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학과 대학문화
가. 당신은 왜 대학에 진학을 했습니까?
나. 대학이라는 곳에 대해서....,
가. 당신은 왜 대학에 진학을 했습니까?
나. 대학이라는 곳에 대해서....,
본문내용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실지로, 대학 주변을 정부가 관광특구로 지정해서 청소년들의 탈선 장소와 유흥업소촌으로 만든다는 한 대학의 관광특구 반대 투쟁이 있었다. 결국, 대학의 낭만은 사회구조 속에서 대학에 대한 하나의 허구를 제공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 시대와 사회가 지닌 구조적 문제점들을 은폐하기 위한 지배집단의 조직과 강요에 의해 대학의 낭만은 존재해 왔던 것이다. 대학만 들어가면 모든 것이 해결되리라는 생각을 우리 중고등학생들에게 불어 넣어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대학에는 낭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대학에는 20살의 타오르는 정열을 기반으로 한 순수한 삶이 있다. 필자는 대학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대학을 찾아 볼 기회가 있었다. 드넓은 대학 교정, 가을 바람에 흩날리는 낙엽, 잔디밭에서 도란도란 이야기하는 사람, 술을 마시는 사람, 남녀가 함께 호숫가 벤치에 앉아 사랑 대화를 하고 있는 모습. 이 모두가 대학의 자유스럽고 한가한 모습이었고 그렇게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입학을 한 후, 필자에게 일어난 일은 그것이 아니었다. 학교 문제를 가지고 심한 싸움을 문교부와 하고 있었다. 연일 집회 속에 화염병이 날아다니고, 최루탄 가스도 흠뻑 마셔보고, 도대체 대학의 낭만이라고는 한 학기 동안 찾아 볼 수가 없었다. 결국, 필자는 대학의 낭만이 우리가 보고들은 것과 다르다고 생각을 해왔다.
대학의 낭만은 자신이 어떻게 창조적으로 대학생활을 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동아리에서 밤새 세미나를 하고 술을 마시며 멀리 떠오르는 해를 바라보았을 때의 낭만, 집회를 끝마치고 거리를 치우는 뿌듯한 낭만과 전경들 앞에서 옆에 있는 여학우의 손을 살짝 잡아보는 낭만, 비지땀을 흘려가며 농민들과 함께 일하는 낭만, 조국의 통일을 위해 눈물을 흘리는 낭만, 학교를 사랑하고 학우들을 사랑하는 학원자주화운동 속에서 느끼는 낭만, 잔디밭에서 동기와 끊임없는 인생 이야기를 시간가는 줄도 모르고 하는 그런 낭만.
우리는 이러한 낭만을 대학생활이 자신 스스로가 주역이 되어 헤쳐나가는 과정 속에서 고통과 고민을 근간으로 하는 낭만임을 알 것이다. 이 대학의 고통과 고민은 대학의 분노로 타오르는 20살의 순수한 정열을 지니고 지켜나가는 역할을 할 것이다. 바로 이것이, 대학은 단순한 낭만의 공간이 아니라,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고 보다 넓은 세계를 향해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으로서 나아가는 고통과 고민의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자신의 대학생활이 현실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준사회인으로서 현실에 참여하는 능동적이고 자주적인 과정을 밟으며 자신의 삶을 창조하는 현실참여라는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하겠다.
이상으로 대학의 4가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제 우리는 이 대학공간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살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른 공간보다 조금 특수한 공간인 대학공간과 이 대학공간을 채우고 있는 대학문화, 그리고 그 문화를 바탕으로 한 대학 내의 공동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특히, 앞으로 다루게 될 대학 내의 공동체가 이 책의 주요 골자가 될 것이다.
그러나 대학에는 낭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대학에는 20살의 타오르는 정열을 기반으로 한 순수한 삶이 있다. 필자는 대학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대학을 찾아 볼 기회가 있었다. 드넓은 대학 교정, 가을 바람에 흩날리는 낙엽, 잔디밭에서 도란도란 이야기하는 사람, 술을 마시는 사람, 남녀가 함께 호숫가 벤치에 앉아 사랑 대화를 하고 있는 모습. 이 모두가 대학의 자유스럽고 한가한 모습이었고 그렇게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입학을 한 후, 필자에게 일어난 일은 그것이 아니었다. 학교 문제를 가지고 심한 싸움을 문교부와 하고 있었다. 연일 집회 속에 화염병이 날아다니고, 최루탄 가스도 흠뻑 마셔보고, 도대체 대학의 낭만이라고는 한 학기 동안 찾아 볼 수가 없었다. 결국, 필자는 대학의 낭만이 우리가 보고들은 것과 다르다고 생각을 해왔다.
대학의 낭만은 자신이 어떻게 창조적으로 대학생활을 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동아리에서 밤새 세미나를 하고 술을 마시며 멀리 떠오르는 해를 바라보았을 때의 낭만, 집회를 끝마치고 거리를 치우는 뿌듯한 낭만과 전경들 앞에서 옆에 있는 여학우의 손을 살짝 잡아보는 낭만, 비지땀을 흘려가며 농민들과 함께 일하는 낭만, 조국의 통일을 위해 눈물을 흘리는 낭만, 학교를 사랑하고 학우들을 사랑하는 학원자주화운동 속에서 느끼는 낭만, 잔디밭에서 동기와 끊임없는 인생 이야기를 시간가는 줄도 모르고 하는 그런 낭만.
우리는 이러한 낭만을 대학생활이 자신 스스로가 주역이 되어 헤쳐나가는 과정 속에서 고통과 고민을 근간으로 하는 낭만임을 알 것이다. 이 대학의 고통과 고민은 대학의 분노로 타오르는 20살의 순수한 정열을 지니고 지켜나가는 역할을 할 것이다. 바로 이것이, 대학은 단순한 낭만의 공간이 아니라,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고 보다 넓은 세계를 향해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으로서 나아가는 고통과 고민의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자신의 대학생활이 현실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준사회인으로서 현실에 참여하는 능동적이고 자주적인 과정을 밟으며 자신의 삶을 창조하는 현실참여라는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하겠다.
이상으로 대학의 4가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제 우리는 이 대학공간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살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른 공간보다 조금 특수한 공간인 대학공간과 이 대학공간을 채우고 있는 대학문화, 그리고 그 문화를 바탕으로 한 대학 내의 공동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특히, 앞으로 다루게 될 대학 내의 공동체가 이 책의 주요 골자가 될 것이다.
추천자료
국공립대학 교육자율화의 방향과 과제
고등학교 수학 교육 과정 중 행렬 부분 교육
『당신들의 대한민국』을 읽고
교육사회학] 교육열 올바로보기 서평
영국의 교육제도
보건교육E]초/중/고등학생(청소년)의 흡연 예방교육
<문화와교육-완벽정리> 다른나라의 교육제도를 다룬 문헌 읽고 우리나라 교육제도와 다른점, ...
[문화와교육B형]다른나라교육제도를다룬문헌선택,우리나라교육제도와 다른점을 지적, 요인분석
[통일교육][남북통일]사이버세대(c세대)의 개념, 사이버세대(c세대)의 통일의식, 통일교육의 ...
중고등학교의 문화와 대학교 문화와의 차이점
고등학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화정책)와 자립형사립고, 자율학교, 고등학교평준화제도(고교평...
[독일교육][독일의 교육]독일교육의 교육과정, 독일교육의 학교제도, 독일교육의 중등학교, ...
《교육학교과교육론 세미나》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을 배우는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