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스의 교육사상 그리고 이에 대한 비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터스의 교육사상 그리고 이에 대한 비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피터스(R. S. Peters) 교육사상 >
- 교육의 준거(Criterion)를 중심으로


< 교육철학자 피터스(R. S. Peters)의 교육 준거 중 가치 준거에서 가치의 개념을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이에 비추어 오늘날 한국 교육의 모습을 비판하시오. >

………………………………1p

< 교육의 준거 중 지식 준거 특히 지식의 폭(breadth)에 대한 교육철학자 피터스(R. S. Peters)의 주장을 비판하시오. >

………………………………4p

본문내용

장을 펼친 것이다.
둘째, 그렇다면 이러한 지식의 폭의 측면에서 피터스의 교육의 개념을 비판해 본다면? 그것은 복잡한 현대 사회의 지식의 ‘전문성’(professionalism - 이하 전문성) 측면에서 비판해 볼 수 있겠다. 즉 피터스의 이러한 지식의 폭의 측면, 곧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을 받은 education과 training의 개념 구분은 현대 사회의 너무나 다원화되고 고도화된 지식 사회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곧 이전 시대에는 피터스의 주장이 상당히 설득력을 가질 수 있으나, 너무나 고도화되고 다원화된 전문적 지식을 요구하는 현대 사회와 미래 사회에서는 이러한 것을 구분하여 교육의 개념을 정의한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한 인간으로서 배우고 지녀야 할 기초적, 기본적인 지식들은 필요하고, 이는 일상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 모두에게 꼭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의 논점은 그런 관점이 아님을 우리는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현 시대의 천체 학자라면 한 사람으로서 배워야 할 기초적, 기본적 지식 - 곧 도덕성, 기본적 품성, 기본적 사회 생활 모습 - 은 초, 중등 교육을 통해, 그리고 일상의 삶을 통해 배운 상태에서 자신만의 전문 분야, 곧 천체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을 평생 동안 전문적으로 공부해도 일생의 삶이 모자랄 만큼 한 분야의 지식이 현대 사회에서는 광범위하고 넓고, 깊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피터스의 지식의 폭의 개념은 현대 사회와 미래 사회에 맞지 않으며 그 만큼 현대 사회의 지식의 영역이 깊어진 것을 우리는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0.08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9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