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균과 소독의 정의, 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멸균과 소독의 정의
방법

본문내용

발도 입구에서 바꾸어 신도록 하고 실내 전용의 가운을 착용하여야 한다.
㉢ 감수성 환자에 대한 주의사항
: 현대의 의학은 각종 중병을 가진 환자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심장수술, 인공심폐, 인공투석, 장기이식 등 지금까지 불치로 생각됐던 질병에 이환된 환자도 삶을 연장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치료법은 어려운 수술법과 장기간의 처치가 필요하며, 특히 환자는 감염에 대하여 감수성이 높아진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환자 중에는 미숙, 면역부전, 혈액질환, 악성종양 등으로 감염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병원내감염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환자의 처치에는 감염의 매개체가 되는 일이 없도록 철저히 주의해야한다.
ⓐ 병원내 감염방지: 병원 내에서 특히 청결이 요구되는 장소(무균치료실, 집중치료실, 수술실, 신생아실, 미숙아실, 세균검사실 등)를 청결하게 함은 물론, 사람의 출입제한, 손 소독, 의료기구의 환자간의 공용 금지 등으로 감염을 방지한다.
ⓑ 병원내 소독: 오염지역을 철저히 청소하고 소독하여 가능한 병원성 세균을 제거한다.
ⓒ 손씻기: 병원내감염의 방지에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손 씻기이다. 특히 감염환자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기물에 접촉함으로써 각종 병원미생물이 일시적으로 손에 부착하여 그 결과로 감염의 매개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수술이나 무균조작 전후, 소변이나 분면ㆍ감염병소의 분비물 등에 접촉한 후, 격리병실 출입 시, 식사ㆍ투약 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 의료기구의 소독: 체온계는 수세후 에틸알코올이나 기타 소독약에 10분 이상 담가 둔다. 그리고 주사기나 주사침은 고압멸균 또는 건열멸균 등으로 완전히 멸균된 것을 사용한다. 기타 의료기구도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소독하고, 같은 의료 기구를 다른 환자 간에 공용으로 사용하지 말 것 등도 필요한 주의사항이다.
ⓔ 붕대재료: 감염창의 거즈 등은 손가락으로 취급해서는 안 된다. 핀셋트를 사용해야 하며 제거한 것은 즉시 오물통이나 비닐봉지에 넣어 처리해야 한다.
ⓕ 운반용 핀셋트: 멸균한 의료기구나 거즈 등은 절대로 손가락으로 만지면 안 된다. 꼭 멸균한 핀셋트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접촉해야 하며 핀셋트는 소독약을 넣은 통에 담가 둔다.
ⓖ 가운: 가운은 여러 벌 준비해 두었다가 가능한 한 번만 착용하며 오염구역에서 나올 때는 지정된 장소에서 벗은 후, 소독ㆍ세탁을 한다.
ⓗ 마스크: 수술실이나 분만실, 기타 감염성이 높은 호흡기계 전염병의 환자가 입원하고 있는 병실에서는 착용한다.
ⓘ 린넨: 린넨의 교환 때는 가능한 한 먼지가 나지 않도록 하고 감염증 환자가 사용한 것은 다른 봉투에 넣어, 모아서 소독 또는 살균 후 세탁을 한다.
ⓙ 식기: 감염증 환자가 사용한 식기는 모아서 소독하거나 또는 1회용 제품을 사용하되 사용 후 소각해 버린다. 감염 방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더욱 세밀한 배려가 필요하며, 그 내용은 하는 일에 따라 다르나 기본적으로는 감염원의 격리, 감염경로의 차단이다.

키워드

멸균,   소독,   종류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8.11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4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