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목
2. 날짜
3. 목적
4. 원리
5. 재료 및 방법
6. 결론
7. 고찰
2. 날짜
3. 목적
4. 원리
5. 재료 및 방법
6. 결론
7. 고찰
본문내용
다. 이렇게 살균해도 배지가 오염될 수 있으니, 필요한 양보다 더 넉넉하게 배지를 만들었다. 배지는 증류수의 양이 너무 많거나 적으면 미생물을 배양하기 적절치 않으므로 물의 양을 정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 다른 조는 이에 실패해 배지가 제대로 굳지 않았지만, 우리 조는 배지가 적절하게 잘 굳었다. 그리고 걱정했던 것과는 달리 오염도 되지 않았다.
추천자료
대장균 적용범위 측정원리 계수법
미생물레포트
LB medium 제작 및 OpticalDensity(OD)그리고 성장곡선 생물실험보고서
균류의 정단생장에 관한 조사
광합성 박테리아의 특질을 이용한
식품의 미생물(총균수 및 대장균군) 품질평가
[세균학실험]1.식중독세균의검출
미생물 배양 & 관찰
발효공학 시험 레포트
지역특화버섯재배기술-양송이버섯 품질보존 기간 연장기술
세균의 개요, 세균과 돌연변이체, 세균과 장내세균, 세균과 세균성이질균의 개념, 세균과 세...
1.토양균 streaking 토양균의 형태와 배열
1.박테리아의 동정(Gram stain)7.담수조류의 관찰13.원생동물 및 곰팡이의 관찰
[미생물학] 막걸리 유산균분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