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논리 게이트 예비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본 논리 게이트 예비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본 논리게이트

1. 목적

2. 이론

3. 실험순서

7. 예비 보고 사항

참고자료

본문내용

.0
0.4
2.7
0.4
0.7
9.5
HC
2~6
1.35
3.15
0.1
(20㎂ 부하)
0.36
(24 ㎃부하)
4.4
(20㎂ 부하)
3.84
(24 ㎃부하)
1.25
1.25
8
HCT
4.5~5.5
0.8
2.0
0.7
2.4
8
(2) 진리표 또는 드모르간 법칙을 이용하여 다음 식들이 성립함을 보여라.
- 드모르간의 법칙(벤 다이어그램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집합 A와 집합 B의 합집합 A∪B는 [그림 1]의 사선 부분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그 여집합 (A∪B)c은 [그림 2]의 사선 부분으로 표시된다. 한편, 집합 A의 여집합 Ac와 집합 B의 여집합 Bc의 교집합 Ac∩Bc은 [그림 3]의 사선이 겹친 부분으로 표시된다.
그런데 [그림 2]와 [그림 3]에서 알 수 있듯이 (A∪B)c와 Ac∩Bc은 같은 집합이다. 즉,(A∪B)c=Ac∩Bc이다.마찬가지로(A∩B)c=Ac∪Bc임을 알 수 있는데, 이 두 식을 집합에 관한 드모르간의 법칙이라고 한다.
또, 명제 p와 q에 대하여 ‘p 또는 q’라는 명제를 p∨q로, ‘p 그리고 q’라는 명제를 p∧q로, ‘p가 아니다’라는 명제를 ∼p로 표시하면 ~(p∨q)=(~p)∧(~q) ~(p∧q)=(~p)∨(~q) 가 성립된다. 이 두 식을 명제에 관한 드모르간의 법칙이라고 한다.
①-1.
A
B
0
0
1
0
0
1
0
1
1
0
0
1
1
1
0
1
A
B
X
0
0
0
0
1
1
1
0
1
1
1
1
①-2.
A
B
0
0
1
0
0
1
1
0
1
0
1
0
1
1
0
1
A
B
X
0
0
0
0
1
0
1
0
0
1
1
1
② 식 (1), (2), (3) 드모르간 정리로 성립함을 보여라.
식 (1)
식 (2)
식 (3)
식(2) 정리.
∴ 식(1) = 식(2)
식(3) 정리.
∴ 식(1) = 식(3). 그러므로
식(1) = 식(2) = 식(3)는 성립.
식(1a)
식(1b)
정 리.
정 리.
식(2a)
식(2b)
정리
.
정리.
식(3a)
식(3b)
분배법칙 사용 정리.
(3) 3 입력 AND 게이트 또는 OR 게이트를 2 입력의 회로로 사용하는 경우 나머
지 한개의 입력은 어떻게 연결해야 하는가 설명하라.
결합법칙 (A+B)+C = A+(B+C) (A*B)C = A(B*C)
(4) 4입력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에 대한 진리표를 작성하고 이를 카노 도표로
도시하라.
AND 게이트 진리표
입력
출력
a
b
c
d
m
0
0
0
0
0
0
0
0
1
0
0
0
1
0
0
0
0
1
1
0
0
1
0
0
0
0
1
0
1
0
0
1
1
0
0
0
1
1
1
0
1
0
0
0
0
1
0
0
1
0
1
0
1
0
0
1
0
1
1
0
1
1
0
0
0
1
1
0
1
0
1
1
1
0
0
1
1
1
1
1
OR 게이트 진리표
입력
출력
a
b
c
d
m
0
0
0
0
0
0
0
0
1
1
0
0
1
0
1
0
0
1
1
1
0
1
0
0
1
0
1
0
1
1
0
1
1
0
1
0
1
1
1
1
1
0
0
0
1
1
0
0
1
1
1
0
1
0
1
1
0
1
1
1
1
1
0
0
1
1
1
0
1
1
1
1
1
0
1
1
1
1
1
1
AND 게이트 카르노 맵
OR 게이트 카르노 맵
AB
CD
00
01
11
10
00
0
0
0
0
01
0
0
0
0
11
0
0
1
0
10
0
0
0
0
AB
CD
00
01
11
10
00
0
1
1
1
01
1
1
1
1
11
1
1
1
1
10
1
1
1
1
(5) NOT 게이트를 구현하는 트랜지스터 회로를 도시하고 그 동작을 설명하라. 그
리고 그 전파 지연 특성을 조사하라.
- 만약에 짝수개의 NOT 게이트를 직렬 연결한다고 가정하면 항상 입력과 출력
이 동일하다는 사실을 파악 할 수 있다. 이로써 전달 지연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
a
a
- 참고 : CMOS 소자 중 가장 간단히 구현할 수 있는 소자는 NOT 게이트로서 p-채널
FET와 n-채널 FET로 구성된다 이 두개의 FET의 게이트 입력은 같은 단의
입력 핀에 물려 있고, 두 FET의 동작 특성이 반대이므로 한 개의 FET 만이
켜지고(on), 나머지 한 개는 꺼지게(off)된다. 우선 NOT 게이트의 입력이 낮은
준위면 두개의 FET게이트 입력 전압이 모두 낮아지게 된다. 이때, p-채널
FET의 소스에 대한 게이트의 전압차가 -VDD가 되어 p-채널은 켜지게 되며,
n-채널 FET의 경우에는 소스에 대한 게이트의 전압차가 없으므로 꺼져 출력
이 VDD가 된다. 마찬가지로 NOT 게이트의 입력이 높은 준위가 되며, p-채널
FET가 꺼지고, n-채널 FET가 켜져 출력이 낮은 준위(훙)RK 되므로 이 소자
가 NOT 게이트로 동작하게 된다.
(6) 그림 10(a) 패리티 확인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라.
디지털 시스템에서는 대부분 한 단어당 한 비트에 오류가 발생한다. 즉 단일비트 오
류의 경우가 많다는 이야기 이다. 여기에는 패러티 비트라는 에러 검출 시스템을 사용하
는데 많은 디지털 시스템에서는 이 것을 사용한다.
패러티 비트는 중복 오류 (즉 2개 이상의 비트에서 오류 발생)는 못 찾고 교정또한 불가
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패러티 코드를 만들기 위해 컴퓨터는 1비트의 여분 비트를 가지는데 이것이 패러티 비
트 이며 이며 패러티 비트는 설계에 따라 어디에나 부가 가능하다고 한다.
만약에 짝수 패러티 검사의 경우 값이 1이 나왔음은 오류를 지적하는 것이다. 회로의 경
우 4비트의 정보가 수신 되는되는데 실제 정보는 A B C 가 해당되고 D는 패러티 비트
이다. 그리고 짝수 패러티 비트 검사기임을 알수 있다.
(7) 이진 부호를 그레이 부호로 변환시키는 일반적인 원리를 설명하고, 그림 10(b)
회로가 성립함을 보여라.
- 한 숫자에서 다음 숫자로 이동될 때 한 비트만 변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레이 코드의
특징을 말하자면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 시키는데 유용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참고자료
- Digital Logic Circuit Analysis and Design
- Google.com (인터넷)
- 디지털 공학 실험

키워드

기본,   논리,   게이트,   예비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11.18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97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