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분장애(Mood Disorders)의 정의
우울증
조증
기분장애의 진단
우울증 삽화의 진단 기준 (DSM-Ⅳ)
조증 삽화의 진단
기분장애의 원인
우울장애의 원인
양극성장애의 원인
기분장애의 특징
우울장애의 특징
양극성장애의 특징
기분장애의 경과 및 예후
우울장애의 경과 및 예후
양극성장애의 경과 및 예후
기분장애의 상담 및 치료
우울장애의 상담 및 치료
양극성장애의 상담 및 치료
우울증
조증
기분장애의 진단
우울증 삽화의 진단 기준 (DSM-Ⅳ)
조증 삽화의 진단
기분장애의 원인
우울장애의 원인
양극성장애의 원인
기분장애의 특징
우울장애의 특징
양극성장애의 특징
기분장애의 경과 및 예후
우울장애의 경과 및 예후
양극성장애의 경과 및 예후
기분장애의 상담 및 치료
우울장애의 상담 및 치료
양극성장애의 상담 및 치료
본문내용
증상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에 대한 과대만상적인 사고
공격적, 성적 행동화
과잉운동, 안절 부절의 증상
자살에 대한 사고
기분장애의 경과 및 예후
우울장애의 경과 및 예후
양극성 장애에 비해 비교적 예후가 좋음
빠르게 또는 서서히 발생함
치료하면 삽화 기간이 짧아짐
우울장애의 재발빈도는 20년에 5~6회 정도임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우울증의 기간은 길어지는 경향
우울증 때의 예후상의 문제는 자살위험이 심각하다는 것
발병시기가 어릴수록 예후는 좋지 않음
가족지지가 있을 때, 사춘기시절 친구가 있었을 때, 인격장애가 없을 때, 발병이 늦을 때, 증상 이 경할 때, 정신병적 양상이 없을 때, 입원기간이 짧을 때는 예후가 좋음
※ 아동, 청소년기의 우울장애가 좋지 않은 이유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이 불량
정신치료에 대한 방응의 불완전
불안증상, 불안장애, 품행장애, 반항장애,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 장애등이 공존
양극성장애의 경과 및 예후
대개 우울증으로 장애가 시작
빠르게 발병하여 수일 내지 수개월 지속
조증이 계속되면 사회생활이 파괴되거나 약물중독이 되기 쉽고 과잉활동으로 신체 탈진, 심장장애 가 오기도 함
병전 직업적 기능이 나쁠 때, 알코올의존이 있을 때, 정신병적 양상이 있을 때, 우울증이 혼합될 때, 남자일 때 예후가 나쁨
조증삽화가 짧을 때, 나이가 많을 때의 발병, 자살의도가 적을 때, 다른 정신과적 문제가 없을 때 예후가 좋음
※ 주의 : 양극성장애와 ADHD의 혼동
기분장애의 상담 및 치료
우울장애의 상담 및 치료
※ 자살의 방지 우선
→ 우울한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보살피고 자살도구로 이용될 만한 물건들이 눈에 보이지 않게 함
1) 심리치료(인지치료)
인지적 왜곡을 찾아내어 교정함으로써 보다 더 현실적이고 긍정적인 사고와 신념을 지니도록 유 도
인지적 재구조화, 자기통제, 자기감시등 내담자를 우울하게 만드는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역 기능적 신념을 찾아내고 변화시키기 위한 기법 활용
(A-B-C 기법, 소크라테스식 대화법, 일일기록표 방법)
치료과정
① 우울하게 만드는 환경적 생활사건과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탐색
② 환경적 생활사건에 대한 내담자의 해석재용, 즉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현실적 타당성 검토
③ 생활사건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대안적 해석을 탐색해 보고 이러한 적응적 사고 내 용을 대체하게 하여 그 결과로 우울장애상이 완화되고 변화되는 과정을 살피기
④ 보다 근원적인 인지적 원인인 역기능적 신념을 탐색하여 그것의 현실성, 합리성, 유용성에 대해 논의
※ 어린나이 : 놀이치료
2) 행동치료기법
행동치료에서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최대한의 강화를 얻을 수 있도록 내담자가 대인 관계적 상호작용에서 효과적으로 가능하도록 도움
대처기술훈련, 사회기술훈련, 의사소통훈련, 자기주장훈련, 문제해결능력 기르기 적용
3) 정신 역동치료
자존감의 향상, 초자아의 조정, 자아의 강화 치료
4) 약물치료
항우울제인 이미프라민, MAO억제제, 프로잘, 파록세틴(세로토닌 재흡수 억재재)
※ 우울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지닐 뿐 우울장애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치료방법은 아님
양극성장애의 상담 및 치료
1) 심리치료(인지치료)
자기애나 과대사고로 가려진 자존감 저하, 비판에 대한 예민한 반응, 부정, 상실에 대한 극도의 과민 반응 등에는 정신치료가 중요
스트레스 자극 및 증상에 대한 대처기술 습득, 의사소통 기술 훈련
사회적인 지지와 통합, 삶의 질 측면 : 가족교육을 통한 지지적 환경 조성 필요
※ 자신과 가족, 사회의 피해방지 노력
2) 약물치료
항정신병 약물치료, 기분안정제(리튬)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에 대한 과대만상적인 사고
공격적, 성적 행동화
과잉운동, 안절 부절의 증상
자살에 대한 사고
기분장애의 경과 및 예후
우울장애의 경과 및 예후
양극성 장애에 비해 비교적 예후가 좋음
빠르게 또는 서서히 발생함
치료하면 삽화 기간이 짧아짐
우울장애의 재발빈도는 20년에 5~6회 정도임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우울증의 기간은 길어지는 경향
우울증 때의 예후상의 문제는 자살위험이 심각하다는 것
발병시기가 어릴수록 예후는 좋지 않음
가족지지가 있을 때, 사춘기시절 친구가 있었을 때, 인격장애가 없을 때, 발병이 늦을 때, 증상 이 경할 때, 정신병적 양상이 없을 때, 입원기간이 짧을 때는 예후가 좋음
※ 아동, 청소년기의 우울장애가 좋지 않은 이유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이 불량
정신치료에 대한 방응의 불완전
불안증상, 불안장애, 품행장애, 반항장애,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 장애등이 공존
양극성장애의 경과 및 예후
대개 우울증으로 장애가 시작
빠르게 발병하여 수일 내지 수개월 지속
조증이 계속되면 사회생활이 파괴되거나 약물중독이 되기 쉽고 과잉활동으로 신체 탈진, 심장장애 가 오기도 함
병전 직업적 기능이 나쁠 때, 알코올의존이 있을 때, 정신병적 양상이 있을 때, 우울증이 혼합될 때, 남자일 때 예후가 나쁨
조증삽화가 짧을 때, 나이가 많을 때의 발병, 자살의도가 적을 때, 다른 정신과적 문제가 없을 때 예후가 좋음
※ 주의 : 양극성장애와 ADHD의 혼동
기분장애의 상담 및 치료
우울장애의 상담 및 치료
※ 자살의 방지 우선
→ 우울한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보살피고 자살도구로 이용될 만한 물건들이 눈에 보이지 않게 함
1) 심리치료(인지치료)
인지적 왜곡을 찾아내어 교정함으로써 보다 더 현실적이고 긍정적인 사고와 신념을 지니도록 유 도
인지적 재구조화, 자기통제, 자기감시등 내담자를 우울하게 만드는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역 기능적 신념을 찾아내고 변화시키기 위한 기법 활용
(A-B-C 기법, 소크라테스식 대화법, 일일기록표 방법)
치료과정
① 우울하게 만드는 환경적 생활사건과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탐색
② 환경적 생활사건에 대한 내담자의 해석재용, 즉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현실적 타당성 검토
③ 생활사건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대안적 해석을 탐색해 보고 이러한 적응적 사고 내 용을 대체하게 하여 그 결과로 우울장애상이 완화되고 변화되는 과정을 살피기
④ 보다 근원적인 인지적 원인인 역기능적 신념을 탐색하여 그것의 현실성, 합리성, 유용성에 대해 논의
※ 어린나이 : 놀이치료
2) 행동치료기법
행동치료에서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최대한의 강화를 얻을 수 있도록 내담자가 대인 관계적 상호작용에서 효과적으로 가능하도록 도움
대처기술훈련, 사회기술훈련, 의사소통훈련, 자기주장훈련, 문제해결능력 기르기 적용
3) 정신 역동치료
자존감의 향상, 초자아의 조정, 자아의 강화 치료
4) 약물치료
항우울제인 이미프라민, MAO억제제, 프로잘, 파록세틴(세로토닌 재흡수 억재재)
※ 우울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지닐 뿐 우울장애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치료방법은 아님
양극성장애의 상담 및 치료
1) 심리치료(인지치료)
자기애나 과대사고로 가려진 자존감 저하, 비판에 대한 예민한 반응, 부정, 상실에 대한 극도의 과민 반응 등에는 정신치료가 중요
스트레스 자극 및 증상에 대한 대처기술 습득, 의사소통 기술 훈련
사회적인 지지와 통합, 삶의 질 측면 : 가족교육을 통한 지지적 환경 조성 필요
※ 자신과 가족, 사회의 피해방지 노력
2) 약물치료
항정신병 약물치료, 기분안정제(리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