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이론 반응을 간략하게 약술하고 그림책을 읽어줄 때 교사의 역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자이론 반응을 간략하게 약술하고 그림책을 읽어줄 때 교사의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독자반응이론
문학 비평과 독자 반응 이론
그림책을 읽어줄 때 역할
그림책일 읽어줄 때 주의해야 할 사항

본문내용

파악하라.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기 전에 부모가 미리 내용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이유는 처음 접하는 책은 내용이 궁금해서 빨리빨리 읽게 되는데 아이가 따라갈 수 없으며,
감정을 살려 읽을 수도 없기 때문이다.

5. 글자를 짚어가며 읽지 않는다.

글을 빨리 배우게 하고 싶은 욕심으로 그림책을 읽어줄때 손으로 글자를 짚어가며 읽어주는
경우가 많다. 아이는 이야기의 세계에 빠지기보다는 글자를 읽어내는데 신경을 쓰게 되어 책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리게 된다. 독서란 글자를 읽는 것이 아니라 책 속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다.
글자에 신경 쓰지 않도록 이야기를 해주는 기분으로 책을 읽어주자.
6. “그래서 어떻게 되었지?” 라는 말은 아이가 책을 읽는 동안에 자꾸 질문을 던지는 것은 아이의 상상력을 방해할 수 있으니 피한다.
7. “어머 멋있다!” “아이 무서워라” 라는 말은 그림책을 읽어주면서 아이에게 느낌을 강요하게 된다.
아이에게 느낌을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 엄마의 감정을 아이에게 강요하고 간섭하는 것은 아이의 감정 체험에 걸림돌이 된다.
8. “밥 다 먹었으면 책 읽어 줄게” 엄마는 아이가 하고 싶어 하는 것을 해주겠다는 조건을 걸고 엄마의 뜻을 강요하게 되는데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책 읽고 싶은 아이의 욕구를 꺽으면 책읽기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자랄 수 있기 때문이다.
9. “지금 바쁘니까 다음에 읽어줄게.” 이 말은 아이에게 엄마가 책읽기를 귀찮아 한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대신 “엄마가 무슨 일을 하고 있어서 지금은 읽어줄 수 없단다.” 는 식으로 구체적인 이유를 대는게 바람직 하다.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0.21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93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