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상특징, 병리소견
[2] 분류(CLASSIFICATION)
[3] 원인(EIOLOGY)
[4] 임상증상 (CLINICAL MANIFESTATION)
[5] Initial manage
[6] Further manage
[7] chronic aortic dissection의 치료
[8] follow up
[2] 분류(CLASSIFICATION)
[3] 원인(EIOLOGY)
[4] 임상증상 (CLINICAL MANIFESTATION)
[5] Initial manage
[6] Further manage
[7] chronic aortic dissection의 치료
[8] follow up
본문내용
n의 합병증:
· stable, isolated arch dissection
(type B or type Ⅲ)
· stable chronic dissection
· progression with vital organ compromise
(uncomplicated dissection presenting 2week orlater after onset)
· rupture or impending rupture
(예. Saccularaneurysm formation
peroaortic hematoma, mediastinal hematoma)
· retroprade extension into ascending aorta
- dissection in the Marfan's syndrome
- persistent, recurrent chest pain
[7] chronic aortic dissection의 치료
★ Choronic aortic dissection의 정의 :
acute event로부터 14일 경과 또는 우연히 발견된 경우
< Chronic aortic dissection의 치료 >
Type A (type ⅠⅡ)
- Indication for surgery as in non-dissectiong aneuryam if symptoms or AR or
aortic diameter > 5~6 cm
Type B (type Ⅲ)
- Indication for surgery as in non-dissectiong aneuryam if symptoms or
progressive aortic enlargement to ≥ 6.0 cm
[8] follow up
조기 사망하는 환자들로 전체적인 생존율을 파악하기 힘들지만, 치료를 하지 않으면 상행대동맥을 침범한 경우에는 관상동맥의 침범이나 심낭으로의 파열로 약 92%가, 하행대동맥만 침범한 경우에는 25%가 1개월 이내에 사망하게 됩니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심각한 합병증들이 생깁니다.
·- 2년 내에 subsequent aneurysm(속발성 동맥류) ↑
·- 첫 3~6 개월이 지나면 6~12 개월마다 CT 또는 MRI로 f/up한다.
·- BP control이 제일 중요 : β - blocker + ACE inhibitor ( target : 135 / 80 )
< Complication >
출혈 등에 의한 급사 외에도 저혈압성 쇼크 의한 허혈성 뇌손상을 비롯하여 중요한 분지를 막으므로 생기는 심각한 합병증이 있습니다. 침범한 혈관 분지에 따라서 심근경색, 신부전, 하반신 마비, 편측 마비, 장 괴사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예방법 >
일단 대동맥 박리가 생기면 치료를 받더라도 위험이 많이 따른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보이는 고혈압의 치료를 잘 받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또한 마르판 증후군 환자는 담당 주치의와 상의하여 대동맥 박리가 생기기 전에 미리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port
< Aortic Dissection;대동맥 박리증 >
· stable, isolated arch dissection
(type B or type Ⅲ)
· stable chronic dissection
· progression with vital organ compromise
(uncomplicated dissection presenting 2week orlater after onset)
· rupture or impending rupture
(예. Saccularaneurysm formation
peroaortic hematoma, mediastinal hematoma)
· retroprade extension into ascending aorta
- dissection in the Marfan's syndrome
- persistent, recurrent chest pain
[7] chronic aortic dissection의 치료
★ Choronic aortic dissection의 정의 :
acute event로부터 14일 경과 또는 우연히 발견된 경우
< Chronic aortic dissection의 치료 >
Type A (type ⅠⅡ)
- Indication for surgery as in non-dissectiong aneuryam if symptoms or AR or
aortic diameter > 5~6 cm
Type B (type Ⅲ)
- Indication for surgery as in non-dissectiong aneuryam if symptoms or
progressive aortic enlargement to ≥ 6.0 cm
[8] follow up
조기 사망하는 환자들로 전체적인 생존율을 파악하기 힘들지만, 치료를 하지 않으면 상행대동맥을 침범한 경우에는 관상동맥의 침범이나 심낭으로의 파열로 약 92%가, 하행대동맥만 침범한 경우에는 25%가 1개월 이내에 사망하게 됩니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심각한 합병증들이 생깁니다.
·- 2년 내에 subsequent aneurysm(속발성 동맥류) ↑
·- 첫 3~6 개월이 지나면 6~12 개월마다 CT 또는 MRI로 f/up한다.
·- BP control이 제일 중요 : β - blocker + ACE inhibitor ( target : 135 / 80 )
< Complication >
출혈 등에 의한 급사 외에도 저혈압성 쇼크 의한 허혈성 뇌손상을 비롯하여 중요한 분지를 막으므로 생기는 심각한 합병증이 있습니다. 침범한 혈관 분지에 따라서 심근경색, 신부전, 하반신 마비, 편측 마비, 장 괴사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예방법 >
일단 대동맥 박리가 생기면 치료를 받더라도 위험이 많이 따른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보이는 고혈압의 치료를 잘 받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또한 마르판 증후군 환자는 담당 주치의와 상의하여 대동맥 박리가 생기기 전에 미리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port
< Aortic Dissection;대동맥 박리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