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발문(발문법, 발문전략)의 중요성
Ⅱ. 발문(발문법, 발문전략)의 원리
Ⅲ. 발문(발문법, 발문전략)의 조건
Ⅳ. 발문(발문법, 발문전략)과 칭찬
Ⅴ. 발문(발문법, 발문전략)과 단서
Ⅵ. 발문(발문법, 발문전략)의 사례
1. 국어과에서의 발문 예
2. 사회과에서의 발문 예
3. 수학과에서의 발문 예
4. 자연과에서의 발문 예
Ⅶ. 발문(발문법, 발문전략)의 모형
참고문헌
Ⅱ. 발문(발문법, 발문전략)의 원리
Ⅲ. 발문(발문법, 발문전략)의 조건
Ⅳ. 발문(발문법, 발문전략)과 칭찬
Ⅴ. 발문(발문법, 발문전략)과 단서
Ⅵ. 발문(발문법, 발문전략)의 사례
1. 국어과에서의 발문 예
2. 사회과에서의 발문 예
3. 수학과에서의 발문 예
4. 자연과에서의 발문 예
Ⅶ. 발문(발문법, 발문전략)의 모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한다. 교사의 발문에 학생이 어려움을 느끼면 초기에는 발산적, 평가적 발문은 가급적 피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사용을 늘린다.
수렴적인 발문과 발산적인 발문을 적절히 사용하되, 확산적 사고가 가능하도록 한다. 수업초기에는 발산적인 발문을 하여 다양한 사고를 하도록 하고, 수업이 끝나 갈수록 수렴적인 발문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학생의 질문에 직접적인 답을 하지 말고, 스스로 답을 발견할 수 있도록 질문을 세분화하여 단계적으로 학생에게 다시 질문한다. 필요한 경우 다른 학생들에게 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의 반응을 주의 깊게 듣고 칭찬한다. 학생의 반응이 교사가 발문 시 의도했던 수준에 도달했는지 점검하여, 도달하지 않았다면 그러한 반응이 나오도록 유도한다. 정답이 나왔다고 바로 멈추지 않는다. 또, 첫 번째 반응자가 보다 완전한 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준 후에 다른 학생에게 반응 기회를 준다. 이를 통해 그 학생의 오개념, 불완전한 정보, 제한된 경험에 관한 단서를 얻을 수 있다.
개념의 갈등을 유발하기 위해 많은 발문을 이용한다. 학생들은 새로운 의미를 채택하거나 자기의 사고에 추가하기 위해서 지적 비평형 상태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적 비평형을 유발할 수 있는 발문을 하여야 한다.
교사의 이야기는 적게 하고, 발문은 많이 한다. 학생들이 교사에게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하고 안내한다. 학생들에게 내용을 전달하는 대신에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상호 생각을 공유하고, 또 반응할 수 있도록 토론을 유도한다.
보다 완전하고 보다 복잡한 반응을 얻을 수 있는 발문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다리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야 한다. 먼저, 기본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에 발문을 통해서 보다 복잡한 반응을 요구함으로써 정보를 보완해 간다.
참고문헌
김계순(1991), 교사의 질문활용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명치도서(1995), 수업연구, 동경 : 명치도서
변홍규(1994), 질문제시의 기법-능률적 질문 개념 훈련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사
박병학(1978), 창조적 발문법, 서울 : 육성출판사
전영수(1998), 교사의 발문유형이 사회과 학업성취와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패트시리아 E 블로저, 송용의 역(1987), 교육신서 159, 효율적인 교사의 발문기법, 서울 : 배영사
수렴적인 발문과 발산적인 발문을 적절히 사용하되, 확산적 사고가 가능하도록 한다. 수업초기에는 발산적인 발문을 하여 다양한 사고를 하도록 하고, 수업이 끝나 갈수록 수렴적인 발문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학생의 질문에 직접적인 답을 하지 말고, 스스로 답을 발견할 수 있도록 질문을 세분화하여 단계적으로 학생에게 다시 질문한다. 필요한 경우 다른 학생들에게 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의 반응을 주의 깊게 듣고 칭찬한다. 학생의 반응이 교사가 발문 시 의도했던 수준에 도달했는지 점검하여, 도달하지 않았다면 그러한 반응이 나오도록 유도한다. 정답이 나왔다고 바로 멈추지 않는다. 또, 첫 번째 반응자가 보다 완전한 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준 후에 다른 학생에게 반응 기회를 준다. 이를 통해 그 학생의 오개념, 불완전한 정보, 제한된 경험에 관한 단서를 얻을 수 있다.
개념의 갈등을 유발하기 위해 많은 발문을 이용한다. 학생들은 새로운 의미를 채택하거나 자기의 사고에 추가하기 위해서 지적 비평형 상태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적 비평형을 유발할 수 있는 발문을 하여야 한다.
교사의 이야기는 적게 하고, 발문은 많이 한다. 학생들이 교사에게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하고 안내한다. 학생들에게 내용을 전달하는 대신에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상호 생각을 공유하고, 또 반응할 수 있도록 토론을 유도한다.
보다 완전하고 보다 복잡한 반응을 얻을 수 있는 발문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다리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야 한다. 먼저, 기본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에 발문을 통해서 보다 복잡한 반응을 요구함으로써 정보를 보완해 간다.
참고문헌
김계순(1991), 교사의 질문활용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명치도서(1995), 수업연구, 동경 : 명치도서
변홍규(1994), 질문제시의 기법-능률적 질문 개념 훈련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사
박병학(1978), 창조적 발문법, 서울 : 육성출판사
전영수(1998), 교사의 발문유형이 사회과 학업성취와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패트시리아 E 블로저, 송용의 역(1987), 교육신서 159, 효율적인 교사의 발문기법, 서울 : 배영사
추천자료
발문법(질문법)
좋은 발문법
발문법에 대하여
발문(발문법, 발문기법) 분류와 특성, 발문(발문법, 발문기법) 원리와 유의사항, 발문(발문법...
발문(발문전략, 발문법)의 개념과 종류, 발문(발문전략, 발문법) 규칙, 발문(발문전략, 발문...
[발문][발문법]발문(발문법)의 분류, 발문(발문법)의 특징, 발문(발문법)의 조건, 발문(발문...
발문(발문법, 발문전략) 특징과 기초, 발문(발문법, 발문전략) 계열화와 과정, 발문(발문법, ...
발문(발문기법, 발문법) 유형과 목적, 발문(발문기법, 발문법) 원리, 발문(발문기법, 발문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