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창조론의 지지입장에서의 진화론 비판
본문내용
여 만들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가장 정교 한 기계보다도 더욱 우수한 생명체는 처음부터 완벽한 상태로 존재하여야 합니다. 불완전한 기관은 곧 죽은 것이고 자연 상태 하에서 부패되어 없어질 것기 때문입니다. 열역학 제2법칙은 다음과 같은 의미에서 창조를 지지함을 알 수 있습니다.
첫째, 제 2법칙은 과거 오래 전에 유용한 에너지가 많았고, 질서 있는 상태가 있었음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또 제 2 법칙은 자연적으로 이러한 상태가 발생할 수 없음을 말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초자연적인 설명이 유일한 해답으로 제시될 수밖에 없습니다.
둘째, 제2법칙은 생명체가 우연히 저절로 발생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나타 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명체는 현재 존재하고 있습니다. 만약 자연적인 과정이 생명의 기원을 설명할 수 없다면, 초자연적인 기원이 타당한 원인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셋째, 자연주의적 환원주의는 모든 것이 궁극적으로 우연히 무로부터 왔다 고 가르칩니다. 그러나 열역학 제1법칙, 즉 에너지 보존 법칙은 저절로 물질과 에너지가 발생 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질 세계에 시작이 있음이 분명하고, 제2법칙에 의하여 계속 엔트로피가 증가해 왔으며, 자연적인 과정으로 물질과 에너지가 저절로 발생할 수 없다면, 그 최초의 시작은 반드시 초자연적인 원인이 있었음이 틀림없습니다.
3) 진화론에 대하여 과학은 자연 현상에 대하여 사실과 진리를 탐구하는 열린 학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사가 토마스 쿤이 그의 '과학 혁명의 구조'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사실에 대한 해석 혹 은 패러다임이 다른 과학자 그룹 사이에 인간적 갈등도 있는 것이 역사적 사실입니다. 일군의 과학자들이 자신들이 평생을 바쳐 연구하고 이루어 놓은 내용을 다른 그룹의 사람들이 틀렸다 고 하면, 과학자이기 이전에 인간적 감정이 앞서서 반발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실제로 과학의 발달사를 보면 이러한 충돌이 적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갈릴레이 재판이라 하겠습니다. 천동설이 편만한 당시, 지동설이라는 천박한(?) 이론을 들고 나온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는 무척 용맹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겁이 많은 코페르니쿠스는 자신이 연구한 업적을 발간도 못하고 있었는데, 그의 친구가 대신 그가 죽은 후 발간해 주었다는 것도 밝혀져 있습니다. 진화론과 창조론도 1859년 다윈이 종의 기원을 발간할 때부터 지금까지 이러한 갈등 이 있습니다. 둘 다 기원 과학에 포함되며 천동설과 지동설처럼 서로 양립하기 어려우며, 과학 적 측면보다는 세계를 이해하는 세계관적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많은 오해가 있기도 합니다. 우리가 천동설과 지동설에 대해서 바라는 것은 오늘날처럼 자유롭게 자기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분위기가 되어서 그러한 역사적 오명을 남기지 않고 발전할 수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진화론과 창조론은 상대방에 대한 비난보다는 열린 마음으로 상대방의 주장을 경청하고 과학적 사실과 진리를 발견하려는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첫째, 제 2법칙은 과거 오래 전에 유용한 에너지가 많았고, 질서 있는 상태가 있었음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또 제 2 법칙은 자연적으로 이러한 상태가 발생할 수 없음을 말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초자연적인 설명이 유일한 해답으로 제시될 수밖에 없습니다.
둘째, 제2법칙은 생명체가 우연히 저절로 발생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나타 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명체는 현재 존재하고 있습니다. 만약 자연적인 과정이 생명의 기원을 설명할 수 없다면, 초자연적인 기원이 타당한 원인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셋째, 자연주의적 환원주의는 모든 것이 궁극적으로 우연히 무로부터 왔다 고 가르칩니다. 그러나 열역학 제1법칙, 즉 에너지 보존 법칙은 저절로 물질과 에너지가 발생 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질 세계에 시작이 있음이 분명하고, 제2법칙에 의하여 계속 엔트로피가 증가해 왔으며, 자연적인 과정으로 물질과 에너지가 저절로 발생할 수 없다면, 그 최초의 시작은 반드시 초자연적인 원인이 있었음이 틀림없습니다.
3) 진화론에 대하여 과학은 자연 현상에 대하여 사실과 진리를 탐구하는 열린 학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사가 토마스 쿤이 그의 '과학 혁명의 구조'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사실에 대한 해석 혹 은 패러다임이 다른 과학자 그룹 사이에 인간적 갈등도 있는 것이 역사적 사실입니다. 일군의 과학자들이 자신들이 평생을 바쳐 연구하고 이루어 놓은 내용을 다른 그룹의 사람들이 틀렸다 고 하면, 과학자이기 이전에 인간적 감정이 앞서서 반발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실제로 과학의 발달사를 보면 이러한 충돌이 적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갈릴레이 재판이라 하겠습니다. 천동설이 편만한 당시, 지동설이라는 천박한(?) 이론을 들고 나온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는 무척 용맹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겁이 많은 코페르니쿠스는 자신이 연구한 업적을 발간도 못하고 있었는데, 그의 친구가 대신 그가 죽은 후 발간해 주었다는 것도 밝혀져 있습니다. 진화론과 창조론도 1859년 다윈이 종의 기원을 발간할 때부터 지금까지 이러한 갈등 이 있습니다. 둘 다 기원 과학에 포함되며 천동설과 지동설처럼 서로 양립하기 어려우며, 과학 적 측면보다는 세계를 이해하는 세계관적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많은 오해가 있기도 합니다. 우리가 천동설과 지동설에 대해서 바라는 것은 오늘날처럼 자유롭게 자기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분위기가 되어서 그러한 역사적 오명을 남기지 않고 발전할 수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진화론과 창조론은 상대방에 대한 비난보다는 열린 마음으로 상대방의 주장을 경청하고 과학적 사실과 진리를 발견하려는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