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중간고사 최종정리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위해서가 아니라, 후세를 위하여 어떠한 희생을 치르더라도 그 미를 보존해야 한다.” (모리스가 켈름스코트라는 출판사를 창립, 벽지회사도 창립)
아이언 맥하그
Ian L. McHarg
조경건축과 도시계획이 전문인 사람. 모리스의 이념과 상통하는 방향을 취하면서 활동함.(자연과 디자인이라는 책도 발간)
“과정과 그 과정의 기준이 되는 적합성은 형식으로 드러나고, 또 형식은 의미를 포함한다. 가공품, 연장, 방, 거리, 건물, 상가, 도시의 정원이나 구역 등은 형식 속에 드러난 과정에 의해 시험될 수 있고, 또 적합하거나 부적합할 수 있다.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 가운데 궁극적인 것이 예술이다.”
예술이란 단지 작업장의 예술뿐만 아니라 가정, 공장, 도시 주변환경 및 인간의 손으로 가꾸어진 것도 포함
예술의 임무 : 인간환경의 개조와 창조
자연의 미는 보존되고 고양되어야 하고, 도시는 가치를 표현하는 인공물로 형성되어야 한다.
환경친화적 조형
환경의 미가 보존되고 고양 :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라는 사고의 변화
도시 미의 원칙 :
자연 속에서 그리고 자연과 함께하는 것, 자연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자연에 역행하지 않는 것.
헨리 무어
Henry Moore
<가족 집단>
할로우(Harlow) 시에 있는 조경
가족합일에 관한 조각 묘사는 자연과
인간을 합일시키는데 커다란 기여를 한다.
헨리 무어의 조각이 추구하는 이상 :
자연은 인간화되고 인간은 자연화
ex. 헨리 무어(H. Moore)의
<가족 집단>
할로우(Harlow) 시에 있는 조경장치
여기에서의 가족합일에 관한 조각
묘사는 자연과 인간을 합일시키는데 커다란 기여를 한다.
여기에서 자연은 인간화되고 인간은 자연화 : 무어의 조각이 추구하는 이상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Frank Lloyd Wright
1868-1959
현대 건축에서 자연과의 조화라는 원칙
ex.<구겐하임 미술관> 1943-46년
기계적이지 않는 유기적인 건축
종래의 직사각형 미술관과는 달리 달걀
같은 나선형 건축을 고안
건물의 중앙이 확 트이고 돌며 올라가거나 내려오면서 벽에 전시된 그림들을 유유히 볼 수 있는 원 중심의 외팔보(cantilever)의 회전회랑
Frank Lloyd Wright
ex. 피츠버어그 베어 런(Bear Run) 주택
시냇물이 넘쳐흐르고 폭포가 있는 곳
공중에 덮은 석재와 수평구조를 이루고 있는 이 건물의 선은 이웃하는 석재 구조물과 또 거대한 석재 선반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돌과 숲, 물에 바깥쪽으로 나 있는 커다란 창문은 마음대로 열고 닫을 수 있다.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건물과 대지가 조화
자연과의 조화
도시계획 : 자연을 경시하거나 침해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환경 디자인 : 도시풍경, 자연경관 및 생태계의 관점에서 구성
미학적이고 생태학적 입장에서 자연과의 공생적인 조화를 추구하는 디자인의 개념이 요청
현대의 환경미학
환경 문제에 대한 현대의 미학적
접근
첫째, 미학이나 철학의 방법론
둘째, 조경학과 지리학의 연구
셋째, 실험미학에 기초를 둔 입장
미학· 철학적 방법론
아놀드 벌리언트(A. Berleant)
미적 장으로서의 환경에
참여하는 미적 경험을 주장
알렌 칼슨(A. Carlson)
환경미학의 학제적 연구를 주장
사람은 환경의 질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환경의 영향은 우리의 일상적인 삶의 복지에 관계
환경에 대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미와 환경의 가치를 연결하는 총체적 구조를 제안
유리오 세판마(Y. Sepanmaa)
환경미학의 기본적인 모델
환경비평철학으로서의 환경미학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
조경학과 지리학의 연구
주로 경관을 대상으로 삼아 경관의 미적 문제에 초점 → 경관미학
제이 애플턴(J. Appleton)
생물학적 결정론에 기초한 ‘조망-은신 이론(Prospect-Refuge Theory)'을 제시
경관에 대한 미적 반응은 선천적이며, 생존을 위한 생물적 욕구로부터 발생한다.
스티븐 보우래서(S. C. Bourassa)
《경관미학》
The Aesthetics of Landscape 의 목적 :
경관미학을 위한 패러다임 제공과 철학적 의미를 밝히는 일
미적 대상과 주체의 상호관계인 미적경험의 중요성
외부자(Detached Observer)의 편견
실존적 내부자(Existential Insider)의 오감에 의한 경험을 강조
도시의 미가 복지 및 경제성에 관련
실험미학적 입장
벌라인(D. E. Berlyne)
페흐너를 계승
환경의 미적 자극에 대한 반응을 통계적으로 밝히거나 그 선호를 평가하는데 주력
환경의 미적인 문제보다 응용의 측면에 무게를 둔다.
도시환경의 미
극적(劇的) 공간으로서의 도시
마음과 정신의 분장실
산책길(promenade),
유보도(遊步道)
대면(對面) 공간
사색을 심화시킬 수 있는 장
접점(接點)과 공생(共生)의 미학
내외(內外)의 접점 국제성
국제센터, 비교문화연구의 장
고금(古今)의 접점 전통
박물관, 미술관, 자료관
공사(公私)의 접점 중간지대
담장의 철폐, 발코니와 창, 가로,
음풍경(soundscape)
도시의 거시화에 따른 미적고려
거시적 전망
보행의 세계 → 주행의 세계
크고 화려한 모양과 색채
일률적 반복적 배치
시지각의 변화에 따른 미적고려
거대 건축물 : 시각의 차단 거주성, 노동기능 / 외관
주행공간의 고속시선
정보조직의 개혁
광고 및 장식을 위한 간판 : 주행 벡터의 고려
상상력과 도시
벽에 의한 공간의 분절 → 삼림, 전원
지각의 기하학화 → 꽃
벽은 지각을 단절 → 도시벽화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기구 = 예술
공연장, 미술관
일상성 속에서의 예술 : 전례, 의식
새로운 미학
인테리어(interior)의 미학
→ 익스테리어(exterior) 의
미학, 환경미학
역동적인 흐름의 미
공공성의 정신 : 공동체
자연과 공생하는 미학
예술 개념의 확장선상에서 아름다운 생활환경의 조성이 요청된다.
예술에는 환경친화적인 동향이 있다.
현대의 도시환경에 초래되는 지각의 변화에 따른 미적고려가 필요하다.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1.09.26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43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