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리더십과 의사소통
Ⅰ. 리더십
Ⅱ. 커뮤니케이션
1. 조직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2. 커뮤니케이션의 목적
3. 커뮤니케이션의 목적과 기능
1)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1) 하향식 커뮤니케이션
(2) 상향식 커뮤니케이션
(3) 교차 커뮤니케이션
2)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 커뮤니케이션 감사
(2)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향상을 위한 지침
(3) 경청, 이해의 핵심
Ⅰ. 리더십
Ⅱ. 커뮤니케이션
1. 조직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2. 커뮤니케이션의 목적
3. 커뮤니케이션의 목적과 기능
1)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1) 하향식 커뮤니케이션
(2) 상향식 커뮤니케이션
(3) 교차 커뮤니케이션
2)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 커뮤니케이션 감사
(2)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향상을 위한 지침
(3) 경청, 이해의 핵심
본문내용
있는 관리자들의 방해를 받기도 한다. 상향식 커뮤니케이션은 주로 비지시적이며 참여적이고 민주적인 조직환경에서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효과적인 상향식 커뮤니케이션은 하위자가 커뮤니케이션 하는데 자유를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요구한다. 조직풍토는 상위 관리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상향식 커뮤니케이션이 자유스럽게 흐르도록 분위기를 조성할 책임은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상당한 정도로 상위 관리자에게 있다.
(3) 교차 커뮤니케이션: 교차 커뮤니케이션은 조직내의 동일 또는 유사 수준에 있는 사람들 간에 정보의 수평적 흐름 및 직접 보고관계에 있지 않는 상이한 수준의 사람들 간의 대각선적인 정보 흐름을 말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은 신속한 정보 흐름을 촉진하고, 이해증진 및 조직목표달성을 위한 노력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어 진다. 많은 커뮤니케이션이 조직계층을 따라서 흐른다기보다는 명령계통의 체계를 가로질러 전달된다.
2)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향상을 위해 몇 가지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첫째는 커뮤니케이션 감사를 행하는 방법이다. 이 감사에서 발견된 내용은 조직과 시스템을 변경시키는 기초가 될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개인 상호관계 및 청취에 초점을 두고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적용시키는 것이다.
(1) 커뮤니케이션 감사 :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의 하나가 커뮤니케이션 감사이다. 감사대상이 되어야 할 네개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다.
i) 방침, 절차, 규칙 및 상하위자의 관계 등에 속하는 네트워크의 규칙성과 임무지 향성
ii) 문제해결, 회합, 변화의 요소 등이 포함된 네트워크의 혁신성
iii) 칭찬, 보상, 승진 등 개인적인 욕구를 조직의 목표에 연결시키는 네트워크의 통합성.
iv) 회사간행물, 게시판, 비밀전달 등을 망라하는 정보
감사형식의 형태는 여러 가지 모습을 지널 수 있는데 관찰법, 설문법, 인터뷰법, 서류분석법 등의 방법들이 포함된다.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최초감사는 대단히 소망스럽기는 하지만 여기에는 감사보고가 뒤따를 필요가 있다.
(2)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향상을 위한 지침
i) 메시지 송신자는 필히 그가 전달하려는 것을 분명히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
ii) 커뮤니케이션의 계획은 다른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협의해야 한다.
iii) 정보수신자의 욕구를 고려해야 한다.
iv) 커뮤니케이션에서 음조, 언어의 선택, 전달내용과 전할방법의 변화가 메시지 수신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v) 송신자가 피드백을 받지 못하고는 커뮤니케이션이 이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피드백은 질문을 하고 서신에 의한 정보에 대하여 해답을 요구하며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반응을 촉구함으로써 달성된다.
vi)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은 정보를 전달하는 이상의 것이다. 목표에 의한 관리 철학은 성과측정에 대한 이해와 함께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을 요구하는 자기통제를 강조한다.
vii) 경청의 중요성에 대한 측면을 추가 설명하고자 한다.
(3) 경청, 이해의 핵심: 경청은 개발될 수 있는 능력이다. 데이비스와 뉴스트론은 듣기능력의 향상을 위한 10개의 지침을 제안했다. (1) 말을 하지 말 것, (2) 이야기하는 사람을 편안히 해 줄 것, (3) 진정으로 듣기를 원한다는 것을 말하는 사람에게 보여줄 것, (4) 산만해 질 수 있는 요소를 제외시킬 것, (5) 말하는 사람에게 동화될 것, (6)부드러움을 가질 것, (7) 논쟁과 비평을 하지 말 것, (8) 질문을 할 것, (9) 그리고 결코 말하려고 하지 말고 들을 것 등인데 이 중에서 처음과 마지막이 가장 중요하다. 즉, 듣기 전에는 결코 말을 해서는 안 된다.
(3) 교차 커뮤니케이션: 교차 커뮤니케이션은 조직내의 동일 또는 유사 수준에 있는 사람들 간에 정보의 수평적 흐름 및 직접 보고관계에 있지 않는 상이한 수준의 사람들 간의 대각선적인 정보 흐름을 말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은 신속한 정보 흐름을 촉진하고, 이해증진 및 조직목표달성을 위한 노력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어 진다. 많은 커뮤니케이션이 조직계층을 따라서 흐른다기보다는 명령계통의 체계를 가로질러 전달된다.
2)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향상을 위해 몇 가지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첫째는 커뮤니케이션 감사를 행하는 방법이다. 이 감사에서 발견된 내용은 조직과 시스템을 변경시키는 기초가 될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개인 상호관계 및 청취에 초점을 두고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적용시키는 것이다.
(1) 커뮤니케이션 감사 :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의 하나가 커뮤니케이션 감사이다. 감사대상이 되어야 할 네개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다.
i) 방침, 절차, 규칙 및 상하위자의 관계 등에 속하는 네트워크의 규칙성과 임무지 향성
ii) 문제해결, 회합, 변화의 요소 등이 포함된 네트워크의 혁신성
iii) 칭찬, 보상, 승진 등 개인적인 욕구를 조직의 목표에 연결시키는 네트워크의 통합성.
iv) 회사간행물, 게시판, 비밀전달 등을 망라하는 정보
감사형식의 형태는 여러 가지 모습을 지널 수 있는데 관찰법, 설문법, 인터뷰법, 서류분석법 등의 방법들이 포함된다.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최초감사는 대단히 소망스럽기는 하지만 여기에는 감사보고가 뒤따를 필요가 있다.
(2)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향상을 위한 지침
i) 메시지 송신자는 필히 그가 전달하려는 것을 분명히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
ii) 커뮤니케이션의 계획은 다른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협의해야 한다.
iii) 정보수신자의 욕구를 고려해야 한다.
iv) 커뮤니케이션에서 음조, 언어의 선택, 전달내용과 전할방법의 변화가 메시지 수신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v) 송신자가 피드백을 받지 못하고는 커뮤니케이션이 이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피드백은 질문을 하고 서신에 의한 정보에 대하여 해답을 요구하며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반응을 촉구함으로써 달성된다.
vi)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은 정보를 전달하는 이상의 것이다. 목표에 의한 관리 철학은 성과측정에 대한 이해와 함께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을 요구하는 자기통제를 강조한다.
vii) 경청의 중요성에 대한 측면을 추가 설명하고자 한다.
(3) 경청, 이해의 핵심: 경청은 개발될 수 있는 능력이다. 데이비스와 뉴스트론은 듣기능력의 향상을 위한 10개의 지침을 제안했다. (1) 말을 하지 말 것, (2) 이야기하는 사람을 편안히 해 줄 것, (3) 진정으로 듣기를 원한다는 것을 말하는 사람에게 보여줄 것, (4) 산만해 질 수 있는 요소를 제외시킬 것, (5) 말하는 사람에게 동화될 것, (6)부드러움을 가질 것, (7) 논쟁과 비평을 하지 말 것, (8) 질문을 할 것, (9) 그리고 결코 말하려고 하지 말고 들을 것 등인데 이 중에서 처음과 마지막이 가장 중요하다. 즉, 듣기 전에는 결코 말을 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