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개정중점,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 개정방향,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 문제점,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 제고과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개정중점,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 개정방향,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 문제점,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 제고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성격

Ⅲ.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목표

Ⅳ.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Ⅴ.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Ⅵ.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Ⅶ.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문제점
1. 수업시간수의 부족
2. 교사의 자질과 연수부족
3. 교육환경의 미흡
4. 미술평가의 기준

Ⅷ.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제고 과제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금물이라는 것이다.
평가는 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흥미유발과 인격적 성장을 목표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미술과의 특성이 다른 어느 교과보다도 주관성이 많이 게재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상대평가로 학생을 비교하는 것보다는 절대기준에 의한 평가가 학생 개인의 작품이 어느 정도 수준이며, 어떤 부분이 미숙한지 파악할 수 있어 학생지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평가는 완성된 작품만으로 내려지는 것이 아니라 준비도, 제작과정, 완성도 등 다양한 것들을 모아 평가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 단독의 평가가 아니라 학생들과 같이 수업시간 중 토론을 해가며 평가하는 것은 평가의 기능에 있는 학습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음 학습을 더욱 촉진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넷째, 학생들이 창의적인 제작활동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이 학생들 스스로의 작품에 대한 평가이므로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들의 작품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주는 수업을 하여 즐거움과 함께 자발적으로 학생 자신들의 느낌과 생각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그들 자신에 대한 확신감과 자신감을 심어 주도록 해야 할 것이다.
미술활동은 교사의 개성과 아동의 개성이 상호작용을 하는 ‘인간적인 교감’이다. 이런 관점에서 미술과에서 평가하는 개념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학력을 측정, 평가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평가의 관점은 보다 효과적인 미술교육을 위한 평가이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는 것도 일종의 평가이며, 학생들의 미술 표현의 특징이나 발달과정을 살펴보는 것도 미술교육을 위한 일종의 평가이다. 효과적인 미술교육을 위한 평가를 하려면 목표에 준하는 평가로 미술교육 평가는 미술교육의 목적이 미적 안목과 조형능력, 창의성이므로 이 세 가지의 목적에 준하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Ⅷ.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의 제고 과제
교육과정에서 표현활동에 대한 내용을 중시하고 좀 더 자유롭게 교사가 수업을 구성하도록 배려한 것은 무척이나 고무적인 일이라 하겠다.
그런데 여기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이 있다. 그것은 현실적으로 미술교사가 전공한 분야 위주로의 편식 교육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전통미술을 강조하면서도 한국화를 전공하지 않은 교사의 경우 솔직히 한국화 수업을 기피하거나 모사 위주로 때우는 경향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미술의 다른 모든 분야도 중요하지만 한국 미술에 대한 교육은 자긍심 있는 한국 문화 창조를 위해 온고지신의 입장에서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외면한다면 서양문화 중심의 문화사대 교육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교육과정 평가원에 찾아가 미술과 교육과정을 만든 미술교육 연구실장에게 확인한 바에 의하면 현재 교육과정은 큰 테두리의 방향만 제시한 것이라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시안은 아직 확장되지 않았고 교육청 단위로 운영지침을 만들어야 된다고 한다.
운영지침을 만드는 과정에서 한국화 및 전통교육이 소홀하지 않게 다루어지는 것이 필자의 바램이다. 또한 학생의 표현활동을 중요시하다보면 단위 시간이 너무 짧아 많은 문제점이 다시 제기되리라고 생각한다. 이에 대해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이 시급할 것이다.
Ⅸ. 결론
국제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하는 것을 기본 정신으로 두고 개정되었다. 미술 교과도 총론에서 추구하는 개정의 기본 정신 및 중점 사항을 반영하여 기초 기본 교육을 충실히 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하고 학습자 중심의 미술 교육으로 많은 변화를 맞고 있다.
미술교과의 중점 개정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국민 공통 교육 기간을 하나의 내용체계로 구성하여 연계성을 살렸으며 전통 미술이 더욱 강조되었고 학습자의 학습량을 적정화하기 위해 표현활동에서 필수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내용을 구성하였다. 특히 감상 교육이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여 교수학습의 다양화를 추구하였으며 평가에 있어 미적 체험, 표현, 감상 모두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를 요구하고 있다.
참고문헌
◎ 금정, 세계의 미술교육, 예경, 1993
◎ 김삼랑, 미술교육계론, 미진사
◎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 모임 편저, 신나는 미술시간, 푸른나무, 1990
◎ 이병헌, 미술교육의 평가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 임영방, 미술의 길, 지학사, 1985
◎ 최병식 저, 미술의 이해, 숙명여대 출판부, 1993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43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