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부주의자의 부르즈와 사회에 대한 대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무정부주의자의 부르즈와 사회에 대한 대안

1. 무정부주의자들의 기본적 입장
2. 대표적 무정부주의적 사상가
3. 무정부주의적 노동조합주의
4. 나로드니크 운동

본문내용

영향과는 전혀 별개인, 1854년부터 1856년까지의 <크림전쟁>에서의 러시아의 굴욕적 패배와 1861년에 드디어 농노제 폐지를 단행한 정부가 제시한 조건에 대한 실망이었다. (농노에게 주어진 토지에 무거운 보상금이 부과되었고 촌락 자치체는 황제 지지 관리들의 엄격한 감시 아래 있었다).
체르니세브스키(N. G. Chernyshevsky: 1828-89)는 이러한 나로드니크 세대에게 영향력이 가장 큰 작가였다. 그는 마르크스의 작품을 거의 읽지 않은 것 같으나 그의 사상은 마르크스의 그것과 놀랄만큼 유사했다. 그는 구체적인 경제적 자료에 신중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간명하고 직설적인 문체로 서술했으며 (이점에 있어서 그는 마르크스보다 엥겔스에 더 가까웠는데, 중요한 점은 그가 지나친 “문어체”를 피했다는 것이다), 러시아에서 혁명을 완수하는데 있어서의 인민의 이니셔티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계급갈등은 역사적 발전에 있어서 필요한 요소이며 국가는 당연히 지배계급의 이익을 반영하며 권력을 장악한 계급은 그것을 평화적으로 내어놓으려 하지 않는 다는 사실을 그는 믿었다.
그러므로 후대의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체르니세브스키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고 그를 존경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레닌은 자신의 초기의 가장 중요한 한 팜플릿에 무엇이 행해질 것인가?란 명칭을 붙였는데, 체르니세브스키가 1863년에 동일한 제목의 아주 영향력있는 소설을 썼기 때문이다. ) 그러나 체르니세브스키는 러시아의 근대 산업사회로의 길은 기본적으로 서구의 그것과 다르다는 나로드니크적 관점-러시아 마르크스주의자들에 의해 단호히 거부되었다-을 가졌었다.
(19세기 말에 “마르크스주의자”란 용어의 의미를 더욱 모호하게 만든 것은 일단의 나로드니크 망명자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었던 마르크스 자신이 러시아는 서유럽의 자본주의 단계를 거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유망하게 개진한 사실이었다. 이 견해는 나로드니크에서 마르크스주의자로 전환한 사람들을 당혹하게 만들었다. 그들은 러시아 고유의 자치적 기구들은 사유재산제도와 경쟁적 개인주의 윤리의 도입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붕괴될 것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
체르니세브스키는 때를 달리하면서 산업을 조직함에 있어서 공동체의 지방분권을 찬양하기도 하고 합리적으로 형성된 국가의 역할을 예찬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대규모 산업의 바람직성에 대해서도 이중적 태도를 보여주었다. 여타의 나로드니크들도 그 문제를 놓고 의견이 분열되었지만, 그들은 무엇보다 한 가지 문제, 즉 농민대중의 心性문제에는 함께 열중하였다. 즉, 그들에 의한 혁명발발을 얼마나 기대할 수 있는가? 그들은 본래부터 얼마나 社會主義적인가? 그들은 도덕적-지적 엘리트와 같은 사람들의 지도력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가? 무기력한 그들을 봉기하게 할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폭력적 행동인가 아니면 평화적 선전인가? 등이 그것이다.
그와 같은 문제들은 변화되었지만 유사한 형식으로 후일 러시아의 마르크스주의자들에 의해 논의되었으며 또한 레닌주의의 기원에 관한 토론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그러나 그 실제적인 함축의미는 행동주의 열정이 가장 강렬했던 1870년대초 나로드니크들의 마음에 많이 자리잡고 있었다. 그 70년대 전반, 특히 1874년 여름에 수천명의 투쟁적인 학생들이 인민社會主義적 메시지를 전파하기 위해-그 메시지가 얼마나 보전될 것인지는 몰랐지만-그리고 러시아의 농민 대중에 관한 지식을 직접적으로 얻기 위해 농촌으로 확산되어갔다. 하지만 당시에 일컬어진 그대로 “인민에게로 나아가는 것”(Khozhdenie v narod)은 참여한 대부분의 젊은 행동주의자들에게는 극히 실망스런 경험이었다. 그들은 행동에 나설 준비가 되어 있는 피압박 농민을 만난 것이 아니라 거대한 문화적 차이에서 강화된 의심 몰이해 무관심 등에 부딪쳐야 했다. 학생들은 많은 경우 농민들에 의해 황제에 충성하는 경찰에 넘겨졌다. 그 운동은 1875년 봄에 단호하고 철저하게 억압되었다.
그 후 행동주의자들은 보다 더 격열하고 테러주의적인 방향으로 전환했다. 유명한 <인민의 意志>(Narodnaya Volya)黨은 1881년에 황제 알랙산더 2세를 암살하는데 성공했다. 동시에 암살자들이 발표한 宣言은 제헌의회 소집을 요구하였으나 다시한번 인민들의 냉담과 몰이해에 조우하였다. 그후 황제에 충성하는 관헌들은 특별한 잔인성과 철저성으로 나로드니크 혁명세력을 말살했다.
1881년은 한 세대 이상 지속된 나로드니크운동이 중단된 해였다. 1880년대와 1890년대에 러시아에서의 혁명에 대한 희망을 여전히 버리지 않은 다수의 젊은 지성인들은 마르크스주의로 눈을 돌렸는데 이 시기는 서구에서 마르크스주의가 널리 퍼져갈 때였다.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대한 그같은 관심은 특히 테러행위를 반대한 <黑土分割>(Black Partition)黨의 특징이었는데, 그들은 국가에 대한 테러보다 人民에 대한 선전과 민중意識의 고양이 혁명적 변화를 위한 절대적 전제조건이라고 주장했다. 그 신념은 쉽게 마르크스주의와 융합되어 갔으며, <黑土分割>黨의 지도자 중에는 후일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아버지”로 알려지게 된 플레하노프(George Plekhanov)도 있었다.
러시아에서 마르크스주의가 매력을 누렸던 것은 나로드니크가 명백히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마르크스적 社會主義가 서구에서 지도적인 社會主義이론으로서의 지위를 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890년대에 이르러 서구의 투자에 자극받은 왕성한 자본주의가 러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와 함께 농민들은 新工場들에서 자신들의 운명을 개척하기 위하여 토지와 농촌 공동체로부터 떠나왔는데 바로 나로드니크들이 저지하려고 한 사태의 발전이었다. 새로운 공장 프롤레타리아들은 그들의 反抗性을 파업이나 기타의 산업적 불안을 통하여 보여줌으로써 많은 혁명주의자들의 희망을 소생시켰다. 멀지 않아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미성숙된 노동운동 안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1898년에는 SPD를 의식적으로 모방한 <러시아 사회민주 노동자당> 혹은 그것의 러시아語 첫자를 딴 RSDRP가 창당되었다. 그리하여 러시아의 혁명사상에 새로운 章이 시작되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4.02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7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