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 장 통사론 . 문장형태 요약본입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 4 장 통사론 . 문장형태 요약본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4 장 통사론 . 문장형태 요약본입니다.

본문내용

을 설명하지 못한다.
문법은 화자의 통사지식을 모두 설명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는 구 구조규칙 이상의 것을 찾아야 한다.
변형규칙 (transformational rules)
서술문과 의문문의 관계를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은 구 구조규칙을 이용해 서술문에 해당하는 구조를 생성하고, 변형규칙이라고 하는 또 하나의 형식적 방안을 이용해 조동사를 주어 앞으로 옮기는 것이다.
문장의 기본구조는 심층구조라고도 하는데, 구 구조규칙으로 명시된다.
변형규칙을 적용해서 나온 구조를 표층구조라고 한다. 언어의 음운규칙은 표층구조에 적용된다.
구조 의존 규칙 (structure dependent rules)
변형은 구조 속의 단어와는 상관없이 구조에 적용된다. 변형은 구조에 의존한다.
일치규칙도 구조 의존적이다.
구조 의존성은 보편문법원리이며, 모든 언어에서 발견된다.
구문 의존성 (syntactic dependencies)
문장은 성분구조와 구문 의존관계의 두 가지 기본원리에 따라 이루어진다. 앞에서 토의한 바와 같은 성분구조는 문장의 구성성분의 계층구조를 가진다. 두 번째 중요한 속성은 문장의 요소들 사이에는 의존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특정단어나 형태소의 존재는 다른 단어나 형태소의 존재에 의존할 수 있다. 선택은 일종의 의존이다. 일치는 또 한 가지의 의존이다.
“Wh” 의문문 (Wh questions)
의문문은 문법에 의해 세 단계를 거쳐 생성된다.
wh이동에 의하여 발생한 장거리 의존관계는 인간언어의 기본속성이다. 이들 관계는 문장이 단순히 단어의 연결이 아니라 구 구조규칙이라는 든든한 발판의 지원을 받는 것이라는 또 하나의 증거를 제공해준다. 이들 나무는 문장과 다른 문장의 관계는 물론, 문장의 기저구조를 나타낸다.
보편문법의 원리와 척도 (UG principles and parameters)
우리가 이 책을 통해 강조하듯이 보편문법은 인간언어의 기본설계를 제공한다.
모든 언어가 구 구조규칙을 가지고 있다. 영어는 머리로 시작되며 일본어는 머리로 끝난다. 우리는 차이의 요지를 척도라고 부른다.
수화통사론 (sign language syntax)
모든 언어는 자세한 부분에서는 그렇지 않으나 영어와 유사한 통사규칙이 있으며 수화도 예는 아니다. 수화는 계층구조와 전후관계를 나타내는 구 구조규칙이 있다.
관심을 끄는 대상이 일반적으로 그 문장이나 대화의 주제가 되기 때문에, 이 변형을 주제화라 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9.0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04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