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화 기관
1. 소화 기관
☆ 입에서의 소화
1. 기계적 소화
2. 화학적 소화
☆ 위에서의 소화
1.기계적 소화
2. 화학적 소화
☆ 소장에서의 소화 및 대장의 작용
1. 소장에서의 소화
2. 대장의 작용
☆ 소장 융털의 구조 및 영양소의 흡수와 이동
1. 소장 융털의 구조
2. 영양소의 최종 소화 산물
3. 영양소의 흡수
4. 흡수된 영양소의 이동
5. 흡수된 영양소의 이용과 저장
1. 소화 기관
☆ 입에서의 소화
1. 기계적 소화
2. 화학적 소화
☆ 위에서의 소화
1.기계적 소화
2. 화학적 소화
☆ 소장에서의 소화 및 대장의 작용
1. 소장에서의 소화
2. 대장의 작용
☆ 소장 융털의 구조 및 영양소의 흡수와 이동
1. 소장 융털의 구조
2. 영양소의 최종 소화 산물
3. 영양소의 흡수
4. 흡수된 영양소의 이동
5. 흡수된 영양소의 이용과 저장
본문내용
세롤
녹말→엿당
엿당→포도당
간
쓸개즙
없음
지방의 소화를 돕는다.
장샘
장액
말타아제
펩티다아제
수크라아제
락타아제
엿당→포도당
펩톤→아미노산
설탕→포도당, 과당
젖당→포도당, 갈락토오스
2. 대장의 작용
(1) 대장의 구조 : 길이가 약 1.5m이고 소장보다 굵으며, 맹장, 결장, 직장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대장의 작용
① 소화 효소가 없어 소화 작용은 일어나지 않으며, 주로 소장에서 흡수되고 남은 물이 흡수된다.
② 대장균과 같은 세균에 의하여 찌꺼기가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한다.
③ 찌꺼기가 굳어져 대변이 되며, 이것은 대장의 연동 운동에 의하여 항문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된다.
소장 융털의 구조 및 영양소의 흡수와 이동
1. 소장 융털의 구조
소장 안쪽 벽의 주름 표면에 수없이 많이 나 있는 융털은 표면적을 넓혀 주기 때문에 소화가 끝난 영양소가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표피 : 융털의 표면은 한 층의 표피 세포로 되어 있어 영양소가 잘 통과된다.
암죽관: 융털의 중앙에는 림프관이 있는데, 이것을 암죽관이라고 한다.
모세 혈관 : 융털의 암죽관 주위를 무수히 많은 모세 혈관이 그물처럼 둘러싸고 있다.
2. 영양소의 최종 소화 산물
(1) 탄수화물 : 포도당(침, 이자액, 장액에 의해)
지방 : 지방산, 글리세롤(이자액에 의해)
단백질 : 아미노산(위액, 이자액, 장액에 의해)
3. 영양소의 흡수
(1) 모세 혈관으로 흡수되는 영양소 : 포도당, 아미노산, 물, 무기 염류, 수용성 비타민(B·C) 등은 융털의 모세 혈관으로 흡수된다.
(2) 암죽관으로 흡수되는 영양소 : 지방산, 글리세롤, 지용성 비타민(A·D·E·K) 등은 융털의 암죽관으로 흡수된다.
4. 흡수된 영양소의 이동
(1) 모세 혈관으로 흡수된 영양소 : 모세 혈관→간문맥→간→대정맥→심장→대동맥→온몸
(2) 암죽관으로 흡수된 영양소 : 암죽관→가슴관→목 밑 대정맥→심장→대동맥→온몸
5. 흡수된 영양소의 이용과 저장
(1) 포도당 : 포도당의 일부는 간에 글리코겐의 형태로 저장되고, 나머지는 온몸의 조직 세포로 운반되어 에너지원으로 쓰인다.
(2) 아미노산 : 세포로 운반된 아미노산은 다시 단백질로 합성되어 원형질의 재료가 된다.
(3) 지방산과 글리세롤 : 지방산과 글리세롤은 지방으로 재합성되어 암죽관으로 흡수되며, 온몸의 조직 세포로 운반되어 에너지원으로 쓰이거나 피부 밑 등에 저장(피하지방)된다.
녹말→엿당
엿당→포도당
간
쓸개즙
없음
지방의 소화를 돕는다.
장샘
장액
말타아제
펩티다아제
수크라아제
락타아제
엿당→포도당
펩톤→아미노산
설탕→포도당, 과당
젖당→포도당, 갈락토오스
2. 대장의 작용
(1) 대장의 구조 : 길이가 약 1.5m이고 소장보다 굵으며, 맹장, 결장, 직장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대장의 작용
① 소화 효소가 없어 소화 작용은 일어나지 않으며, 주로 소장에서 흡수되고 남은 물이 흡수된다.
② 대장균과 같은 세균에 의하여 찌꺼기가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한다.
③ 찌꺼기가 굳어져 대변이 되며, 이것은 대장의 연동 운동에 의하여 항문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된다.
소장 융털의 구조 및 영양소의 흡수와 이동
1. 소장 융털의 구조
소장 안쪽 벽의 주름 표면에 수없이 많이 나 있는 융털은 표면적을 넓혀 주기 때문에 소화가 끝난 영양소가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표피 : 융털의 표면은 한 층의 표피 세포로 되어 있어 영양소가 잘 통과된다.
암죽관: 융털의 중앙에는 림프관이 있는데, 이것을 암죽관이라고 한다.
모세 혈관 : 융털의 암죽관 주위를 무수히 많은 모세 혈관이 그물처럼 둘러싸고 있다.
2. 영양소의 최종 소화 산물
(1) 탄수화물 : 포도당(침, 이자액, 장액에 의해)
지방 : 지방산, 글리세롤(이자액에 의해)
단백질 : 아미노산(위액, 이자액, 장액에 의해)
3. 영양소의 흡수
(1) 모세 혈관으로 흡수되는 영양소 : 포도당, 아미노산, 물, 무기 염류, 수용성 비타민(B·C) 등은 융털의 모세 혈관으로 흡수된다.
(2) 암죽관으로 흡수되는 영양소 : 지방산, 글리세롤, 지용성 비타민(A·D·E·K) 등은 융털의 암죽관으로 흡수된다.
4. 흡수된 영양소의 이동
(1) 모세 혈관으로 흡수된 영양소 : 모세 혈관→간문맥→간→대정맥→심장→대동맥→온몸
(2) 암죽관으로 흡수된 영양소 : 암죽관→가슴관→목 밑 대정맥→심장→대동맥→온몸
5. 흡수된 영양소의 이용과 저장
(1) 포도당 : 포도당의 일부는 간에 글리코겐의 형태로 저장되고, 나머지는 온몸의 조직 세포로 운반되어 에너지원으로 쓰인다.
(2) 아미노산 : 세포로 운반된 아미노산은 다시 단백질로 합성되어 원형질의 재료가 된다.
(3) 지방산과 글리세롤 : 지방산과 글리세롤은 지방으로 재합성되어 암죽관으로 흡수되며, 온몸의 조직 세포로 운반되어 에너지원으로 쓰이거나 피부 밑 등에 저장(피하지방)된다.
추천자료
합병후 소화불량에 시달리는 대기업들
국제 소화물 운송(UPS, TNT, DHL)
해부학에서의 인체 소화계에 대해서...
위장사례연구 (소화불량)
인간의 소화와 영양
아파트 소화설비 배관(밸브)
성인간호학 (소화기내과) 간호진단
성인간호학 (소화기내과) 간경변증
소화제 판매전략에 대해서
소화기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소화성궤양(십이지장궤양) case study
소화성궤양의 병태생리 및 원인과 부작용, 진단방법 및 증상과 간호과정과 교육방법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소화기내과 CBD stone
대학로 명소화 마케팅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