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평신도와 그 사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늘의 평신도와 그 사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평신도운동의 역사
2. 평신도는 누구인가?
3. 평신도의 위치와 사명
4. 평신도와 교회
5. 우리 교회가 지향할 평신도 운동

본문내용

교(koinonia), 그리고 봉사(dikonia)라고 한다. 봉사는 교회의 중요한 본질적인 사명이며, 이것이 교회가 교회되게 하는 하나의 중요한 요소이다. 그런데 이 봉사에 있어서 평신도는 주역으로서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원래 목사라는 말의 어원에도, 그리고 요즘 흔히 쓰는 minister라는 말도 "섬긴다"는 뜻이 담겨져 있다. 섬기며 봉사하는 것은 교회의 절대적 소명인 것이다. 또한 집사라는 말 diakonos라는 말의 어원도 봉사라는 diakonia인 것을 보면 교회에서의 집사의 직분이, 평신도의 직분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다. 성직자들이 말씀을 전하며 모이는 교회에서 되어진 모든 일의 결론은, 흩어지는 교회에서 결론지어지는 것이 교회의 모습이라고 볼 때에, 평신도들의 삶의 형태를 통하여 교회의 결론적 모습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5. 우리 교회가 지향할 평신도 운동
교인의 큰 축복의 하나는 좋은 교역자를 모시고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교역자는 큰 축 복은 좋은 교인들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참 좋은 교회는 좋은 교역자가 있어서가 아니라 좋 은 교인들이 모인 교회이다. 참 좋은 교회를 위하여 평신도들이 지향할 모습들이 있다. 이것 은 좋은 교회를 위한 평신도의 책임인 동시에 교회의 본래의 모습일 것이다. 칼빈의 교회론에는 보이는 교회(Visible church)와 보이지 않는 교회(Invisible church)를 구분하면서 참 교회는 보이지 않는 교회인 것을 말하고 있다. 좋은 교회는 보이지 않는 아름다운 요소를 많이 가진 성 도들의 모임일 것이다 교회 안에서 함께 모여 말씀으로 뭉치며(Inreach), 교회 밖에 나아가서 작 은 하나의 교회로서 살아가는 (Outreach), 그리하여 교회인으로서가 아니라 작은 하나의 교회로서 사는 것이 바른 평신도의 위상일 것이다.
이러한 평신도가 되기 위하여 가정에서 좋은 가족이 되고, 그 가정이 또 하나의 교회가 되게 하며 사회에 나아가서 좋은 사회인이 되어, 사회가 선교의 장이며 하나님의 나라가 되게 하는 것이다. 모든 교회인은 교회의 주체이다. 평신도의 교회의 방관자나 참관자가 아니라, 교회의 참 여자이며 주역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평신도를 동력화(Mobilizing)하고, 평신도의 지도력을 개발하여(Discipling) 좋은 평신도를 많이 가지는 것이 좋은 교회가 되는 길이다. 이러한 일은 목사의 관심과 평신도 자신의 자각으로 가능할 것이다.

키워드

신학,   평신도,   운동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1.19
  • 저작시기200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0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