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술목적>
<질환>
<검사목적, 방법, 적응증, 준비사항>
<질환>
<검사목적, 방법, 적응증, 준비사항>
본문내용
는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된다.
→기계적 인공호흡이 부족하기 때문에 평균 기도압이 낮다. 이것은 압력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과 정맥귀환의 장애를 감소시킨다.
⑵ 방법
→인공호흡기의 횟수가 "0"일 때 인공호흡기를 통해 운반되거나 인공호흡기가 필요하지 않은 분리된 CPAPcircuitry를 통해 운반된다.
인공호흡기 사용환자의 간호
*매 근무교대마다 인공호흡기 환기양식이 처방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기록한다.
(1회호흡량, PEEP, 호흡수, FiO2 등)
*대상자 상태에 맞게 경보를 설정하고 경보음이 울리면 원인을 즉시 해결한다.
*튜브에 고인 물을 자주 제거한다.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관찰한다.(흉곽의 움직임, 호흡곤란, 피부색, 특히 입술과 손톱의 색, 청진 시 나음, 천식음, 호흡음, 맥박산소 측정기(Pulse oximetry), ABGA결과, 두통, 불안, 혼돈, 기면, 빈맥, 부정맥등)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인공기도의 cuff 압력을 적절히 유지한다.(20mmHg)
*필요시 무균법을 이용하여 흡인한다.
*기관내관의 위치를 확인하고 부적절할 때의 증상, 징후를 관찰한다.
*기관내관 또는 기관절개관 주의는 청결히 하고 필요에 따라 테이프로 재고정시킨다.
*기관내관은 매 24시간마다 구강의 반대편 쪽으로 고정시켜 궤양을 예방한다.
*흉부 물리요법, ROM운동을 계획하여 실시한다.
*폐 감염증상, 징후를 관찰한다.
*통증이나 불안을 감소시킨다.
*밤에는 가능한 충분히 휴식을 취하게 한다.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한다.
*인공호흡기, 가습기, 필터를 규칙적으로 소독하여 교환한다.(매 5일마다.)
*인공호흡기 기계는 매일 소독제로 닦아 청결을 유지한다.
*합병증을 관찰한다.(혈액학적 불안정, 폐손상, 무기폐, 기관내관이탈, 병원감염, 산 염기 장애, 체액과다, 위장관 출혈, 황달, 영양결핍, 기관지손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문제)
*소생백, 산소마스크, 구강기도 등을 침상가에 늘 준비한다.
정서적 간호
*환자의 불안에 대해서 변화가 있을 때 설명을 해주고, 행해질 모니터와 관찰사항을 설명해 준다.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안전장치와 경보기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
*의사소통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한다.
*수면장애, 시청각 자극으로 인한 계속적인 감각장애 등으로 환자는 심각한 행동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창문, 시계, 큰 달력 등은 환자가 지남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지체계를 이용하고, 환자가 현재 필요한 간호를 제공받고 있다는 확신감을 환자에게 주어야 한다.
*희망을 증진시킨고 독립심을 유발하기 위해 간호에 환자의 참여를 격려한다.
인공호흡기의 사용중단 (weaning)
→ 호흡부전의 원인이 해결되었을 때 점차적으로 중단
→ 인공호흡기 사용의 중단과정은 (인공호흡기의 제거->기관내관 혹은 기관절개관 제거-> 산소공급중단)
인공호흡기 사용중단 기준
1. 흡기력(inspiratory force) 〉 25cmH₂O
2. 일회호흡량(Tidal volume) 〉 5ml/kg
3. 폐활량(Vital capacity) 〉 10-15ml/kg
4. 호흡수(Raspiration) 12회/분-20회/분
5. 호기력(Expiratory force) 〉+60cmH₂O
6. 안정시 분당 환기량 〉10 lmin
7. 동맥혈 탄산가스 분압(PaCO₂) 35-45mmHg
8. 동맥혈 산소분압(PaO₂) 60%이상(FiO₂40%이하 사용시)
9. 1회 호흡량에 대한 사강 0.55- 0.60
10. 100% 산소에서 동맥혈 산소분압 〉300mmHg
11. 혼입(shunt fraction) 〈15%
인공호흡기 중단시기
a. 인공호흡기의 중단을 위한 환자상태를 사정한다.
① 생리학상 자발적인 호흡의 가능여부
② 폐검사, 동맥혈 가스검사, 흉부 X-선 검사를 통한 폐기능의 호전 여부
b. 호흡기 부전을 초래할 수 있는 요소들을 사정한다.
① 산염기 이상
② 전해질 이상
③ 발열
④ 비정상적인 수분균형
⑤ 의식상태 저하
c. 중단하기 위해 심리적으로 지지한다.
① 중단절차에 대해 설명
②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킴
d. 중단하기 위해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e. 환자를 좌위나 반좌위로 취해준다.
f. 아침시간에 행하는 것이 좋다.
g. 중단시기에 다음의 사항을 관찰, 기록한다.
① 활력징후
② 동맥혈 가스검사 결과
③ Fi02
④ 중단시간과 기간
→기계적 인공호흡이 부족하기 때문에 평균 기도압이 낮다. 이것은 압력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과 정맥귀환의 장애를 감소시킨다.
⑵ 방법
→인공호흡기의 횟수가 "0"일 때 인공호흡기를 통해 운반되거나 인공호흡기가 필요하지 않은 분리된 CPAPcircuitry를 통해 운반된다.
인공호흡기 사용환자의 간호
*매 근무교대마다 인공호흡기 환기양식이 처방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기록한다.
(1회호흡량, PEEP, 호흡수, FiO2 등)
*대상자 상태에 맞게 경보를 설정하고 경보음이 울리면 원인을 즉시 해결한다.
*튜브에 고인 물을 자주 제거한다.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관찰한다.(흉곽의 움직임, 호흡곤란, 피부색, 특히 입술과 손톱의 색, 청진 시 나음, 천식음, 호흡음, 맥박산소 측정기(Pulse oximetry), ABGA결과, 두통, 불안, 혼돈, 기면, 빈맥, 부정맥등)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인공기도의 cuff 압력을 적절히 유지한다.(20mmHg)
*필요시 무균법을 이용하여 흡인한다.
*기관내관의 위치를 확인하고 부적절할 때의 증상, 징후를 관찰한다.
*기관내관 또는 기관절개관 주의는 청결히 하고 필요에 따라 테이프로 재고정시킨다.
*기관내관은 매 24시간마다 구강의 반대편 쪽으로 고정시켜 궤양을 예방한다.
*흉부 물리요법, ROM운동을 계획하여 실시한다.
*폐 감염증상, 징후를 관찰한다.
*통증이나 불안을 감소시킨다.
*밤에는 가능한 충분히 휴식을 취하게 한다.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한다.
*인공호흡기, 가습기, 필터를 규칙적으로 소독하여 교환한다.(매 5일마다.)
*인공호흡기 기계는 매일 소독제로 닦아 청결을 유지한다.
*합병증을 관찰한다.(혈액학적 불안정, 폐손상, 무기폐, 기관내관이탈, 병원감염, 산 염기 장애, 체액과다, 위장관 출혈, 황달, 영양결핍, 기관지손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문제)
*소생백, 산소마스크, 구강기도 등을 침상가에 늘 준비한다.
정서적 간호
*환자의 불안에 대해서 변화가 있을 때 설명을 해주고, 행해질 모니터와 관찰사항을 설명해 준다.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안전장치와 경보기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
*의사소통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한다.
*수면장애, 시청각 자극으로 인한 계속적인 감각장애 등으로 환자는 심각한 행동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창문, 시계, 큰 달력 등은 환자가 지남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지체계를 이용하고, 환자가 현재 필요한 간호를 제공받고 있다는 확신감을 환자에게 주어야 한다.
*희망을 증진시킨고 독립심을 유발하기 위해 간호에 환자의 참여를 격려한다.
인공호흡기의 사용중단 (weaning)
→ 호흡부전의 원인이 해결되었을 때 점차적으로 중단
→ 인공호흡기 사용의 중단과정은 (인공호흡기의 제거->기관내관 혹은 기관절개관 제거-> 산소공급중단)
인공호흡기 사용중단 기준
1. 흡기력(inspiratory force) 〉 25cmH₂O
2. 일회호흡량(Tidal volume) 〉 5ml/kg
3. 폐활량(Vital capacity) 〉 10-15ml/kg
4. 호흡수(Raspiration) 12회/분-20회/분
5. 호기력(Expiratory force) 〉+60cmH₂O
6. 안정시 분당 환기량 〉10 lmin
7. 동맥혈 탄산가스 분압(PaCO₂) 35-45mmHg
8. 동맥혈 산소분압(PaO₂) 60%이상(FiO₂40%이하 사용시)
9. 1회 호흡량에 대한 사강 0.55- 0.60
10. 100% 산소에서 동맥혈 산소분압 〉300mmHg
11. 혼입(shunt fraction) 〈15%
인공호흡기 중단시기
a. 인공호흡기의 중단을 위한 환자상태를 사정한다.
① 생리학상 자발적인 호흡의 가능여부
② 폐검사, 동맥혈 가스검사, 흉부 X-선 검사를 통한 폐기능의 호전 여부
b. 호흡기 부전을 초래할 수 있는 요소들을 사정한다.
① 산염기 이상
② 전해질 이상
③ 발열
④ 비정상적인 수분균형
⑤ 의식상태 저하
c. 중단하기 위해 심리적으로 지지한다.
① 중단절차에 대해 설명
②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킴
d. 중단하기 위해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e. 환자를 좌위나 반좌위로 취해준다.
f. 아침시간에 행하는 것이 좋다.
g. 중단시기에 다음의 사항을 관찰, 기록한다.
① 활력징후
② 동맥혈 가스검사 결과
③ Fi02
④ 중단시간과 기간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간호학실습-MDD 주요 우울성 기능저하증(major depressive disorder)케이스
심근경색증 환자의 퇴원 후 간호
심낭천자
간경화 환자 케이스 스터디 간호 진단
[간호학] 정형외과(GS/OS) case study - 요추부의 압박 골절
Pneumonia간호과정 적용 Case Study
화상환자의 간호
[간호학]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아동간호사례연구 -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칸디다성 구내염 candidal stomatitis
천식 케이스 (asthma)
성 빈센트 병원 - 장폐색(Ileus)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성인간호학>불안정형 협심증 병태생리 및 간호과정
[수술환자간호] 수술환자의 영양관리 - 수술 전후 영양관리 및 영양요구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