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과 문화차이] 고배경문화와 저배경문화의 커뮤니케이션 및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문화차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커뮤니케이션과 문화차이

Ⅰ. 고배경문화와 저배경문화의 커뮤니케이션

Ⅱ.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문화차이

1. 시간의 언어
2. 공간의 언어

본문내용

한 문화에 따라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예를 들면, 미국인들은 옆집의 사람들과 같이 알고 지내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덴마크와 기타의 많은 유럽국가에서는 이러한 거리상의 가까움 또는 근접 정도는 아무런 의미도 나타내지 않는다. 덴마크인들의 개인관계는 가족과 사회계급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덴마크에서 도시주변의 주택들은 계산의 경계를 의미하는 견고한 담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대화적 및 사회적 거리 또한 문화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대화적 거리는 미국에서보다 라틴아메리카에서 훨씬 가깝다. 따라서 라틴아메리카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미국인들은 그들의 습관에 따라 대화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무의식적으로 뒤로 물러설 것이다(.
아시아문화에서 공간의 언어는 미국과 기타 서구문화의 그것과 근본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일본의 공간은 대부분 중앙이 강조된다. 일본인들은 식당에서 사업관계 모임을 갖기 위해 좌석을 배열할 때 호스트는 방 중앙에서 손님을 영접하게 되는데, 이때 방 주변의 개인 식탁은 보다 공식적인 장소가 되며 중앙의 식탁은 이보다는 털 공식적인 장소가 된다.
일본인들은 서구인들과는 달리 간격(interval), 즉 'ma'에 기초하여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배운다. 일본식의 꽃꽃이와 수석정원(rock garden)의 배열상태는 이러한 'ma'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아랍인들은 또한 서구인들과 달리 공간을 처리한다. 즉, 아랍인들은 자신의 신체 외부에는 '사적 영역'(private zone)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한다. 그들은 사람들과 얘기할 때 상대방에게 입김을 내쉬고 또 상대방의 냄새를 맡는 것을 즐긴다. 따라서 그들은 매우 근접한 거리에서 서로 대화를 나누는데, 그들의 이러한 거리에 대한 인식은 그들이 다른 서구인들에 비하여 훨씬 밀접한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시간과 공간의 언어가 문화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은 특히 글로벌경영자들에게 있어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묵시적 언어로서의 공간에 대한 인식은 곁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종종 문화배경이 다른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오해나 왜곡의 원천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글로벌경영자가 외국인들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행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시간과 공간의 언어를 먼저 이해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0.13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