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정책결정모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가 많음을 쓰레기통 모형에서는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쓰레기통 모형의 가장 큰 공헌의 하나는 의사결정의 네 가지 요소가 서로 아무런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움직일 수 있음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마치 네 가지의 독자적인 흐름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 쓰레기통의 의사결정 과정은 네 가지의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첫째, 문제가 없는 경우에도 해결책이 제안될 수 있다. 1970년대 조직에 컴퓨터가 도입된 경우를 예로 들면 컴퓨터 생산자와 시스템 분석가들이 컴퓨터의 도입을 주도했으나 오히려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둘째, 선택된 해결책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의사결정 당시에는 적절한 대안도 높은 불확실성 하에서는 기대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셋째,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지속된다. 의사결정자는 문제에 익숙해지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포기하게 된다. 혹은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을 알지 못하여 문제가 지속된다.
넷째, 일부 문제는 해결된다. 의사결정 과정이 문제가 악화되는 방향으로 진전되지는 않는다. 쓰레기통 모형을 컴퓨터로 시뮬레이트하였을 때 중요한 문제는 해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선택이 이루어질 때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직은 문제를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결론적으로 이 모형은 앞에서 논의한 질서 있고 합리적인 모형과는 거리가 있다. 정책결정자가 문제해결을 위해 행동을 취한다기 보다는 반대로 해결책이 문제를 탐색하게 된다. 결정자는 특정한 상황에서 문제, 해결책, 참여자의 결합이 무제해결의 가능성을 보일 때만 특정한 문제를 향한 의지를 보이게 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2.29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35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