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유형
1. 전통적 실행연구
2. 협동 실행연구
3. 기술적 실행연구
4. 실제적 실행연구
5. 해방적 실행연구
6. 비판적 실행연구
7. 참여 실행연구
Ⅲ.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단계
1. 문제점 혹은 연구 관심 분야 인식
2. 문제점이나 관심 영역에 관련된 구체적 내용 수집
3. 해결방안 모색 및 준비
4. 해결방안 실험
5. 해결방안 효과 관찰 및 관찰 결과 숙고
6. 해결방안 보완 및 수정
Ⅳ. 실행연구(액션리서치)와 장이론
1. 기본개념
2. 장과 유의성
1) 장(field)
2) 유의성
3. 학습이론
1) 학습과정
2) 학습원리
4. 장이론의 특징
5. 주장내용
Ⅴ.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사례
Ⅵ.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활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통적 연구사이의 차이점을 잘 나타내고 있다. H씨는 개발자, 교사, 관찰자, 발문자, 자료 수집자, 그리고 자료 분석자의 역할을 하였다. 그의 목표는 쓰기 교수를 개선하는 것이었다. H씨의 주 혁신은 작문자 워크숍으로 이는 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이냐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며 결과에 대한 과정을 강조한다.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한 가지 한가지의 도움을 주는 협동 상담자로서 역할 했다. 학생들은 더 잘 쓰기위해 짝을 이루어 서로 도와가면서 함께 학습할 수 있다.
H씨는 새로운 쓰기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어떤 가정을 가지고 시작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만든 쓰기 포트폴리오가 쓰기 교육과정의 질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가정하여 작문자 워크숍 방법이 전통적인 직접 수업 방법 보다 낫다고 가정하였으며, 남학생과 여학생들이 쓰기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는 바는 차이가 없다고 가정하였다. 관찰과 질문지 자료를 통해 H씨는 그 다음의 가정에 대해서도 심각히 질문하게 되었다.
H씨는 12주에 걸쳐 실행연구를 하였다. 1주에서 6주까지는 전통적인 직접 수업에 시간을 보냈으며 7주에서 12주 동안은 작문자 워크숍을 하였다. 그는 12주 동안 개방 관찰 자료를 얻었으며, 또한 3번(어떤 교수가 시작되기 전, 6주 후 그리고 12주 후)의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H씨는 동시에 고등학교 1학년 학생 5학급을 가르치고 있었다. 작문자 워크샵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그의 이해는 그의 다른 학급에서의 교수 경험에 의해 향상되었다. 그는 자연적으로 고등학교 2학년 실험집단 교실에서 일어난 것을 1학년 학생들과 비교하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그의 경험은 그를 놀라게 했다. 이는 어떻게 실행연구가 교사들의 교수 실제에 새로운 전망을 제공하는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작문자 워크숍은 쓰기에 대한 호의적인 학생 태도를 개발시키는데 그리고 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자신감을 구축하는데 있어 전통적인 방법 보다 더 많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작문자 워크숍은 H씨가 바랐던 학습결과를 성취하지는 못했다. 작문자 워크숍 동안 학생들은 대개 개인적 이야기나 시를 선택했다. 소수의 학생들이 에세이를, 극소수의 학생들이 해설적인 에세이나 논문을 썼다. 대조적으로 1학년 학생들에게 설득력 있는 에세이와 해설적인 에세이 과제를 주었을 때 많은 학생들이 그들의 쓰기에 대해 확신하지 못했다. H씨는 작문자 워크숍이 장점이 있지만 전통적인 절차도 학생들에게 더 잘 쓰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H씨는 또한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남학생과 여학생의 질문지 결과가 유의하게 차이가 남을 알았다,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쓰기를 즐겼으며 남학생 보다 더 잘 쓸 수 있다고 믿고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여학생들은 쓴 결과물의 질에 대해서는 자부심이 부족했다. 남학생들은 자신의 쓰기 결과에 대해 자부심이 덜한 여학생에 비해 자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쓰기 포트폴리오에 대한 그의 평가는 H씨로 하여금 여학생이 실지로 남학생에 비해 쓰기가 더 낫다는 결론을 내렸다.
H씨는 실행연구를 통해 유익한 결과를 얻었으며, 자료들은 그를 발전하는 영어 교사로 성숙하는 전문 교육자로 성장하도록 준 것이다. 그는 다음 해의 쓰기 수업에서는 작문자 워크숍과 직접수업의 통합과 종합을 수반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어떻게 여학생과 남학생이 쓰기에 서로 다르게 접근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더 높일 것이다. 그는 계속적으로 학교 상황에서 자신의 교수에 대한 개선, 발달, 새로운 입장을 추구할 것이다.
Ⅵ.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활용
Cohen and Manion(1980, p. 211)은 Action Research를 다음과 같이 5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하였다.
(1) as a means of remedying problems diagnosed in specific situations, or of improving in some way a given set of circumstances;
(2) as a means of in-service training, providing teachers with new skills and methods and heightening self-awareness;
(3) as a means of injecting additional or innovative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into a system which normally inhibits innovation and change;
(4) as a means of improving the normally poor communications between the practising teacher and academic researchers;
(5) (although lacking the rigour of true scientific research) as a means of providing an alternative to the more subjective, impressionistic approach to problem solving in the classroom.
즉, Action Research의 활용을 통해 교실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교수 기술을 연마할 수 있으며, 교수 활동에 관한 교사의 자아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혁신적인 대안을 찾을 수 있으며,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보다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남국·이승복·강민수 편저(1999) / 외국어 교수 방법론, 서울 : 하우
김태환·김태한(1978) / 영어 교수법의 이론과 실천, 서울 : 한신 문화사
김진우(1994) / 영어교육의 원리와 방법, 서울 : 유풍출판사
배두본 외 2인(1991) / 영어교육학에 근거한 영어 교사 현직 교육 모형 연구, 영어교육
심정진 /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영어교수법 고찰
이종성(1996) / 교육연구의 설계와 자료분석, 서울 : 교학연구사
장택수(2004) / 교육연구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H씨는 새로운 쓰기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어떤 가정을 가지고 시작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만든 쓰기 포트폴리오가 쓰기 교육과정의 질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가정하여 작문자 워크숍 방법이 전통적인 직접 수업 방법 보다 낫다고 가정하였으며, 남학생과 여학생들이 쓰기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는 바는 차이가 없다고 가정하였다. 관찰과 질문지 자료를 통해 H씨는 그 다음의 가정에 대해서도 심각히 질문하게 되었다.
H씨는 12주에 걸쳐 실행연구를 하였다. 1주에서 6주까지는 전통적인 직접 수업에 시간을 보냈으며 7주에서 12주 동안은 작문자 워크숍을 하였다. 그는 12주 동안 개방 관찰 자료를 얻었으며, 또한 3번(어떤 교수가 시작되기 전, 6주 후 그리고 12주 후)의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H씨는 동시에 고등학교 1학년 학생 5학급을 가르치고 있었다. 작문자 워크샵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그의 이해는 그의 다른 학급에서의 교수 경험에 의해 향상되었다. 그는 자연적으로 고등학교 2학년 실험집단 교실에서 일어난 것을 1학년 학생들과 비교하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그의 경험은 그를 놀라게 했다. 이는 어떻게 실행연구가 교사들의 교수 실제에 새로운 전망을 제공하는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작문자 워크숍은 쓰기에 대한 호의적인 학생 태도를 개발시키는데 그리고 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자신감을 구축하는데 있어 전통적인 방법 보다 더 많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작문자 워크숍은 H씨가 바랐던 학습결과를 성취하지는 못했다. 작문자 워크숍 동안 학생들은 대개 개인적 이야기나 시를 선택했다. 소수의 학생들이 에세이를, 극소수의 학생들이 해설적인 에세이나 논문을 썼다. 대조적으로 1학년 학생들에게 설득력 있는 에세이와 해설적인 에세이 과제를 주었을 때 많은 학생들이 그들의 쓰기에 대해 확신하지 못했다. H씨는 작문자 워크숍이 장점이 있지만 전통적인 절차도 학생들에게 더 잘 쓰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H씨는 또한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남학생과 여학생의 질문지 결과가 유의하게 차이가 남을 알았다,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쓰기를 즐겼으며 남학생 보다 더 잘 쓸 수 있다고 믿고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여학생들은 쓴 결과물의 질에 대해서는 자부심이 부족했다. 남학생들은 자신의 쓰기 결과에 대해 자부심이 덜한 여학생에 비해 자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쓰기 포트폴리오에 대한 그의 평가는 H씨로 하여금 여학생이 실지로 남학생에 비해 쓰기가 더 낫다는 결론을 내렸다.
H씨는 실행연구를 통해 유익한 결과를 얻었으며, 자료들은 그를 발전하는 영어 교사로 성숙하는 전문 교육자로 성장하도록 준 것이다. 그는 다음 해의 쓰기 수업에서는 작문자 워크숍과 직접수업의 통합과 종합을 수반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어떻게 여학생과 남학생이 쓰기에 서로 다르게 접근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더 높일 것이다. 그는 계속적으로 학교 상황에서 자신의 교수에 대한 개선, 발달, 새로운 입장을 추구할 것이다.
Ⅵ.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활용
Cohen and Manion(1980, p. 211)은 Action Research를 다음과 같이 5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하였다.
(1) as a means of remedying problems diagnosed in specific situations, or of improving in some way a given set of circumstances;
(2) as a means of in-service training, providing teachers with new skills and methods and heightening self-awareness;
(3) as a means of injecting additional or innovative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into a system which normally inhibits innovation and change;
(4) as a means of improving the normally poor communications between the practising teacher and academic researchers;
(5) (although lacking the rigour of true scientific research) as a means of providing an alternative to the more subjective, impressionistic approach to problem solving in the classroom.
즉, Action Research의 활용을 통해 교실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교수 기술을 연마할 수 있으며, 교수 활동에 관한 교사의 자아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혁신적인 대안을 찾을 수 있으며,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보다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남국·이승복·강민수 편저(1999) / 외국어 교수 방법론, 서울 : 하우
김태환·김태한(1978) / 영어 교수법의 이론과 실천, 서울 : 한신 문화사
김진우(1994) / 영어교육의 원리와 방법, 서울 : 유풍출판사
배두본 외 2인(1991) / 영어교육학에 근거한 영어 교사 현직 교육 모형 연구, 영어교육
심정진 /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영어교수법 고찰
이종성(1996) / 교육연구의 설계와 자료분석, 서울 : 교학연구사
장택수(2004) / 교육연구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추천자료
교육 사회학의 연구대상, 연구방법 주요연구 결과 영역
[유체역학] 나노유체 연구 조사 및 적용방안 연구 - 나노유체의 열전달
스포츠 사회학의 정의 및 특징과 개념, 연구이론, 이론과연구 대상, 연구방법, 사회학과의 관...
질적연구방법론에서의 질적연구설계
[사회과학방법론] 자료수집 방법 (면접, 현장연구, 사례연구, 질적연구, 문화기술적연구, 역...
[교육심리학] 교수 연구의 패러다임(paradigm) - 교수 연구 패러다임과 그 변인, 주요 교수 ...
[사회조사방법론] 청소년 체험활동 연구제안서 - 청소년 체험활동 : 청소년의 체험활동 실태...
공정거래법에 의한 카르텔 규제연구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정부규제 의의]
연구방법론 4장 연구계획서.pptx
발표된 논문이나 보고서를 선택하여 무엇을 어떻게 조사하였는지(연구의 유형, 연구의 목적과...
[평생교육] 평생교육의 특징 - 교육과 학습에 대한 연구, 학습자 연구, 제도와 조직 연구, 특...
아동발달 연구방법(아동발달 연구의 관찰법, 질문법, 사회성측정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