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지도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사지도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단원 지도 계획
1. 단원명
2. 단원의 개관
3. 단원목표
4. 단원 학습 계열
5. 단원 학습 계열(도식)
6. 단원 지도 계획
7.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8. 단원 학습 평가

■ 본시 학습 지도안

1. 형성 평가
2. 판서안

본문내용

생각할 시간을
주고, 자유롭게 이야기
해 볼 수 있도록 한다.
PPT[남북한 통일]
3. 태조의 정책
① 북진정책
② 대호족 정책
가. 회유
- 혼인, 사성
나. 견제
- 기인, 사심관
③ 대민정책
④ 정치제도마련
⑤ 역분전지급-공신
⑥ 편찬작업
⑦ 불교숭상
° 태조의 정책 목적을 설
명하고 PPT[태조의
정책]를 통해 그 내용을
설명한다.
° PPT[훈요십조]를
통해 훈요십조를 설명한
다.
° 태조 정책의 목적을
상기하면서 정책 내
용을 이해한다.
° 훈요십조의 내용을
이해한다.
PPT[태조의 정책]
4. 광종의 개혁정치 ① 노비안검법
② 과거제도
③ 공복 제정
④ 황제, 연호 사용
⑤ 전시과(경종)
° 광종의 개혁정치의 목적
을 설명한다.
° 광종의 개혁정치내용을
PPT[광종의개혁정책]
를 통해 설명한다.
° 광종의 개혁정치의
목적을 상기하면서 정
치내용을 이해한다.
PPT[광종의 개혁정치]
5. 유교적 정치질서
의 강화
① 시무 28조
② 과거제 정비
③ 정치체제마련
° PPT[성종의유교정치]
를 통해 성종의 유교정치
를 설명한다.
° 드라마 천추태후의 예시
를 들어 이해를 돕는다.
° 질문
- 고려 초기 정책을 살펴
보았는데, 가장 큰 정
치 변하는 무엇일까요?
° 성종의 유교정치를
이해한다.
° 답변
- 과거제실시입니다.
° 드라마 이야기로 주위가
산만해 지지 않도록 주
의한다.
PPT[성종의 유교정치]
단계
학습내용
교수 -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사항
교 사
학 생
정리

형성
평가
(8分)
1. 본시 수업 정리
① 중세의 세계
② 고려의 성립과
민족의 재통일
③ 태조의 정책
④ 광종의 개혁
⑤ 유교적 정치 질서
의 강화
° 본시 수업 내용을 정리
한다.
° 교과서에 중요부분을
읽어주며 정리한다.
° 본시 수업 설명을 경
청 한다.
° 교과서에 중요부분
에 밑줄을 긋는다.
° 교과서 중요부분 밑줄에 주위를 기울이도록 한다.
2. 형성 평가
① 태조의 정책
② 광종의 정책
③ 최승로의 시무28조
° 형성평가 문제지를
배포한다.
° 형성평가 문제를 PPT[형성평가]를 통해
모든 학생이 같이 풀어
본다.
° 형성 평가 문제지를
받는다.
° 다함께 문제를
풀어본다.
° 형성 평가 문제지를
잘 보관하도록 지시
한다.
° 조용한 분위기에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주위를 집중시킨다.
° 오답을 말한 학생의
경우 해당 교과서
페이지를 알려주어
복습하도록 한다.
3. 과제 제시
① 형성 평가 문제 중
풀지 못한 문제를
과제로 제시한다.
° 차시수업까지 형성평가 문제를 풀어오도록
한다.
° 본시 과제는 성적에
포함됨을 전달해 준다.
° 선생님의 말씀을
주의 깊게 듣고
의문사항이 있을 경 우 질문한다.
° 형성평가 문제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시한다.
° 다음시간에 형성 평가
문제지를 지참하도록
한다.
4. 차시 예고
3. 통치체제의 정비
① 중앙정치조직
② 지방 행정
조직의 정비
③ 군역 제도와
군사 조직
④ 관리 등용 제도
° PPT[차시예고]를 보
여준다.
° 차시에는 고려의 통치 체제의 정비에 관한 내 용을 배운다고 예고한 다.
° 교과서 77쪽~79쪽을
펼치도록 지시한다.
° 교과서를 2번씩 읽어
오도록 지시한다.
° 학생들과 인사한다.
° 교과서 편다.
° 교과서를 보며 차시 수업 내용을 확인
한다.
° 바른자세 인사한다.
PPT[차시예고]
° 예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수업이 끝날 때 까지
주의 집중을 하도록
유도한다.
◈ 형성평가
학년

번호
이름
평가
1. 다음 정책들의 공통적인 목적을 가장 타당하게 추론한 것은?
고려 태조왕건은 취민유도(取民有度)를 내세우고 억울하게 노비가 된 자를
풀어주었다.
고려 태조는 훈요10조에서 연등회와 팔관회를 성대히 거행하도록 당부 하
고있다.
① 전제왕권을 강화하려 하였다.
② 흐트러진 민심을 수습하려 하였다.
③ 호족 세력들을 회유, 포섭하려 하였다.
④ 국가의 재정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하였다.
⑤ 정부 차원에서 민간 사상을 통제하려 하였다.
2. 다음과 같은 광종의 개혁과 그 성격이 유사한 것을 <보기>에서 고르면?
- 주현 공부법을 시행하여 국가 수입의 증대를 꾀하였다.
- 후삼국의 혼란기에 불법적으로 노비가 된 자를 조사하여 양인으로 해방시켜 주었다.
- 공신의 자제를 우선적으로 등용하는 종래의 무질서한 관리 등용 제도를 억제하고 과거
제도를 도입하였다.
ㄱ. 삼국 시대에는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는 귀 족들 간의 합의제가 존재하였다.
ㄴ. 신라 중대의 신문왕은 귀족들의 녹읍을 폐지하고 성덕왕은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
하였다.
ㄷ. 무신 정권 시대의 최충현은 교정도감을 설치하여 권력을 행사하였다.
ㄹ. 고려 말 공민왕은 정방을 폐지하였다.
① ㄱ,ㄴ ② ㄱ,ㄷ ③ ㄱ,ㄹ ④ ㄴ,ㄷ ⑤ ㄴ,ㄹ
3. 다음의 주장이 제기되었을 무렵의 고려 사회에 관한 설명은?
불교를 행하는 것은 수신(修身)의 도(道)요, 유교를 행하는 것은 치국(治國)의 본(本)입니다. 수신은 내생(來生)의 자(資)요, 치국은 금일의 요무(要務)로서 , 금일은 지극히 가깝고 내생은 지극히 먼 것인데도 가까움을 버리고 지극히 먼 것을 구함은 잘못이 아니겠습니까?
① 12목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② 공신들에게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③ 지눌이 정혜결사문을 발표하고 조계종을 창시하였다.
④ 묘청의 난이 일어나 칭제 건원과 금국 정벌을 주장하였다.
⑤ 공신과 호족 세력을 숙청하여 황제라 칭하고 자주적인 연호를 사용
< 답 : 1. ② 2. ⑤ 3. ① >
◈ 판서안
< 대단원 > Ⅲ. 통치 구조와 정치 활동
< 중단원 > 2. 중세의 정치
< 소단원 > 중세의 사회 - 중세 사회의 성립과 전개
< 학습목표 >
1. 고려의 후삼국통합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남한이 취해야 할 통일에
대한 자세와 전망에 대해 알아본다.
2. 고려 초기 정책을 통해 우리나라의 고대에서 중세로의 정치변화를 알 수 있다.
칠판 1
발해
중국
고려
백제
신라
칠판 2

중서문하성
상 서 성
이부
병부
호부
형부
예부
공부
중 추 원
어 사 대
삼 사








당의 관제
송의 관제
고려실정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2.08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0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