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일본과 우리나라문화의 차이점은 어디에 기초를 두고 바라보아야하는가.
본론 - 문화적 차이점들
Ⅰ-일본의 천황의 존재
Ⅱ-성에대한 인식 우리나라와 차이점
Ⅲ-식사 예절
Ⅳ-목욕 문화
Ⅴ-일본의 다양한 축제들
결론 - 일본이란 .
본론 - 문화적 차이점들
Ⅰ-일본의 천황의 존재
Ⅱ-성에대한 인식 우리나라와 차이점
Ⅲ-식사 예절
Ⅳ-목욕 문화
Ⅴ-일본의 다양한 축제들
결론 - 일본이란 .
본문내용
로인해 매일 목욕을 하게되고,
만약 손님이 찾아왔을시 먼저 욕탕에 들어가도록 배려해주고 그다음 그물을 버리지않고 돌아가면서 쓴다고한다. 물온도도 한국보다는 조금더 높게 한다고한다.
○일본의 다양한 축제들
축제는 그나라의 문화를 대표적으로 볼수있는 활동으로 볼수있다. 일본은 마츠리의 나라다.그다지 넓지도 않은 땅에서 일년 365일 하루라도 마츠리가 끊이지 않고 열린다.스스로 “마츠리의 국민”이라고 부르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심지어는 “오늘을 위해 일년을 기다렸다”라고 말할 만큼 일본 국민의 마츠리에 대한 정열과 관심은 대단하다.마츠리는 우리말로 흔히 “제사”, 또는 “축제”라는 말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다.
마츠리는 그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다. 우선 개인 차원에서 인생의 각 마디마다 행해지는 통과의례를 필두로, 각 집(家:이에)에서 한해를 주기로 행해지는 연중행사들, 어떤 집단이나 조직 또는 지역사회에서 행하는 각종 의례 및 행사, 그리고 천황이 행하였던 국가적 단위의 그것에 이르기까지 마츠리가 가지는 스펙트럼은 대단히 넓다. 종교시설과의 관련에서 보면 신사를 중심으로 행해지는 것과 사원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것 혹은 이 양쪽이 혼합된 양상의 것도 모두 마츠리라 불리 운다. 계절별로도 정월부터 파종과 모심기 철에 걸쳐 행해지는 춘제(春祭), 음력 6월에 행해지는 하제(夏祭), 수확 후에 행해지는 추제(秋祭), 그리고 12월의 동제(冬祭)가 있다. 하지만 오늘날의 마츠리는 이런 종교적인 성격을 벗어나, 일본의 지방자치의 가치확립과 친목도모, 관광상품의 개발 등에 좀더 비중이 두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쉽게 말하면 페스티발, 카니발의 성격으로 점점 변하고 있다고볼수있다. 역사가짧은 마츠리 같은 경우 즉 현대에 들어서 만들어진 마츠리경우에는 상업적 성격이 강하게 띄는것이 특징이다.
유명한 일본의 3대 마츠리에 대해 살펴보면,
1. 도쿄 칸다(神田) 마츠리
치요다쿠(千代田區)에 위치한 칸다는 헌책방가로 유명한 곳이다. 이 칸다의 마츠리는 도쿠나가 이에야스(德永家康)가 세키가하라(關ヶ原)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벌인 축제가 그 기원이다. 매년 5월 14일에서 15일에 행해진다. 과거에는 히에(日枝) 신사와 산노(山王) 마츠리, 후카가와(深川) 마츠리와 함께 에도(江戶)의 3대 마츠리의 하나로 에도시대 \'마츠리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108개의 자치회에서 90개의 미코시(御輿)를 선보일 정도로 그 규모는 엄청나다. 칸다 주민뿐만 아니라 은행이나 일반 기업들도 참가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칸다(神田) 태생은 에독코(江っ子 · 에도 토박이)의 대표라고 할 정도로 칸다(神田)는 에도(江)(지금의 도쿄) 번화가의 중심이었다. 칸다마쓰리(神田祭)는 칸다묘진(神田明神)에서 5월에 거행되는 제례(祭)이다. 다른 도쿄의 마쓰리와 마찬가지로 미코시의 토교(渡御)가 주체(主)이다. 에독코(江っ子)는 위세(威勢)가 좋아 걸핏하면 싸우려 드는 사람들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칸다마쓰리(神田祭)는 위세(威勢)가 좋아 에도의 꽃이라고도 한다. 현재는 옛날만큼의 인파는 볼 수 없지만 도쿄의 3대 마쓰리의 하나로 되어 있다.
. 교토 기온(祇園) 마츠리
고대 일본의 수도였던 교토에는 고대 일본의 유산들이 많이 남아 있어 문화유산을 느낄 수 있는 도시이다. 기온 마츠리는 일본 중요 무형민속문화재로 약 1100년 전에 전염병을 퇴치하기 위해 기원했던 어령회(御靈會)가 그 기원이다. 매년 7월 1일부터 31일까지 행해진다. 기온 마츠리의 하이라이트는 17일에 있는 야마보코 행진으로, 거대한 야마보코가 교토 시내를 행진한다. 이 야마보코를 보기 위해 각 지역뿐만 아니라 세계각국에서
만약 손님이 찾아왔을시 먼저 욕탕에 들어가도록 배려해주고 그다음 그물을 버리지않고 돌아가면서 쓴다고한다. 물온도도 한국보다는 조금더 높게 한다고한다.
○일본의 다양한 축제들
축제는 그나라의 문화를 대표적으로 볼수있는 활동으로 볼수있다. 일본은 마츠리의 나라다.그다지 넓지도 않은 땅에서 일년 365일 하루라도 마츠리가 끊이지 않고 열린다.스스로 “마츠리의 국민”이라고 부르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심지어는 “오늘을 위해 일년을 기다렸다”라고 말할 만큼 일본 국민의 마츠리에 대한 정열과 관심은 대단하다.마츠리는 우리말로 흔히 “제사”, 또는 “축제”라는 말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다.
마츠리는 그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다. 우선 개인 차원에서 인생의 각 마디마다 행해지는 통과의례를 필두로, 각 집(家:이에)에서 한해를 주기로 행해지는 연중행사들, 어떤 집단이나 조직 또는 지역사회에서 행하는 각종 의례 및 행사, 그리고 천황이 행하였던 국가적 단위의 그것에 이르기까지 마츠리가 가지는 스펙트럼은 대단히 넓다. 종교시설과의 관련에서 보면 신사를 중심으로 행해지는 것과 사원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것 혹은 이 양쪽이 혼합된 양상의 것도 모두 마츠리라 불리 운다. 계절별로도 정월부터 파종과 모심기 철에 걸쳐 행해지는 춘제(春祭), 음력 6월에 행해지는 하제(夏祭), 수확 후에 행해지는 추제(秋祭), 그리고 12월의 동제(冬祭)가 있다. 하지만 오늘날의 마츠리는 이런 종교적인 성격을 벗어나, 일본의 지방자치의 가치확립과 친목도모, 관광상품의 개발 등에 좀더 비중이 두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쉽게 말하면 페스티발, 카니발의 성격으로 점점 변하고 있다고볼수있다. 역사가짧은 마츠리 같은 경우 즉 현대에 들어서 만들어진 마츠리경우에는 상업적 성격이 강하게 띄는것이 특징이다.
유명한 일본의 3대 마츠리에 대해 살펴보면,
1. 도쿄 칸다(神田) 마츠리
치요다쿠(千代田區)에 위치한 칸다는 헌책방가로 유명한 곳이다. 이 칸다의 마츠리는 도쿠나가 이에야스(德永家康)가 세키가하라(關ヶ原)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벌인 축제가 그 기원이다. 매년 5월 14일에서 15일에 행해진다. 과거에는 히에(日枝) 신사와 산노(山王) 마츠리, 후카가와(深川) 마츠리와 함께 에도(江戶)의 3대 마츠리의 하나로 에도시대 \'마츠리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108개의 자치회에서 90개의 미코시(御輿)를 선보일 정도로 그 규모는 엄청나다. 칸다 주민뿐만 아니라 은행이나 일반 기업들도 참가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칸다(神田) 태생은 에독코(江っ子 · 에도 토박이)의 대표라고 할 정도로 칸다(神田)는 에도(江)(지금의 도쿄) 번화가의 중심이었다. 칸다마쓰리(神田祭)는 칸다묘진(神田明神)에서 5월에 거행되는 제례(祭)이다. 다른 도쿄의 마쓰리와 마찬가지로 미코시의 토교(渡御)가 주체(主)이다. 에독코(江っ子)는 위세(威勢)가 좋아 걸핏하면 싸우려 드는 사람들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칸다마쓰리(神田祭)는 위세(威勢)가 좋아 에도의 꽃이라고도 한다. 현재는 옛날만큼의 인파는 볼 수 없지만 도쿄의 3대 마쓰리의 하나로 되어 있다.
. 교토 기온(祇園) 마츠리
고대 일본의 수도였던 교토에는 고대 일본의 유산들이 많이 남아 있어 문화유산을 느낄 수 있는 도시이다. 기온 마츠리는 일본 중요 무형민속문화재로 약 1100년 전에 전염병을 퇴치하기 위해 기원했던 어령회(御靈會)가 그 기원이다. 매년 7월 1일부터 31일까지 행해진다. 기온 마츠리의 하이라이트는 17일에 있는 야마보코 행진으로, 거대한 야마보코가 교토 시내를 행진한다. 이 야마보코를 보기 위해 각 지역뿐만 아니라 세계각국에서
추천자료
전경갑씨의 `일상 속의 한국 문화` 서평
한국의 신세대 일본의 신세대 소비형태 비교
한국 일본의 초등 체육교육과정 비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 일본 제도의 비교&#6538...
한국과 일본 축제의 비교를 통한 한국 지역 축제의 발전방향
[비교문학] 만세전
[예체능] 동양화 서양화 비교
동양화 서양화 비교
[국제경영] 한일 대학생 문화 비교
한․중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비교고찰
돈에 관한 한불(한국, 프랑스) 속담 비교
한국과 미국의 빈곤정책 비교분석
전통건물을 통한 한국과 일본의 건축형식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