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앞으로 숙이는 체위)를 취하도록 격려함.
4. 활력증후를 30분마다 측정할 시 잦은 접촉과 환자의 불평을 경청하여 통증으로 인한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
5. 필요시 진통제 투여. prn Tridol( Trodol의 effect 있음. 지속시간 7시간) + 안정격려함.
6. 통증조절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수행함. (마사지, 온냉요법, 전환요법, 심상요법을 교육하고 시행함.)
평가
1. 통증의 강도를 사정 (8 → 2)
2. 복부통증이 참을만한 양상이라고 말씀하심.
3. 활력증후가 정상으로 유지됨
V/S - BP : 120/80mmHg, BP : 80회/분, RR : 20회, BT : 36.5℃
4. 복부를 움켜쥐는 행동이 없으며, 침상에서 눈을 감고 편안히 쉬고계심
간호진단
#2. 질환과 관련된 고체온
사 정
<객관적 자료>
내원 일 11월19일 오전 9시 38.1℃ checked
11.19일 acute cholecystectomy, CBD stone, GB stone 진단받음
얼굴에 홍조
환자의 피부 촉진 시 열감이 있고 식은땀을 흘리고 있음
환자의 상태 불안정함
chilling 호소
V/S - BP : 130/70mmHg, BP : 102회/분, RR : 25회, BT : 38.1℃
<주관적 자료>
“너무 더워요”
“몸에서 열이 나고 뜨거워요”
간호 목표
대상자는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간호 계획
1. 고열로 인한 빈맥, 빈 호흡을 사정한다.
2. 대상자의 전체적인 상태를 사정한다.
(피부의 온감, 피부 발적, 열감의 호소, 발한, 불안, 전신쇠약, 섬망)
3. 매 2시간 마다 체온을 모니터 한다.
4. ice bag을 대어 준다.
5. 가벼운 옷을 입힌다.
6. 변화된 체온을 조정하기 위해 미온수 목욕을 적용한다.
7. V/S을 30분에 한번 씩 체크한다.
8. 적절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1. 고열로 인해 빈맥, 빈 호흡이 나타나게 된다.
2. 피부의 온감, 피부 발적, 열감의 호소, 발한, 불안, 전신쇠약, 섬망등이 체온 상승 시 나타날 수 있다.
3. 체온을 모니터 함으로 정상체온 유지를 위한 평가를 할 수 있다.
4,5,6 체표면 으로부터 주의 환경으로 열을 이동시켜 체온을 하강하는 것을 돕는다.
7. 지속적인 활력증후의 측정과 관찰을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한다.
8. 적절한 휴식은 고체온과 관련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간호 중재
1. 맥박과 호흡을 사정하였다. BP : 102회/분, RR : 25회
2. 피부의 촉진 시 열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얼굴은 홍조를 띈 상태이고, chilling을 호소하고 있으며 불안한 상태를 확인하였다.
3. 체온을 매 2시간 마다 측정하였다.
4. ice bag을 적용하였고 미온수를 대상자의 손과 발에 적셔주었다.
5. 30분마다 활력증후를 측정하여 정상체온의 유지를 사정하였다.
6. 휴식을 취하도록 권유하고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여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평가
1. fever sign이 있은 후 8시간 안에 체온이 정상범위로 유지됨 36.7℃
2. 활력증후가 정상으로 유지됨
V/S - BP : 120/80mmHg, BP : 72회/분, RR : 18회, BT : 36.7℃
4. 침상에서 편히 쉬고 계심.
간호진단
#3. 수술과 관련된 지식부족
사 정
<객관적 자료>
11.19일 acute cholecystectomy, CBD stone, GB stone 진단받음
11.22일 op. laparoscopic cholecystectomy(L.C) 시행 예정
수술에 대해 초조해 하고 불안한 상태
V/S - BP : 130/70mmHg, BP : 98회/분, RR : 24회, BT : 37.0℃
<주관적 자료>
“내가 어떤 수술을 하는 지, 수술하고 나면 결과는 어떻게 되는지 자세 하게 알고 싶어요.”
“예정된 수술에 대해 불안해요.”
간호 목표
대상자는 시행되는 수술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
간호 계획
1. 현재의 상태와 수술의 필요성을 설명해 준다.
2. 수술을 위한 합리적 근거, 필요한 준비 및 과정에 대해 세밀히 설명한다.
3. 예기되는 수술에 대해 환자와 상의한다.
4. 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5. 수술과 관련된 신체적인 준비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신체적인 준비를 한다.
6. V/S을 2시간 마다 체크한다.
7. 적절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1. 현재의 상태와 수술의 필요성에 대한 지식부족은 불안을 만들 수 있다.
2. 정보는 교감신경의 자극을 감소시킴으로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지지는 동시에 불안을 감소시키고 치유를 증진시킨다.
4. 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함으로써 간호사가 환자의 요구를 더 정확하게 사정할 수 있다.
5. 올바른 신체적 준비를 함으로써 수술을 방해하는 문제를 예방한다.
6. 지속적인 활력증후의 측정과 관찰을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한다.
7. 적절한 휴식은 수술과 관련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간호 중재
1. 환자의 진단명(cholecystitis)과 수술(L.C)의 필요성, 필요한 신체적, 정신적인 준비와 수술과정에 대해 세밀히 설명하였다.
2. 환자와 수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들을 경청하였고, 환자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5. 2시간 마다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6. 수술과 관련된 신체적인 준비를 사정하고 수행하였다.
6. 휴식을 취하도록 권유하고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여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평가
1. 수술의 목적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이야기하였다.
2. 수술과 관련된 신체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
3. 활력증후가 정상으로 유지됨
V/S - BP : 120/80mmHg, BP : 70회/분, RR : 18회, BT : 36.5℃
4. 침상에서 편히 쉬고 계심.
REFERENCE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최영희, 이향련 외 / 현문사 203p.~210p.
진호진단과 이론적근거 / 최정신 편역 / 현문사 269p.~272p.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김소야자 외 / 수문사 p.263~p.264, p.773~p.775
4. 활력증후를 30분마다 측정할 시 잦은 접촉과 환자의 불평을 경청하여 통증으로 인한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
5. 필요시 진통제 투여. prn Tridol( Trodol의 effect 있음. 지속시간 7시간) + 안정격려함.
6. 통증조절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수행함. (마사지, 온냉요법, 전환요법, 심상요법을 교육하고 시행함.)
평가
1. 통증의 강도를 사정 (8 → 2)
2. 복부통증이 참을만한 양상이라고 말씀하심.
3. 활력증후가 정상으로 유지됨
V/S - BP : 120/80mmHg, BP : 80회/분, RR : 20회, BT : 36.5℃
4. 복부를 움켜쥐는 행동이 없으며, 침상에서 눈을 감고 편안히 쉬고계심
간호진단
#2. 질환과 관련된 고체온
사 정
<객관적 자료>
내원 일 11월19일 오전 9시 38.1℃ checked
11.19일 acute cholecystectomy, CBD stone, GB stone 진단받음
얼굴에 홍조
환자의 피부 촉진 시 열감이 있고 식은땀을 흘리고 있음
환자의 상태 불안정함
chilling 호소
V/S - BP : 130/70mmHg, BP : 102회/분, RR : 25회, BT : 38.1℃
<주관적 자료>
“너무 더워요”
“몸에서 열이 나고 뜨거워요”
간호 목표
대상자는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간호 계획
1. 고열로 인한 빈맥, 빈 호흡을 사정한다.
2. 대상자의 전체적인 상태를 사정한다.
(피부의 온감, 피부 발적, 열감의 호소, 발한, 불안, 전신쇠약, 섬망)
3. 매 2시간 마다 체온을 모니터 한다.
4. ice bag을 대어 준다.
5. 가벼운 옷을 입힌다.
6. 변화된 체온을 조정하기 위해 미온수 목욕을 적용한다.
7. V/S을 30분에 한번 씩 체크한다.
8. 적절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1. 고열로 인해 빈맥, 빈 호흡이 나타나게 된다.
2. 피부의 온감, 피부 발적, 열감의 호소, 발한, 불안, 전신쇠약, 섬망등이 체온 상승 시 나타날 수 있다.
3. 체온을 모니터 함으로 정상체온 유지를 위한 평가를 할 수 있다.
4,5,6 체표면 으로부터 주의 환경으로 열을 이동시켜 체온을 하강하는 것을 돕는다.
7. 지속적인 활력증후의 측정과 관찰을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한다.
8. 적절한 휴식은 고체온과 관련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간호 중재
1. 맥박과 호흡을 사정하였다. BP : 102회/분, RR : 25회
2. 피부의 촉진 시 열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얼굴은 홍조를 띈 상태이고, chilling을 호소하고 있으며 불안한 상태를 확인하였다.
3. 체온을 매 2시간 마다 측정하였다.
4. ice bag을 적용하였고 미온수를 대상자의 손과 발에 적셔주었다.
5. 30분마다 활력증후를 측정하여 정상체온의 유지를 사정하였다.
6. 휴식을 취하도록 권유하고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여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평가
1. fever sign이 있은 후 8시간 안에 체온이 정상범위로 유지됨 36.7℃
2. 활력증후가 정상으로 유지됨
V/S - BP : 120/80mmHg, BP : 72회/분, RR : 18회, BT : 36.7℃
4. 침상에서 편히 쉬고 계심.
간호진단
#3. 수술과 관련된 지식부족
사 정
<객관적 자료>
11.19일 acute cholecystectomy, CBD stone, GB stone 진단받음
11.22일 op. laparoscopic cholecystectomy(L.C) 시행 예정
수술에 대해 초조해 하고 불안한 상태
V/S - BP : 130/70mmHg, BP : 98회/분, RR : 24회, BT : 37.0℃
<주관적 자료>
“내가 어떤 수술을 하는 지, 수술하고 나면 결과는 어떻게 되는지 자세 하게 알고 싶어요.”
“예정된 수술에 대해 불안해요.”
간호 목표
대상자는 시행되는 수술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
간호 계획
1. 현재의 상태와 수술의 필요성을 설명해 준다.
2. 수술을 위한 합리적 근거, 필요한 준비 및 과정에 대해 세밀히 설명한다.
3. 예기되는 수술에 대해 환자와 상의한다.
4. 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5. 수술과 관련된 신체적인 준비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신체적인 준비를 한다.
6. V/S을 2시간 마다 체크한다.
7. 적절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1. 현재의 상태와 수술의 필요성에 대한 지식부족은 불안을 만들 수 있다.
2. 정보는 교감신경의 자극을 감소시킴으로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지지는 동시에 불안을 감소시키고 치유를 증진시킨다.
4. 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함으로써 간호사가 환자의 요구를 더 정확하게 사정할 수 있다.
5. 올바른 신체적 준비를 함으로써 수술을 방해하는 문제를 예방한다.
6. 지속적인 활력증후의 측정과 관찰을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한다.
7. 적절한 휴식은 수술과 관련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간호 중재
1. 환자의 진단명(cholecystitis)과 수술(L.C)의 필요성, 필요한 신체적, 정신적인 준비와 수술과정에 대해 세밀히 설명하였다.
2. 환자와 수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들을 경청하였고, 환자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5. 2시간 마다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6. 수술과 관련된 신체적인 준비를 사정하고 수행하였다.
6. 휴식을 취하도록 권유하고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여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평가
1. 수술의 목적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이야기하였다.
2. 수술과 관련된 신체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
3. 활력증후가 정상으로 유지됨
V/S - BP : 120/80mmHg, BP : 70회/분, RR : 18회, BT : 36.5℃
4. 침상에서 편히 쉬고 계심.
REFERENCE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최영희, 이향련 외 / 현문사 203p.~210p.
진호진단과 이론적근거 / 최정신 편역 / 현문사 269p.~272p.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김소야자 외 / 수문사 p.263~p.264, p.773~p.775
키워드
추천자료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자궁근종
위암 수술의 종류
모성간호학 실습 일일 레포트
성인간호 자궁근종 정리
수술실 case study (Laparoscopic Parcial Nephrectomy)
일시 피임법과 영구적 피임법
(성인간호) OR case study
[피임 방법] 피임법의 조건과 종류
OR - myoma uteri LAVH,TAH
자궁근종 (myoma uteri) 케이스 스터디
위암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여성간호학 수술실 자궁근종케이스스터디
모성 시나리오 간호과정 자궁근종
<모성간호학 실습>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Adenomyosis(자궁선근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