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성서 속에서의 정경 발견 불가
3.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의 분리 불가
4. 계시는 사실 이상의 것임
5. 정경 질문의 특색
6. 정경 질문의 실천 난해성
7. 비판의 의미
8 마이어의 견해 분석
9. 역사적 성서적 방법의 필연성
2. 성서 속에서의 정경 발견 불가
3.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의 분리 불가
4. 계시는 사실 이상의 것임
5. 정경 질문의 특색
6. 정경 질문의 실천 난해성
7. 비판의 의미
8 마이어의 견해 분석
9. 역사적 성서적 방법의 필연성
본문내용
니라 "자유적 이서 교만의 포기"이다. 따라서 철학적 사유는 계시에 종속되게 될 때, 오히려 성서 해석에 폭넓은 해석학적 지펑을 제시해 준다. 다우기 리꾀르는 해석학적 현상학의 착상을 통해서 불트만의 인간 실존위주의 성서 해석학을 비판하고 있으며, 불트만의 인간학적 실존론적 해석학이 간과했 던 성서 텍스트의 고유한 세계 - 신학적 고유한 세계 - 를 발견하고 있다. 이러한 리꾀르의 해석학적 착상은 종교 개혁적인 "오직 성서만으로"(Sola Scri ptura)에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철학적 해석학은 성서적 계시 사고를 경험하는 태도 속에서 그 자율성 을 포기하고, 계시에 대해 열려 있는 반성 속에서, 해석에 방법론적으로 응용될 때, 성서 해석학은 더 깊고 넓은 방법론과 해석학적 지평을 지닐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