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산주의에 그람시의 사고
2. 이중점 관점
3. 기동전과 진지전
4. 자생성과 지도
5. 마치며
2. 이중점 관점
3. 기동전과 진지전
4. 자생성과 지도
5. 마치며
본문내용
도 동맹을 맺는 것을 강조했고, 그러한 동맹을 점점 사회주의적 성격으로 강화시켜내기 위하여 당의 강화를 강조했던 것이다. 즉 두가지 지적 모두는 동맹의 확장과 사회주의적 강화를 위한 필요조건으로서 제시된 것이다. 이러한 언급은 당의 계급기반에 있어서 사회주의적 지향을 명확히 하는 당임을 하지만, 노동자계급뿐만 아니라 근로인민의 정치적 이해까지도 대변하는 당임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③ 당의 조직원리
그람시에게 있어서 구체적으로 당의 조직원리의 구체적 원칙에 대한 언급을 찾아보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그의 전 저작에 걸쳐 드러나고 있는 것은 관료제에 대한 경계와 지도와 피지도의 통일이라는 점이다.
그는 당내부에서 이룩해야 할 것은 운동의 집중화라고 주장하면서, 운동의 집중화라는 개념의 의미를 ‘실제 운동을 수행하는데 적합하도록 당의 조직을 부단히 다듬음, 밑으로부터 올라오는 염원과 위로부터 내려오눈 명령을 조화시키며 또한 하부의 일반 당원들로부터 나온 여러가지 요소를 지도기관의 견고한 틀 속에 부단히 주입해야 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그러할 때 정당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점은 당이 타성에 저항할 능력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라는 점을 경계하면서, 당의 주된 적을 관료제라고 규정한다. 그람시는 이러한 것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도와 피지도, 규율성과 창조성 등의 통일을 이야기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정확한 언급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는 그람시의 연구가 거의 대부분 현실운동 속에서 정립되었다기보다는 옥중에서 진행된 한계에 기인하는 바가 클 것이다.
③ 당의 조직원리
그람시에게 있어서 구체적으로 당의 조직원리의 구체적 원칙에 대한 언급을 찾아보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그의 전 저작에 걸쳐 드러나고 있는 것은 관료제에 대한 경계와 지도와 피지도의 통일이라는 점이다.
그는 당내부에서 이룩해야 할 것은 운동의 집중화라고 주장하면서, 운동의 집중화라는 개념의 의미를 ‘실제 운동을 수행하는데 적합하도록 당의 조직을 부단히 다듬음, 밑으로부터 올라오는 염원과 위로부터 내려오눈 명령을 조화시키며 또한 하부의 일반 당원들로부터 나온 여러가지 요소를 지도기관의 견고한 틀 속에 부단히 주입해야 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그러할 때 정당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점은 당이 타성에 저항할 능력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라는 점을 경계하면서, 당의 주된 적을 관료제라고 규정한다. 그람시는 이러한 것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도와 피지도, 규율성과 창조성 등의 통일을 이야기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정확한 언급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는 그람시의 연구가 거의 대부분 현실운동 속에서 정립되었다기보다는 옥중에서 진행된 한계에 기인하는 바가 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