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낭천자
1. 정상소견
2. 검사과정
3. 금기사항
4. 간호진단
5. 간호중재
1. 정상소견
2. 검사과정
3. 금기사항
4. 간호진단
5. 간호중재
본문내용
검사지에 환자에게 사용하는
항생제 종류를 기록한다.
천자부위에 출혈과 혈종이 있는지를 관찰한다.
⑦ 검사 후 활력징후를 면밀히 기록한다(15분마다 4번, 30분마다 4번, 1시간 마다 4번,
매 4시간마다 측정). 혈압하강과 맥박상승 시는 출혈을 의미한다. 체온상승은 감염을
나타낸다. 만일 지속적인 배액을 위해 카테터가 삽입된 채 있다면 피부에 튜브를 봉합
하고, 멸균된 드레싱을 해야한다. 카테터를 멸균배액 주머니에 연결하고, 흉강내로
배액이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액주머니는 환자의 흉부보다 낮게 유지한다.
카테터는 감염 위험성 때문에 24시간 내지 48시간 내에 제거하도록 한다. 천자부위
에는 멸균드레싱을 한다.
-참고문헌-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2004), 유해영, 현문사. p.501
항생제 종류를 기록한다.
천자부위에 출혈과 혈종이 있는지를 관찰한다.
⑦ 검사 후 활력징후를 면밀히 기록한다(15분마다 4번, 30분마다 4번, 1시간 마다 4번,
매 4시간마다 측정). 혈압하강과 맥박상승 시는 출혈을 의미한다. 체온상승은 감염을
나타낸다. 만일 지속적인 배액을 위해 카테터가 삽입된 채 있다면 피부에 튜브를 봉합
하고, 멸균된 드레싱을 해야한다. 카테터를 멸균배액 주머니에 연결하고, 흉강내로
배액이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액주머니는 환자의 흉부보다 낮게 유지한다.
카테터는 감염 위험성 때문에 24시간 내지 48시간 내에 제거하도록 한다. 천자부위
에는 멸균드레싱을 한다.
-참고문헌-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2004), 유해영, 현문사. p.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