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4.19혁명의 배경
2. 4.19혁명의 원인
3. 4.19혁명의 전개
4. 4.19혁명의 과도정부수립과 전개
2. 4.19혁명의 원인
3. 4.19혁명의 전개
4. 4.19혁명의 과도정부수립과 전개
본문내용
을 저질렀던 자들을 처벌하며, 전직 자유당 관리나 부정축재자를 즉각적이고 혹독하게 처벌하라는 국민들의 요구에 직면하고 있었다. 한편 정치문제에 있어서 과도정부에 의한 양당제도의 확립을 위한 조처가 기대되었으나, 과도정부로서는 자유당의 부활이나 또는 좌익적 정당의 등장을 용인할 수도 없었다. 이처럼 상충되는 과제에 부딪힌 과도정부는 최소한의 현상유지책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정부는 단지 선거부정이나 정치 테러에 책임을 지고 있는 경찰의 최고 간부들만을 해임시켰을 뿐, 근본적인 문제처리에는 미흡했다. 과도정부는 부정축재자를 처벌하겠다는 방침을 반복해서 밝혔으나, 실제로는 몇 사람에 대하여 과거의 부정을 자진신고하게 하고, 부정축재분을 사회에 환원시키는 데 그쳤다. 7월에 가서야 이승만 정권 밑에서 부정축재한 18명의 개인과 기업가 66명의 명단을 공개하고, 이들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짧은 과도정권 기간중 허정정부는 줄곧 '비혁명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입장을 견지한 결과, 후계정권이 혁명적 개혁조치를 지향하는 데 많은 제약과 어려운 숙제를 남겨주었다. 그러나 허정정부가 이룩했던 중요한 정치적 발전의 하나는 정치세력집단으로서의 자유당의 해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