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hrlich, 뷰렛, DNP-아미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hrlich, 뷰렛, DNP-아미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제목 Ehrlich test
2. 실험 일시 및 기후 12월 2일

3. 시약 및 기구
Ehrlich 시약 (50ml의 진한 염산에 5g의 p-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를 소량 씩 가하여 녹인것)
글리신, 트립토판, 알부민

4. 서론 및 원리

본문내용

란색 트립토판은 적색 알부민은 노란색을 나타내었다. Ehrilch시약은 인돌 유도체, 방향족아민, 우레이드 등과 반응하여 색깔을 띄는데 트립토판에는
방향족 아민이 있기 때문에 Ehrlich시약과 반응하여 적색을 나타내는 것이다. 하지만 글리신과 알부민에는 Ehrilch시약과 반응 할 수 있는 인돌 유도체라든지 방향족아민, 또는 우레이드같은 것들이 없기 때문에 반응을 하지 않는다.
1. 실험 제목 Biuret test
2. 실험 일시 및 기후 12월 2일
3. 시약 및 기구
- 알부민, 글루타티온, 글리신
CuSO4·5H2O, NaOH
4. 서론 및 원리
뷰렛반응
- 단백질의 알칼리성 수용액에 저농도 황산구리용액을 몇 방울 떨어뜨리면 뷰렛반응 시약 속에는 2가의 구리이온(Cu2+)이 들어 있기 때문에 청자~적자색으로 색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단백질 검출에 사용되는 단백질 발색반응. 발색은 구리(II)이온과 착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트리펩티드 이상의 펩티드도 같은 반응을 보이고, 발색률은 펩티드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다. 뷰렛(NH2CONHCONH2)에서도 같은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사용한다. 단백질 정량에도 사용하지만 감도가 낮다.이 결점을 개량한 것으로 페놀시약에 의한 반응과 조합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단백질 뿐 아니라 단 몇 개의 펩티드결합을 가지고 있는 펩티드도 검출 할 수 있다.
뷰렛 [biuret]
- 두 분자의 요소가 130℃의 가열상태에서 결합된 형태로 반추가축에게 급여시에 요소보다 분해율이 낮아 중독성이 적고 안정성이 높은 비단백태 질소화합물. 분자식은 NH₂CONHCONH₂, 카바모일요소. 일반적으로 얻어지는 것은 1수화물이며, 무수물의 융점은 196~197℃이다.
Millon 시험방법
① 3개의 시험관과 시약을 준비
② 시험관에 각각의 시료용액 2ml을 넣음
③ CuSO4용액 2방울을 넣음
④ 2ml의 NaOH 용액을 넣음
⑤ 잘섞음
⑥ 용액의 색 비교
Biuret 시험 결과 및 고찰
알부민
글루타티온
글리신
반응 후 색변화
회색
갈색
청색
고찰
- 3개의 시험관과 시약을 준비한 후 시험관에 각각의 시료용액 알부민, 글루타티온, 글리신을 2ml씩 넣고 CuSO4용액 2방울을 넣은다음, 2ml의 NaOH 용액을 넣어주고 잘 섞으면 용액의 색이 변하기 시작 한다. 알부민과 글루타티온은 처음에 적갈색으로 변하였다. 그리고 글리신은 약간 푸른색을 띄며 투명했다. 그러다 시간이 점점 지나니까 알부민은 회색으로 바뀌었고 글루타티온은 적갈색으로 그대로 있었다. 글리신은 청색으로 바뀌었다. 원래 알부민은 단백질이므로 자색이나 적색을 띄어야 하는 것이 정상인데, 무슨 이유 인지 모르게 탁하고 어두운 회색으로 바뀌었다.
결론
- 뷰렛반응은 단백질 검출에 사용되는 단백질 발색반응이다. 발색은 구리(II)이온과 착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트리펩티드 이상의 펩티드도 같은 반응을 보인다.
·알부민: 글로불린과 함께 세포의 기초물질을 구성하며 거의 모든 동물과 많은 식물 조직에 존재하는 단순단백질
·글루타티온: 생체에서 뽑아낸 최초의 결정성 폴리펩티드
·글리신: 가장 간단한 아미노산의 중 하나이며 아미노산 중에서 비대칭 탄소원자를 가지지 않는 유일한 것
이렇게 알부민과 글루타티온, 글리신은 Biuret test에서 반응을 해 색이 변해야 하는데 이번에 우리가 실험을 했지만 알부민은 청색이나 적색을 나타나지 않았다.
1. 실험 제목 DNP-아미노산의 합성
2. 실험 일시 및 기후 12월 2일
3. 시약 및 기구
- 글리신, NaHCO3, 1-플루오르-2,4-디니트로벤젠(FDNB)
에탄올(95%), 에테르, 1M HCl, 분별 깔대기
4. 서론 및 원리
DNP-아미노산
- 2,4-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DNFB)과 아미노산을 약알칼리성으로 반응시켜 조제하는 아미노산. α-, ε-아미노기, α-이미노기 외에 히스티딘의 이미다졸기, 티로신의 히드록실기, 시스테인의 SH와도 반응하여, 각각의 디니트로페닐(DNP)유도체를 부여한다. α-DNP아미노산은 황색을 띠고, 산성에서는 355nm, 알칼리성에서는 360nm부근에 흡수극대가 있다.
Sanger 반응
- DNA 염기서열 결정방법의 일종. 효소에 의한 DNA 복제 과정 중 dideoxynucleotide analog를 이용하여 특정 염기서열에서 복제 과정을 중단시킴으로써 합성된 DNA의 길이 차이에 근거하여 염기 배열 순서를 결정.
DNP-아미노산 합성 실험방법
① 0.1g의 글리신과 0.2g의 NaHCO3 를 소량의 물에 함께 녹인 용액을 준비
② 그 용액에 FDNB용액 (13.5ml의 에탄올에 1g의 FDNB을 녹인것)을 가함
③ 상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기에 올려서 돌려줌
④ 에탄올을 증발시켜 버림
⑤ 1N HCl을 적당한양 넣음
⑥ 에탄올 10ml와 증류수 10ml를 넣고 분별깔때기를 이용함
⑦ 물층과 기름층을 분리
⑧ 물층은 버리지 말고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감압여과
⑨ 결정을 얻은 후 말림
⑩ 무게를 잼
DNP-아미노산 합성 결과
·큰 거름종이 + 작은 거름종이 + 결정무게 2.12 g
·큰 거름종이 1.52 g
·작은 거름종이 0.31 g
----------------
·결정 무게 0.29 g
고찰
- 0.1g의 글리신과 0.2g의 NaHCO3 를 소량의 물에 함께 녹인 용액을 준비하고 그 용액에 FDNB용액 (13.5ml의 에탄올에 1g의 FDNB을 녹인 것)을 가해준다. 그리고 상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기에 올려서 돌려준 후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1N HCl을 적당한양 넣는다. 에탄올 10ml와 증류수 10ml를 넣고 분별깔때기를 이용하여 물 층과 기름 층을 분리하고 물 층은 버리지 않고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감압여과를 시킨 다음 결정을 얻은 후 말린 무게를 재보니 노란색 결정 2.12g이 나왔는데 거름종이 무게를 빼니 0.29g이 나왔다.
결론
- DNP-아미노산 합성 실험을 통해 DNP-아미노산의 결정의 색은 노란색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수득률을 구해보지 않아서 제대로 합성이 이루어진 것인지의 여부는 알 수 없으나 다른 조들과의 결과 값들을 비교해보니 실험이 잘못 된 것 같지는 않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20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4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