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리스토텔레스, 과학적 시간론의 기초를 세우다.
1. 아리스토텔레스의 출발점
2. 아리스토텔레스의 문제 제기
3. 운동과 시간
4. 지금의 성격
5. 시간과 수의 관계
6. 시간의 인식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론‘ 에 대한 저의 생각
※References
1. 아리스토텔레스의 출발점
2. 아리스토텔레스의 문제 제기
3. 운동과 시간
4. 지금의 성격
5. 시간과 수의 관계
6. 시간의 인식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론‘ 에 대한 저의 생각
※References
본문내용
종교라는 것은 믿음을 기반으로 하는 것인데, 믿음이 없는 일반인들은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가 의문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영혼이 있다고 했는데 영혼이 존재한다는 맹목적인 믿음만이 있을 뿐이지 과학적인 증거라든지 실험을 통한 입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즉 영혼이 정말 있는가? 에 대한 대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간을 인식하는 것은 누구인지 또한 알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 시대에는 영혼이 있다는 것이 진리이고, 법칙이긴 했겠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시간을 ‘지금’을 중심으로 파악했습니다. 자연과학적으로 판단할 때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고, 현대인이 사용하는 시계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의 시간관은 전통적이고 통상적*과학적인 시간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운동 및 수와 관련시켜서 파악함으로써 측정의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습니다. 그는 시간을 자연의 차원에서 파악했고, 거기에서는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 양상이 주제화되지 않습니다. 시간 양상은 시간을 의식의 차원에서 파악할 때 그 의식의 양상으로서 드러나는 것입니다.
그는 페리클레스 시대를 정점으로 찬란했던 그리스의 문화와 학술을 이끌었던 시대의 거목이었습니다. 보통 그를 판단할 때 스승 플라톤의 의견에 반대한다고 해서 반 플라톤 주의 라는 호칭이 따라다니고는 합니다. 스승 플라톤이 초감각적인 이데아의 세계를 존중한 것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에게 가까운, 감각되는 자연물을 존중하고 이를 지배하는 원인들의 인식을 구하는 현실주의 입장을 취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두 철학자가 대립되었다는 생각은 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의 철학에서 깊은 영향을 받아 출발하였고, 뒤에 독자적인 체계를 구축하는 데도 플라톤의 철학적 범주 안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그의 사상적 특징은 소여(所與)에서 출발하는 경험주의와 궁극적인 근거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근원성, 지식의 전부분에 걸친 종합성에 있습니다. 이는 상당부분 스승 플라톤의 영향을 받고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Report를 통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그의 시간에 대한 생각을 자세히 알 수 있었고, 그에 대한 저의 의견도 정리해 봤습니다. 철학에 관한 책은 거의 처음으로 읽는 것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이름난 석학의 말에 대해서 한낱 대학생이 생각을 하고, 그 생각을 적어본다 것이 우습게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제 자신에게는 막연한 것들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 무언가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보는 감사하고, 보람이 느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Report를 쓰고 있긴 하지만 꼭 Report 때문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읽어봐도 마음의 그릇을 넓혀 주는 좋은 책에 대해서 Report를 써서 스스로에게도, 교수님에게도 감사한 마음입니다.
앞으로 남아있는 수업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을 것 같고, 실제로도 집중해서 수업에 임하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References
시간의 철학적 성찰[소광희]
시간과 공간을 조각하다 [고명철, 권혁인]
네이버 백과사전
위키백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시간을 ‘지금’을 중심으로 파악했습니다. 자연과학적으로 판단할 때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고, 현대인이 사용하는 시계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의 시간관은 전통적이고 통상적*과학적인 시간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운동 및 수와 관련시켜서 파악함으로써 측정의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습니다. 그는 시간을 자연의 차원에서 파악했고, 거기에서는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 양상이 주제화되지 않습니다. 시간 양상은 시간을 의식의 차원에서 파악할 때 그 의식의 양상으로서 드러나는 것입니다.
그는 페리클레스 시대를 정점으로 찬란했던 그리스의 문화와 학술을 이끌었던 시대의 거목이었습니다. 보통 그를 판단할 때 스승 플라톤의 의견에 반대한다고 해서 반 플라톤 주의 라는 호칭이 따라다니고는 합니다. 스승 플라톤이 초감각적인 이데아의 세계를 존중한 것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에게 가까운, 감각되는 자연물을 존중하고 이를 지배하는 원인들의 인식을 구하는 현실주의 입장을 취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두 철학자가 대립되었다는 생각은 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의 철학에서 깊은 영향을 받아 출발하였고, 뒤에 독자적인 체계를 구축하는 데도 플라톤의 철학적 범주 안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그의 사상적 특징은 소여(所與)에서 출발하는 경험주의와 궁극적인 근거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근원성, 지식의 전부분에 걸친 종합성에 있습니다. 이는 상당부분 스승 플라톤의 영향을 받고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Report를 통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그의 시간에 대한 생각을 자세히 알 수 있었고, 그에 대한 저의 의견도 정리해 봤습니다. 철학에 관한 책은 거의 처음으로 읽는 것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이름난 석학의 말에 대해서 한낱 대학생이 생각을 하고, 그 생각을 적어본다 것이 우습게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제 자신에게는 막연한 것들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 무언가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보는 감사하고, 보람이 느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Report를 쓰고 있긴 하지만 꼭 Report 때문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읽어봐도 마음의 그릇을 넓혀 주는 좋은 책에 대해서 Report를 써서 스스로에게도, 교수님에게도 감사한 마음입니다.
앞으로 남아있는 수업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을 것 같고, 실제로도 집중해서 수업에 임하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References
시간의 철학적 성찰[소광희]
시간과 공간을 조각하다 [고명철, 권혁인]
네이버 백과사전
위키백과
키워드
추천자료
칸트의 공간과 시간에 대하여
토마스 쿤과 파라다임
능력심리학, 구안법, Herbert, J.Bruner, R Tyler, 교육과정의 학제적 접근, John Dewey
음악치료 연구
교육의 필요성
상상력의 교육학 -플라톤과 버슐라르를 중심으로-
국어 의미론 임지룡 요약,정리
데카르트의 철학
[실재론][실재주의][비판적 실재론][사회적 실재론]실재론(실재주의)의 개념과 실재론(실재주...
고대의 교육 및 중세의 교육, 교육학 수업 발표
세계 금융위기 이후 패러다임 쉬프트(Paradigm Shift)와 노사정의 대응전략, 원인, 특징, 전...
심리학개론 핵심문제
나는누구인가 나는 누구인가 레포트, 나는누구인가글쓰기, 나는 누구인가? who am I
조직 효과성 [접근방법, 영향, 인간적 요인, 리더십, 갈등관리, 동기유발, 구조적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