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생아1개월부터 36개월까지 연령별 언어발달단계 및 언어발달주요특징
신생아 1~3개월
생후 3개월
생후 3개월이후
신생아 4~6개월
신생아 7~9개월
생후 10~12개월
신생아 12~15개월
신생아 16~18개월
신생아 19~21개월
신생아 22~24개월
신생아 25~27개월
신생아 28~30개월
신생아 31~33개월
신생아 34~36개월
신생아 1~3개월
생후 3개월
생후 3개월이후
신생아 4~6개월
신생아 7~9개월
생후 10~12개월
신생아 12~15개월
신생아 16~18개월
신생아 19~21개월
신생아 22~24개월
신생아 25~27개월
신생아 28~30개월
신생아 31~33개월
신생아 34~36개월
본문내용
을 만들며 자기 자신의 이름을 사용하여 자신을 언급 혹은 강조한다. '이게 뭐니?' 등 간단한 질문에 정확한 대답을 할 수 있다.
생후 24개월
28~436개 정도의 어휘를 알고 186단어를 말할 수 있다.
신생아 25~27개월
(1) 혀, 이, 머리카락 등 몸의 세부적인 부분을 가리킨다.
(2) '크다/작다' '안에/밖에' '하나/많이'를 이해한다.
(3) 가족 등의 호칭을 인지하고 지적할 수 있다.
(4) 주로 2~3단어의 문장을 만들어 대화한다.
(5) 신체적 욕구에 대해 도움을 청한다. .
신생아 28~30개월
1) 일상적인 물건들의 그림과 이름을 인지한다.
(2) 단어와 그 단어가 지적하는 물체의 기능을 연결시킬 수 있다.
(3) 자신의 이름보다는 대명사를 사용해서 자신을 언급한다.
(4) 적어도 한 가지 색깔을 올바르게 말한다.
(5) 2가지 혹은 3가지 숫자를 정확히 따라 한다.
생후 28개월
글자를 모두 읽을 수 있다. 문자 카드로 읽기 훈련을 계속한다. 짧은 문장을 첨가한다. 1에서10까지의 숫자를 읽을 수 있다.
생후 29개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상자 속에 인형을 넣어'등 비교어를 계속 가르친다. '높다,낮다' 를 안다. '늘어났다,줄어들었다' 를 안다.
생후 30개월
3음절로 된 말을 따라 할 수 있다. 500단어 정도 말할 수 있다. 두 가지 숫자를 따라 할 수 있다. 30개월 된 아이는 질문하기를 좋아한다. "어디에 있어?"와 "누구야?" "뭐야?" "어디 가니" 나 "이게 다 뭐니" 와 같은 질문에 대답하기를 좋아한다
신생아 31~33개월
(1) 일상적인 동사를 이해한다.
(2) 매우 긴 복문을 이해한다.
(3) 대부분의 일상적인 형용사를 이해한다.
(4) 성별을 구분하고 자신의 성별과 이름을 말할 수 있다.
(5) 자신이 그린 그림을 보고 명명하거나 설명한다.
신생아 34~36개월
(1) 하루 이틀 전의 경험이나 사건을 기억하고 일관성 있게 말할 수 있다.
(2) 위,앞,아래,뒤 등의 위치를 이해한다.
(3) '컵 책상에 놓고 책 가져와' 등,두 가지 물체와 두 가지 동작이 혼합된 지시를 따른다.
(4) 동작 그림과 관련된 것을 동사를 사용해 말한다.
(5) 구어에서 과거 형태를 사용한다.
생후 34개월
같은또래를 안다. 1부터 10까지의 실수를 안다.
생후 35개월
'구슬을 7개 잡으세요' 등 많은 수 가운데에서 말하는 수의 물건을 집어 낼 수가 있다.
생후 36개월
어휘 구사력은 한 문장에 4개의 단어가 들어가는 복잡한 문장을 말할 수 있게 된다.
아이가 단어를 더 또렷이 발음할 수 있게 됨을 주목하라. 아이의 수용단어는 실제로 3년 이내에 수천 개로 증가한다. 게다가 아이가 3살이 되면 아이가 시간과 관련된 지시문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주어와 동사 그리고 목적어로 만들어진 문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주 유창하게 말한다. "우유를 더 먹고싶어" 와 같이 완전한 문장을 사용한다. 이제 '나는' 또는 '나를'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자기 자신을 지칭할 수 있다.
생후 24개월
28~436개 정도의 어휘를 알고 186단어를 말할 수 있다.
신생아 25~27개월
(1) 혀, 이, 머리카락 등 몸의 세부적인 부분을 가리킨다.
(2) '크다/작다' '안에/밖에' '하나/많이'를 이해한다.
(3) 가족 등의 호칭을 인지하고 지적할 수 있다.
(4) 주로 2~3단어의 문장을 만들어 대화한다.
(5) 신체적 욕구에 대해 도움을 청한다. .
신생아 28~30개월
1) 일상적인 물건들의 그림과 이름을 인지한다.
(2) 단어와 그 단어가 지적하는 물체의 기능을 연결시킬 수 있다.
(3) 자신의 이름보다는 대명사를 사용해서 자신을 언급한다.
(4) 적어도 한 가지 색깔을 올바르게 말한다.
(5) 2가지 혹은 3가지 숫자를 정확히 따라 한다.
생후 28개월
글자를 모두 읽을 수 있다. 문자 카드로 읽기 훈련을 계속한다. 짧은 문장을 첨가한다. 1에서10까지의 숫자를 읽을 수 있다.
생후 29개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상자 속에 인형을 넣어'등 비교어를 계속 가르친다. '높다,낮다' 를 안다. '늘어났다,줄어들었다' 를 안다.
생후 30개월
3음절로 된 말을 따라 할 수 있다. 500단어 정도 말할 수 있다. 두 가지 숫자를 따라 할 수 있다. 30개월 된 아이는 질문하기를 좋아한다. "어디에 있어?"와 "누구야?" "뭐야?" "어디 가니" 나 "이게 다 뭐니" 와 같은 질문에 대답하기를 좋아한다
신생아 31~33개월
(1) 일상적인 동사를 이해한다.
(2) 매우 긴 복문을 이해한다.
(3) 대부분의 일상적인 형용사를 이해한다.
(4) 성별을 구분하고 자신의 성별과 이름을 말할 수 있다.
(5) 자신이 그린 그림을 보고 명명하거나 설명한다.
신생아 34~36개월
(1) 하루 이틀 전의 경험이나 사건을 기억하고 일관성 있게 말할 수 있다.
(2) 위,앞,아래,뒤 등의 위치를 이해한다.
(3) '컵 책상에 놓고 책 가져와' 등,두 가지 물체와 두 가지 동작이 혼합된 지시를 따른다.
(4) 동작 그림과 관련된 것을 동사를 사용해 말한다.
(5) 구어에서 과거 형태를 사용한다.
생후 34개월
같은또래를 안다. 1부터 10까지의 실수를 안다.
생후 35개월
'구슬을 7개 잡으세요' 등 많은 수 가운데에서 말하는 수의 물건을 집어 낼 수가 있다.
생후 36개월
어휘 구사력은 한 문장에 4개의 단어가 들어가는 복잡한 문장을 말할 수 있게 된다.
아이가 단어를 더 또렷이 발음할 수 있게 됨을 주목하라. 아이의 수용단어는 실제로 3년 이내에 수천 개로 증가한다. 게다가 아이가 3살이 되면 아이가 시간과 관련된 지시문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주어와 동사 그리고 목적어로 만들어진 문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주 유창하게 말한다. "우유를 더 먹고싶어" 와 같이 완전한 문장을 사용한다. 이제 '나는' 또는 '나를'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자기 자신을 지칭할 수 있다.
추천자료
(아동행동연구) 아동의 언어발달 이론과 연령별 언어발달, 환경과 언어발달장애 보고서
언어지도 - 아동의 뇌 발달과 언어 발달과의 관계를 통한 언어 교육의 중요성과 4-5세 아동을...
유아문학이 언어발달과 영유아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에 대해 우선 논하시고 하나의 연령을 ...
[언어지도] 언어발달과 언어 및 언어발달 이론 (생득주의 이론, 행동주의 이론)
[언어지도] 유아 언어발달 -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과 음성 언어발달 (전언어기, 언어기) : 핵...
언어발달이론에 근거한 영유아 언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조사 - 행동주의, 생득주의 ...
[영유아기 언어발달] 영유아기 언어발달 과정, 영유아 언어교육 지침, 영유아 언어 영역, 연...
[영아발달 프로그램] 영아(0~만2세)의 신체발달, 언어발달, 사회성발달, 정서적 발달, 인...
언어발달을 설명하는 상호작용주의 이론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제한점과 시사점에 대해서 논...
[언어치료][정신지체의 언어치료 방법] 무발어 정신지체 - 정신지체아의 특징, 정신지체아의 ...
(유아발달 A형)유아기 사회인지발달과 언어발달의 특징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사회인지발달...
[2018 유아발달4A] 유아기 사회인지발달과 언어발달의 특징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사회인지발...
[유아발달 A형] 유아기 사회인지발달과 언어발달의 특징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사회인지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