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대적 상황
2.개요
3.인식
2.개요
3.인식
본문내용
논이다.”라고 두 사상을 정의했다.
“깨뜨리지 않음이 없으면서 마침내는 허용하고 세우지 않음이 없으면서 마침내는 빼앗나니 참으로 모든 파의 종조요 모든 쟁론을 평하는 주인이다”라며 ‘대승기신론’이 유식사상과 중관 사상을 잘 지양한 논서라고 극찬하였다.
원효의 이 글은 ‘대승기신론별기’에만 나타나 있고, ‘대승기신론소’에는 없으므로 그의 대표적인 뜻으로 볼 수 없으며, 총괄적으로 볼 때 유식사상에 더욱 가깝게 해석하고 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원효가 양자를 화쟁하려는 의도를 가졌고 그 해석의 전반적인 흐름이 여타 이론들의 종합에 있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원효의 화쟁사상은 이후 고려시대 의천의 교선일치, 보조국사의 선교일화 사상으로 꾸준히 이어져 내려와 현대 한국 불교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깨뜨리지 않음이 없으면서 마침내는 허용하고 세우지 않음이 없으면서 마침내는 빼앗나니 참으로 모든 파의 종조요 모든 쟁론을 평하는 주인이다”라며 ‘대승기신론’이 유식사상과 중관 사상을 잘 지양한 논서라고 극찬하였다.
원효의 이 글은 ‘대승기신론별기’에만 나타나 있고, ‘대승기신론소’에는 없으므로 그의 대표적인 뜻으로 볼 수 없으며, 총괄적으로 볼 때 유식사상에 더욱 가깝게 해석하고 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원효가 양자를 화쟁하려는 의도를 가졌고 그 해석의 전반적인 흐름이 여타 이론들의 종합에 있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원효의 화쟁사상은 이후 고려시대 의천의 교선일치, 보조국사의 선교일화 사상으로 꾸준히 이어져 내려와 현대 한국 불교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