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피터스(R. S. Peters) 교육사상 >
- 교육의 준거(Criterion)를 중심으로
< 교육철학자 피터스(R. S. Peters)의 교육 준거 중 가치 준거에서 가치의 개념을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이에 비추어 오늘날 한국 교육의 모습을 비판하시오. >
………………………………1p
< 교육의 준거 중 지식 준거 특히 지식의 폭(breadth)에 대한 교육철학자 피터스(R. S. Peters)의 주장을 비판하시오. >
………………………………4p
- 교육의 준거(Criterion)를 중심으로
< 교육철학자 피터스(R. S. Peters)의 교육 준거 중 가치 준거에서 가치의 개념을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이에 비추어 오늘날 한국 교육의 모습을 비판하시오. >
………………………………1p
< 교육의 준거 중 지식 준거 특히 지식의 폭(breadth)에 대한 교육철학자 피터스(R. S. Peters)의 주장을 비판하시오. >
………………………………4p
본문내용
장을 펼친 것이다.
둘째, 그렇다면 이러한 지식의 폭의 측면에서 피터스의 교육의 개념을 비판해 본다면? 그것은 복잡한 현대 사회의 지식의 ‘전문성’(professionalism - 이하 전문성) 측면에서 비판해 볼 수 있겠다. 즉 피터스의 이러한 지식의 폭의 측면, 곧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을 받은 education과 training의 개념 구분은 현대 사회의 너무나 다원화되고 고도화된 지식 사회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곧 이전 시대에는 피터스의 주장이 상당히 설득력을 가질 수 있으나, 너무나 고도화되고 다원화된 전문적 지식을 요구하는 현대 사회와 미래 사회에서는 이러한 것을 구분하여 교육의 개념을 정의한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한 인간으로서 배우고 지녀야 할 기초적, 기본적인 지식들은 필요하고, 이는 일상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 모두에게 꼭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의 논점은 그런 관점이 아님을 우리는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현 시대의 천체 학자라면 한 사람으로서 배워야 할 기초적, 기본적 지식 - 곧 도덕성, 기본적 품성, 기본적 사회 생활 모습 - 은 초, 중등 교육을 통해, 그리고 일상의 삶을 통해 배운 상태에서 자신만의 전문 분야, 곧 천체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을 평생 동안 전문적으로 공부해도 일생의 삶이 모자랄 만큼 한 분야의 지식이 현대 사회에서는 광범위하고 넓고, 깊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피터스의 지식의 폭의 개념은 현대 사회와 미래 사회에 맞지 않으며 그 만큼 현대 사회의 지식의 영역이 깊어진 것을 우리는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그렇다면 이러한 지식의 폭의 측면에서 피터스의 교육의 개념을 비판해 본다면? 그것은 복잡한 현대 사회의 지식의 ‘전문성’(professionalism - 이하 전문성) 측면에서 비판해 볼 수 있겠다. 즉 피터스의 이러한 지식의 폭의 측면, 곧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을 받은 education과 training의 개념 구분은 현대 사회의 너무나 다원화되고 고도화된 지식 사회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곧 이전 시대에는 피터스의 주장이 상당히 설득력을 가질 수 있으나, 너무나 고도화되고 다원화된 전문적 지식을 요구하는 현대 사회와 미래 사회에서는 이러한 것을 구분하여 교육의 개념을 정의한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한 인간으로서 배우고 지녀야 할 기초적, 기본적인 지식들은 필요하고, 이는 일상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 모두에게 꼭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의 논점은 그런 관점이 아님을 우리는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현 시대의 천체 학자라면 한 사람으로서 배워야 할 기초적, 기본적 지식 - 곧 도덕성, 기본적 품성, 기본적 사회 생활 모습 - 은 초, 중등 교육을 통해, 그리고 일상의 삶을 통해 배운 상태에서 자신만의 전문 분야, 곧 천체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을 평생 동안 전문적으로 공부해도 일생의 삶이 모자랄 만큼 한 분야의 지식이 현대 사회에서는 광범위하고 넓고, 깊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피터스의 지식의 폭의 개념은 현대 사회와 미래 사회에 맞지 않으며 그 만큼 현대 사회의 지식의 영역이 깊어진 것을 우리는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포트폴리오 평가와 실과 교육
공통 필수 교육과정
[교육의 역사와 철학 텀페이퍼]교육의 역사의 변천에 따른 교육방법의 변화와 미래사회
멀티미디어와 원격교육
가상교육 개념,배경, 가상교육 발전과정, 가상교육 특성,구성, 가상교육 필요성, 가상교육 지...
[특수교육]개별화교육계획(IEP)의 의미, 개별화교육계획(IEP)의 법적근거와 교육적가치, 개별...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목표와 개정중점,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기본방향...
과학과(수업, 교육) 실험학습, 과학과(수업, 교육) 인지갈등학습, 과학과(수업, 교육) 역할놀...
학교교육(공교육)의 목표, 학교교육(공교육)의 만족도, 학교교육(공교육)과 사회현실, 교실붕...
유아 과학교육의 개념, 유아 과학교육의 활동 유형, 유아 과학교육의 목적, 유아 과학교육의 ...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B형]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 구성 원리를 설명하시오.(교육기관...
[교육심리학]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에...
[교육심리학]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에...
[보건교육] 보건교육의 개념(정의)과 목표, 보건교육계획, 보건교육의 방법 및 대상, 보건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