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국제법의 일반개념 및 국제법원.
1. 국제법의 의의.
2. 국제법의 법원의 개념 및 구분.
II. 국제 조약.
1. 조약의 정의 및 분류.
① 조약의 정의
② 조약의 분류
2. 조약 체결 절차.
3. 무효와 종료의 절차.
III. 국제 관습.
1. 국제 관습의 의의.
2. 구속력의 본질.
① 승인설
② 법적 확신설.
3. 성립요건.
① 객관적 요건(일반관행.)
② 주관적 요건
4. 입증문제 및 효력범위.
IV. 법의 일반 원칙.
1. 법의 일반원칙의 이해.
2. 학설의 대립.
① 적극설.
② 소극설.
③ 중간설
3. 법의 일반원칙의 기능.
4. 법의 일반원칙의 적용순서 및 적용례.
V. 학설과 판례 (보조적 법원).
1. 규정 및 의의.
2. 법원성 인정 여부.
VI. 기타.
1. 국제법의 의의.
2. 국제법의 법원의 개념 및 구분.
II. 국제 조약.
1. 조약의 정의 및 분류.
① 조약의 정의
② 조약의 분류
2. 조약 체결 절차.
3. 무효와 종료의 절차.
III. 국제 관습.
1. 국제 관습의 의의.
2. 구속력의 본질.
① 승인설
② 법적 확신설.
3. 성립요건.
① 객관적 요건(일반관행.)
② 주관적 요건
4. 입증문제 및 효력범위.
IV. 법의 일반 원칙.
1. 법의 일반원칙의 이해.
2. 학설의 대립.
① 적극설.
② 소극설.
③ 중간설
3. 법의 일반원칙의 기능.
4. 법의 일반원칙의 적용순서 및 적용례.
V. 학설과 판례 (보조적 법원).
1. 규정 및 의의.
2. 법원성 인정 여부.
VI. 기타.
본문내용
I. 국제법의 일반개념 및 국제법의 법원.
1. 국제법의 의의.
국제법은 국제사회의 법 또는 국제공동체의 법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국제법은 국가간의 관계를 규율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주권개념의 분해를 바탕으로 한 인류보편의 인권개념이 중심이 된 인류사회는 아직 성립이 되어 있지 않다고 한다.
2. 국제법의 법원의 개념 및 구분.
국제법의 법원이란 국제법의 타당근거라는 뜻으로 이해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국제법의 존재 형식 또는 인식자료라는 의미로 이해되고 있고, 이러한 법원은 형식적 법원과 실직적 법원이란 법을 발견할 수 있는 자료내지 증거를 의미한다. 하지만 국제법에는 국내법과 같은 헌법적 입법기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형식적 법원은 의미가 없고 다양한 실질적 법원만이 문제가 된다고 한다.
II. 국제 조약.
1. 조약의 정의 및 분류.
① 조약의 정의
조약이란 국가나 국제기구 같은 국제법 주체 간에 체결되는 명시적 합의이다. 이는 ICJ 38조 에도 가장 먼저 명시되어 있는 대표적인 국제법 법원 중 하나이다. 국제조약은 문서로 합의된 것에 효력발생을 인정하나, 구두합의의 효력도 부인하지는 않는 사례도 있다.
② 조약의 분류
당사자 수에 의한 분류 - 보편조약, 일반 조약, 특별조약.
성질에 의한 분류 – 입법조약, 계약조약.
개방성 유무에 의한 분류 – 개방조약, 폐쇄조약.
국내적 직접적용성에 따른 분류 – 자기집행조약, 비자기 집행조약.
이행의 계속성에 여부에 의한 분류.
조약체결절차에 따른 분류.
1. 국제법의 의의.
국제법은 국제사회의 법 또는 국제공동체의 법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국제법은 국가간의 관계를 규율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주권개념의 분해를 바탕으로 한 인류보편의 인권개념이 중심이 된 인류사회는 아직 성립이 되어 있지 않다고 한다.
2. 국제법의 법원의 개념 및 구분.
국제법의 법원이란 국제법의 타당근거라는 뜻으로 이해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국제법의 존재 형식 또는 인식자료라는 의미로 이해되고 있고, 이러한 법원은 형식적 법원과 실직적 법원이란 법을 발견할 수 있는 자료내지 증거를 의미한다. 하지만 국제법에는 국내법과 같은 헌법적 입법기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형식적 법원은 의미가 없고 다양한 실질적 법원만이 문제가 된다고 한다.
II. 국제 조약.
1. 조약의 정의 및 분류.
① 조약의 정의
조약이란 국가나 국제기구 같은 국제법 주체 간에 체결되는 명시적 합의이다. 이는 ICJ 38조 에도 가장 먼저 명시되어 있는 대표적인 국제법 법원 중 하나이다. 국제조약은 문서로 합의된 것에 효력발생을 인정하나, 구두합의의 효력도 부인하지는 않는 사례도 있다.
② 조약의 분류
당사자 수에 의한 분류 - 보편조약, 일반 조약, 특별조약.
성질에 의한 분류 – 입법조약, 계약조약.
개방성 유무에 의한 분류 – 개방조약, 폐쇄조약.
국내적 직접적용성에 따른 분류 – 자기집행조약, 비자기 집행조약.
이행의 계속성에 여부에 의한 분류.
조약체결절차에 따른 분류.
추천자료
국제법상 탈북자의 인권보호에 관한 연구
국제법의 특성 요약
국제법상 난민의 지위
국내법과 국제법
국제법 정리 -요약
국제법의 국내법상에서의 지위
국제법 주요 판례
국제법에 의한 국내의 적용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이론
2010년 2학기 국제법 중간시험과제물 A형(국제사회에서의무력사용)
2010년 2학기 국제법 중간시험과제물 B형(국제사법재판소의 재판의 준칙)
국제법에서 종교적 권리, 신의 개념에 대한 종교적 입장, 그리스신화의 종교적 성질, 단군 담...
국제법과 사회복지법, 사회복지조례,사회복지사업법
[사회복지와 인권] 정신장애인에 관한 차별 (이슈, 국내법, 국제법, 해외사례, 문제점, 해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