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음식이다. 최근 정부에서 추진화하고 있는 한식세계화사업에 대해 얘기해 보자면 우선 음식은 문화다. 오랜 세월이 만들어낸 민족의 특별함이 음식에 녹아있다. 한식의 세계화는 향후 몇 년 안에 이룰 수 있는 단순한 과제가 아니다. 음식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는 일이 그렇게 쉽게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다. 가끔 나는 우리가 너무 조급해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한식세계화라는 타이틀 아래 눈에 보이는 가시적인 행사들을 이뤘으니, 이제 한식세계화가 되었을 것이다라고 생각한다면 시기상조인 것이다. 한식이 세계화된다는 것은 나라와 나라가 만나서 각국의 문화가 만나 또 다른 하나를 만들어 내는 일이다. 베트남의 쌀국수를 예로 들자면 우리나라로 넘어오며 본토의 그것 보다 짠 맛이 순화되었고, 그 양은 늘어났다. 베트남의 쌀국수가 우리의 식습관과 만나 현지화 된 것이다. 자장면, 피자, 쌀국수 등이 들어와 우리의 입맛을 사로잡은 것처럼 우리 한식도 세계의 문화에 자연스럽게 침투되어 그들의 입맛을 사로잡게 되는 문화와 융합되는 시간이 필요하다. 우리 모두 조급해 하기 보다는 더욱 정성을 들이고 함께 힘을 모아 한식세계화에 기여하기를 청하는 바다.
추천자료
TGIF의 마케팅 전략
마케팅 조사 - 팜스팜스를 다녀와서
[외식산업][외식업][음식업][외식][음식]외식산업(외식업)에 관한 고찰(외식산업(외식업)의 ...
한국의식생활
[중소기업창업론]떡카페 창업계획서(A+리포트)
유아식단작성, 분석
태국 카오산로드의 한정식 사업계획서
프렌차이즈-놀부(외식산업)의 성공사례
한스 비빔밥 해외 진출 사례 분석
다이어트...
사업계획서(목욕관리)
베니건스(BENNIGANS)의 아웃백(OUTBACK) 넘어서기위한 마케팅전략
전통과 현대의 중국음식문화 및 발전방향
<교수·학습지도안> (초등 5) 단원 : 학교급식 / 소단원 : 학교 우유급식 (우유의 영양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