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설
Ⅱ. 부노제도의 의의와 구제제도
Ⅲ. 부노의 성립요건과 부노의사
Ⅳ. 부노의 유형별 검토
Ⅴ. 원인의 경합과 오신
Ⅱ. 부노제도의 의의와 구제제도
Ⅲ. 부노의 성립요건과 부노의사
Ⅳ. 부노의 유형별 검토
Ⅴ. 원인의 경합과 오신
본문내용
정당한 행위를 실질적인 해고사유로 한 것인지의 여부는 부노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제반 사정 등을 비교/검토하여 판단하여야 한다고 하여 결정적 원인설에 입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2006도388).
2. 오신 및 착오의 경우
사용자의 불이익 취급에 있어 근로자의 행위에 대한 오신 내지 착오의 경우가 문제된다. 이에 대해서는 의사불요설의 입장에서는 정당한 조합활동과 불이익 취급과의 사이에 상당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면 부노가 성립한다고 본다. 반면, 의사필요설의 입장에서는 반조합적 의도와 같은 부노의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되어 부노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본다. 이와 관련 이는 사용자의 위법성의 착오의 문제일 뿐, 오신 또는 착오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과실여부에 따라 부노가 성립한다는 입장도 유력하다.
2. 오신 및 착오의 경우
사용자의 불이익 취급에 있어 근로자의 행위에 대한 오신 내지 착오의 경우가 문제된다. 이에 대해서는 의사불요설의 입장에서는 정당한 조합활동과 불이익 취급과의 사이에 상당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면 부노가 성립한다고 본다. 반면, 의사필요설의 입장에서는 반조합적 의도와 같은 부노의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되어 부노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본다. 이와 관련 이는 사용자의 위법성의 착오의 문제일 뿐, 오신 또는 착오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과실여부에 따라 부노가 성립한다는 입장도 유력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부당한 공동행위(담합)
[경제법] 부당한 공동행위의 금지
부당행위계산 부인에 관한 연구
의사노동조합 요약 정리(7,8,9장)
부당행위계산부인에관한연구
노동법상 쟁의행위와 근로관계에 대한 연구
노동법상 부당해고구제신청제도의 의미 관련 판례
노동법상 부당해고에 대한 노동위원회와 법원의 구제 검토
[법적 고찰, 비정규직노동자]대리모, 비정규직노동자의 법적 고찰, 물수급대책, 구조거부행위...
[대기업 노동][대기업 노동 행위주체][대기업 노동 조직강화]대기업 노동의 행위주체, 대기업...
노조파업의 정당성 -현재 대한민국의 파업행위는 부당하다.
경쟁의 의의와 기능, 조화론과 갈등론,경쟁의 전제조건,경쟁정책의 과제,부당한 공동행위,카...
직행위론의 이론과 사례, 동기부여,감정노동,임파워먼트,조직의 스트레스관리,학습과 행위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