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통신 결합 서비스에 대한 분석(통신사 SKT, LGT, KT)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결합서비스
1.1 정의
1.2 등장 배경
1) 제로-섬 게임(Zero- Sum Game)
2)신규 서비스 확산
1.3 결합서비스 효용
1) 결합서비스는 고객 이탈률을 축소
2) 결합서비스는 가입자당 매출(ARPU, Average Revenue Per User)을 증대
3) 결합서비스는 사업자들의 전반적인 비용을 감소
1.4 결합서비스 유형
1) DPS(Double Play Service) : 통신, 방송 서비스 중 2가지를 묶어 할인 판매.
2) TPS(Triple Play Service) : 통신, 방송 서비스 중 3가지를 묶어 할인 판매.
3) QPS(Quadruple Play Service) : 통신, 방송 서비스 중 4가지를 묶어 할인 판매.

2. 통신결합서비스
2.1 각 통신 사업자별 결합상품 현황
2.2 통신결합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식조사

3. 결론

본문내용

체 변경 시 단말기 보조금이나 각종 혜택이 주어진다. 그런데 결합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와 같은 혜택이 주어지고 있는가? 물론 한 서비스업체에 충성도가 높은 고객으로서 할인율과 마일리지 서비스 등이 제공되겠지만 단품으로 구입할 때 주는 보조금, 경품, 단말기 보조금 등이 지급될까? 현재 통신업체들은 신규고객 확보에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이미 확보된 고객에는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행태를 보인다. 고객들 또한 이미 잡아놓은 물고기에게는 먹이를 주지 않는 통신업체의 행태를 알고 있다. 결합서비스를 고객들이 신뢰할 것인가에 대해서 회의적인 생각이 든다. 결합상품은 결국 다른 기존의 개별 상품들에 비해 유인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지 못하다. 결합상품을 또한 가입절차도 까다로울 것 같기도 하고 귀찮기도 해서 신청 안하는 것 일수도 있다. 정말 필요하다면 아무리 가입절차가 까다롭고 귀찮아도 신청할 것이다. 때문에 이런 이유로 신청하지 않는 것 역시 결합상품의 유인력의 문제이다.
세 번째는 첫째에서 언급한 내용 중 사용자에 대한 이야기이다. 결합서비스의 주사용자는 자녀와 젊은이들이다. 와이브로와 IPTV등은 사용자들의 욕구를 자극하여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브로와 IPTV는 그만한 질적 가치를 가지는가? 와이브로와 IPTV는 이제막 인프라와 컨텐츠가 생성되고 있는 단계이다. 아직 사용료도 적지 않으며, 컨텐츠의 질과 양도 부족하다. 지금의 마케팅 전략을 고수할 생각이라면 사용자가 돈을 지불하는 사람들을 조르고 흔들 수 있는 양과 질 측면에서 매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지만, 현재 서비스는 그러하지 못하다.
통신결합서비스 판매점유율 2009년 7월 1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연구보고서 '방송통신 융합시장의 획정‘ 인용기사 참조 http://www.ibtimes.co.kr/article/news/20090701/3228634.htm
1) 초고속인터넷 + 유선전화 45%
2) 초고속인터넷 + 유선전화 + 이동전화 13%
3) 초고속인터넷 + 인터넷전화 12%
4) 초고속인터넷 + 유선전화 + IPTV 10%
초고속인터넷과 유선전화의 결합은 기존 KT 유선전화의 기본료가 절감되는 확실한 유인요인이 있어 점유율이 급격하게 높아졌지만 이동전화나 IPTV, 와이브로 등과 결합된 상품은 아직 많은 점유율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3. 결론
종류에 있어서 다양하고 많은 광고 선전을 하지만 결합상품은 그에 비해 매우 저조한 가입자 수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결합상품이 사람을 끄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결합상품 자체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그것을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인 것 같다. 그러므로 각 회사는 가장 먼저 사람들에게 필요성을 자극할 만한 파격적이고 양과 질 측면에서 매력을 가지고 있는 결합상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앞으로 해 나가야할 첫 번째 과제인 것 같다. 그리고 회사는 광고 선전의 양을 늘리기 보다는 결합상품을 가입할 수 있는 집안의 경제권을 가진 사람을 타깃으로 광고의 방향을 돌려야 한다. 그것이 두 번째 과제이다. 광고 선전의 수만을 늘릴 것이 아니라 이런 여러 가지의 방향으로 향후 방안들을 검토해야 한다.
참고자료
변정욱 외, 통신서비스 결합판매에 관한 이론적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6.10
강신원, 결합서비스의 정책평가 및 주요이슈, 산업경제연구, 2008.10
이영수, 통신시장의 새로운 트렌드, 결합서비스, LG경제연구원, 2004.5
김희수 외, 방송통신 융합시장의 획정,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7
http://www.sktelecom.com/
http://www.kt.com/
http://www.lgtelecom.com/

키워드

한국,   방송,   실태,   현황,   통신사,   SKT,   결합서비스,   문제점
  • 가격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2.19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16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