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비타민 .
Ⅱ 지용성비타민 .
ⅰ 비타민 A.
ⅱ 비타민 D.
ⅲ 비타민 E.
ⅳ 비타민 K.
Ⅲ 수용성 비타민 .
ⅰ 비타민 B1 - Thianin (티아민)
ⅱ비타민 B2 - Riboflavin
ⅲ 비타민 B3 - Nicotinic acid (나코틴산)
ⅳ 비타민 B5 - Pantothenic acid (판토텐산)
ⅴ 비타민 B6 - Pyridoxine (피리독신)
ⅵ 비타민 B9 - Folic acid (폴산, 엽산)
ⅶ 비타민 B12 - Cyanocobalamin
ⅷ 비타민C (Ascorbic Acid)
ⅸ 비오틴 (Biotin)
ⅹ 판토텐산 (Pantothenic acid)
Ⅱ 지용성비타민 .
ⅰ 비타민 A.
ⅱ 비타민 D.
ⅲ 비타민 E.
ⅳ 비타민 K.
Ⅲ 수용성 비타민 .
ⅰ 비타민 B1 - Thianin (티아민)
ⅱ비타민 B2 - Riboflavin
ⅲ 비타민 B3 - Nicotinic acid (나코틴산)
ⅳ 비타민 B5 - Pantothenic acid (판토텐산)
ⅴ 비타민 B6 - Pyridoxine (피리독신)
ⅵ 비타민 B9 - Folic acid (폴산, 엽산)
ⅶ 비타민 B12 - Cyanocobalamin
ⅷ 비타민C (Ascorbic Acid)
ⅸ 비오틴 (Biotin)
ⅹ 판토텐산 (Pantothenic acid)
본문내용
비타민 B9 - Folic acid (폴산, 엽산)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로 보통은 엽산으로 잘 알려져 있다. 화학식은 C19 H15 N7 O6이며 자연계에서는 트리 또는 헵타글루타밀펩티드의 형태로 존재한다. 1941년에 시금치 잎에서 처음 추출되었고 1945년에 결정화와 화학합성이 이루어졌다. 인체에 미량 필요하며, 결핍시에는 빈혈이나 혈소판 감소를 일으킨다.
ⅶ 비타민 B12 - Cyanocobalamin
- 암적색의 결정 또는 분말로 무미·무취이며, 성분이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인 영양강화제이다. 화학식은 C63H88CoN14O14P 이다. 물에는 잘 녹으나 에테르, 클로로포름, 아세톤에는 잘 녹지 않는다. 무수물은 흡습성이 강하다. 비타민B12의 수용액은 중성이며, pH 4.5∼6.0에서 가장 안정하며 알칼리 조건에서는 천천히 분해된다. 산화제와 ascorbic acid, sulfate와 같은 환원제, 중금속이온에 의해서 불활성화 되어 효력이 없어진다.
ⅷ 비타민C (Ascorbic Acid)
- 화학식 C6H8O6. 아스코르브산은 괴혈병에 특효가 있는 물질로 발견되었으며, 1928년 헝가리의 A.센트죄르지가 소의 부신피질로부터 분리하였다. 현재는 소르보오스로부터 케토굴론산을 거쳐 공업적으로 합성되고 있다.
ⅸ 비오틴 (Biotin)
비타민 B 복합체에 속한다. 비타민 H라고도 한다. 많은 동식물의 생육에 필요하다. 쥐의 항난백 장애인자이며, D-비오틴만이 활성을 가진다. 장내세균에 의해 합성되며, 그 일부가 흡수되어 이용된다.
ⅹ 판토텐산 (Pantothenic acid)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로 보통은 엽산으로 잘 알려져 있다. 화학식은 C19 H15 N7 O6이며 자연계에서는 트리 또는 헵타글루타밀펩티드의 형태로 존재한다. 1941년에 시금치 잎에서 처음 추출되었고 1945년에 결정화와 화학합성이 이루어졌다. 인체에 미량 필요하며, 결핍시에는 빈혈이나 혈소판 감소를 일으킨다.
ⅶ 비타민 B12 - Cyanocobalamin
- 암적색의 결정 또는 분말로 무미·무취이며, 성분이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인 영양강화제이다. 화학식은 C63H88CoN14O14P 이다. 물에는 잘 녹으나 에테르, 클로로포름, 아세톤에는 잘 녹지 않는다. 무수물은 흡습성이 강하다. 비타민B12의 수용액은 중성이며, pH 4.5∼6.0에서 가장 안정하며 알칼리 조건에서는 천천히 분해된다. 산화제와 ascorbic acid, sulfate와 같은 환원제, 중금속이온에 의해서 불활성화 되어 효력이 없어진다.
ⅷ 비타민C (Ascorbic Acid)
- 화학식 C6H8O6. 아스코르브산은 괴혈병에 특효가 있는 물질로 발견되었으며, 1928년 헝가리의 A.센트죄르지가 소의 부신피질로부터 분리하였다. 현재는 소르보오스로부터 케토굴론산을 거쳐 공업적으로 합성되고 있다.
ⅸ 비오틴 (Biotin)
비타민 B 복합체에 속한다. 비타민 H라고도 한다. 많은 동식물의 생육에 필요하다. 쥐의 항난백 장애인자이며, D-비오틴만이 활성을 가진다. 장내세균에 의해 합성되며, 그 일부가 흡수되어 이용된다.
ⅹ 판토텐산 (Pantothenic aci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