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6,025
4,092
2,425
977
-199
322
IRR : 대략 29% 부근
경영진이 생각하는 기준수익률 14%보다는 훨씬 높음
<토론문제>
1. <한민투자신탁 사례중>
(1) 1년후: ,
2년후: ,
3년후: ,
4년후: ,
5년후:
(2) 1년후: ,
2년후: ,
3년후: ,
4년후: ,
5년후:
2. <한민투자신탁 사례중>
만기순이익=
할인율=15%
근거: 이 펀드의 최근 5년간 수익률이 15%이고, 나머지 펀드의 수익률 또는 그 이전의 투자수익률은 모르므로 15%가 가장 적합하기 때문임.
만원
3.
B사 선택시: 고정비 증가는 억, 변동비 절감은 억()이므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억
억
억
억
억
억억억년
그러므로 회수기간은 약 년
C사 선택시: 고정비 증가는 억, 변동비 절감은 억()이므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억
억
억
억
억
억억억년
그러므로 회수기간은 약 년
회수기간법에 의하면 B사 장비가 바람직함.
4. <통신기기제조사>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개
개
개
개
개
$
$
$
$
$
특허권은 $ 이하에 살 수 있으면 좋음.
5. <장씨>
제안1: 억
억(0.8929+0.7972+0.7118+0.6355+0.5674)
= 3.6048억
제안2: 억x3.6048=3.9653억
억-억억-0.5674억 = 0.4326억
3.9653억-0.4326억 = 3.5327억
∴ 제안1의 현재가치가 높으므로 제안 1이 더 바람직하다.
<연습문제>
1. <한민투자신탁 사례 중>
(1) 김씨의 투자금이 1억 원인 경우,
5년 후에 김씨가 받을 수 있는 금액 = 100,000,000 × = 161,051,000
투신사가 김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5년 후 회수한 금액
→ F = p = 100,000,000 = 201,135,718.75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김씨에의 지불금액 = 201,135,718.75 - 161,051,000
= 40,084,718.75
∴ 약 40,084,719 원
(2) 펀드 투자수익률이 연 20%인 경우,
5년 후에 김씨가 받을 수 있는 금액 = 50,000,000 × = 80,525,500
투신사가 김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5년 후 회수한 금액
→ F = p = 50,000,000 = 124,416,000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김씨에의 지불금액 = 124,416,000 - 80,525,500
= 43,890,000
∴ 43,890,000 원
(3) 펀드 투자수익률이 연 6% 인 경우,
5년 후에 김씨가 받을 수 있는 금액 = 50,000,000 × = 80,525,500
투신사가 김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5년 후 회수한 금액
→ F = p = 50,000,000 = 66,911,278.88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김씨에의 지불금액 = 66,911,278.88 - 80,525,500
= 약 -13,614,000
∴ 약 -13,614,000 원
(4) 펀드 투자수익률이 연 15%이지만 만기가 3년인 경우
3년 후에 김씨가 받을 수 있는 금액 = 50,000,000 × = 66,550,000
투신사가 김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3년 후 회수한 금액
→ F = p = 50,000,000 = 76,043,750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김씨에의 지불금액
= 76,043,750 - 66,550,000
= 9,493,750
∴ 약 9,494,000 원
(5) 펀드 투자수익률이 연 12%이고 만기가 7년인 경우
7년 후에 김씨가 받을 수 있는 금액 = 50,000,000 × = 97,435,855
투신사가 김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7년 후 회수한 금액
→ F = p = 50,000,000 = 110,534,070.37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김씨에의 지불금액
= 110,534,070.37 - 97,435,855
= 13,098,215.37
∴ 약 13,098,000 원
2. <한민투다신탁사 사례Ⅱ 중>
(1) 투신사가 이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5년 후 회수한 금액
처음 1년간 연 6% : 50,000,000 × (1 + 0.06) = 53,000,000
이는 다시 재투자되어 4년간 연 20% 증식되므로,
53,000,000 × = 109,900,800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이씨에의 지불금액
= 109,900,800 - 80,525,500
= 29,375,300
∴ 29,375,300 원
(2) 투신사가 이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5년 후 회수한 금액
처음 2년간 연 8% : 50,000,000 × = 58,320,000
이는 다시 재투자되어 3년간 연 18% 증식되므로,
58,320,000 × = 95,821,626.24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이씨에의 지불금액
= 95,821,626.24 - 80,525,500
= 15,296,126.24
∴ 약 15,296,126 원
3. <삼선전자 사례중>
(1) 회사채 할인율이 10%라면,
판매가격 =
조달자금 = 총 판매가격
= = 3,005.2 억 원
∴ 3,005.2 억 원
(2) 고객예탁금에 대한 이자율이 6%라면,
고객에의 지불금액(= 미래가치) = 3,005.2 ×
= 3579.32 억 원
금융기관들이 이 회사채를 매입함으로써 3년 후에 얻은 순이익은
이익 = 회수금액 - 지불금액
= 회사채 총 액면가격 - 고객에의 지불금액
= 4,000 - 3579.32
= 420.68
∴ 420.68 억 원
4. <삼선전자 사례Ⅱ 중>\\
이 금융기관이 1년 전에 삼선전자 회사채를 구입하기 위하여 지출한 금액을 구하면,
구입가격 = =
= 100 / 1.2250 = 81.63억 원
판매가격 = =
= 85.73억 원
이익 = 판매가격 - 구입가격
= 85.73 - 81.63 = 4.1억 원
투자수익률 =
= 4.1 / 81.63 = 0.0502(또는 5.02%)
∴ 이익 = 4.1억 원, 투자수익률 = 0.0502(또는 5.02%)
5.
28% +2% × = 약 29.0%
6,025
4,092
2,425
977
-199
322
IRR : 대략 29% 부근
경영진이 생각하는 기준수익률 14%보다는 훨씬 높음
<토론문제>
1. <한민투자신탁 사례중>
(1) 1년후: ,
2년후: ,
3년후: ,
4년후: ,
5년후:
(2) 1년후: ,
2년후: ,
3년후: ,
4년후: ,
5년후:
2. <한민투자신탁 사례중>
만기순이익=
할인율=15%
근거: 이 펀드의 최근 5년간 수익률이 15%이고, 나머지 펀드의 수익률 또는 그 이전의 투자수익률은 모르므로 15%가 가장 적합하기 때문임.
만원
3.
B사 선택시: 고정비 증가는 억, 변동비 절감은 억()이므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억
억
억
억
억
억억억년
그러므로 회수기간은 약 년
C사 선택시: 고정비 증가는 억, 변동비 절감은 억()이므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억
억
억
억
억
억억억년
그러므로 회수기간은 약 년
회수기간법에 의하면 B사 장비가 바람직함.
4. <통신기기제조사>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개
개
개
개
개
$
$
$
$
$
특허권은 $ 이하에 살 수 있으면 좋음.
5. <장씨>
제안1: 억
억(0.8929+0.7972+0.7118+0.6355+0.5674)
= 3.6048억
제안2: 억x3.6048=3.9653억
억-억억-0.5674억 = 0.4326억
3.9653억-0.4326억 = 3.5327억
∴ 제안1의 현재가치가 높으므로 제안 1이 더 바람직하다.
<연습문제>
1. <한민투자신탁 사례 중>
(1) 김씨의 투자금이 1억 원인 경우,
5년 후에 김씨가 받을 수 있는 금액 = 100,000,000 × = 161,051,000
투신사가 김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5년 후 회수한 금액
→ F = p = 100,000,000 = 201,135,718.75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김씨에의 지불금액 = 201,135,718.75 - 161,051,000
= 40,084,718.75
∴ 약 40,084,719 원
(2) 펀드 투자수익률이 연 20%인 경우,
5년 후에 김씨가 받을 수 있는 금액 = 50,000,000 × = 80,525,500
투신사가 김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5년 후 회수한 금액
→ F = p = 50,000,000 = 124,416,000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김씨에의 지불금액 = 124,416,000 - 80,525,500
= 43,890,000
∴ 43,890,000 원
(3) 펀드 투자수익률이 연 6% 인 경우,
5년 후에 김씨가 받을 수 있는 금액 = 50,000,000 × = 80,525,500
투신사가 김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5년 후 회수한 금액
→ F = p = 50,000,000 = 66,911,278.88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김씨에의 지불금액 = 66,911,278.88 - 80,525,500
= 약 -13,614,000
∴ 약 -13,614,000 원
(4) 펀드 투자수익률이 연 15%이지만 만기가 3년인 경우
3년 후에 김씨가 받을 수 있는 금액 = 50,000,000 × = 66,550,000
투신사가 김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3년 후 회수한 금액
→ F = p = 50,000,000 = 76,043,750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김씨에의 지불금액
= 76,043,750 - 66,550,000
= 9,493,750
∴ 약 9,494,000 원
(5) 펀드 투자수익률이 연 12%이고 만기가 7년인 경우
7년 후에 김씨가 받을 수 있는 금액 = 50,000,000 × = 97,435,855
투신사가 김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7년 후 회수한 금액
→ F = p = 50,000,000 = 110,534,070.37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김씨에의 지불금액
= 110,534,070.37 - 97,435,855
= 13,098,215.37
∴ 약 13,098,000 원
2. <한민투다신탁사 사례Ⅱ 중>
(1) 투신사가 이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5년 후 회수한 금액
처음 1년간 연 6% : 50,000,000 × (1 + 0.06) = 53,000,000
이는 다시 재투자되어 4년간 연 20% 증식되므로,
53,000,000 × = 109,900,800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이씨에의 지불금액
= 109,900,800 - 80,525,500
= 29,375,300
∴ 29,375,300 원
(2) 투신사가 이씨의 투자를 받아서 운영한 결과 5년 후 회수한 금액
처음 2년간 연 8% : 50,000,000 × = 58,320,000
이는 다시 재투자되어 3년간 연 18% 증식되므로,
58,320,000 × = 95,821,626.24
투신사 순이익 = 회수금액 - 이씨에의 지불금액
= 95,821,626.24 - 80,525,500
= 15,296,126.24
∴ 약 15,296,126 원
3. <삼선전자 사례중>
(1) 회사채 할인율이 10%라면,
판매가격 =
조달자금 = 총 판매가격
= = 3,005.2 억 원
∴ 3,005.2 억 원
(2) 고객예탁금에 대한 이자율이 6%라면,
고객에의 지불금액(= 미래가치) = 3,005.2 ×
= 3579.32 억 원
금융기관들이 이 회사채를 매입함으로써 3년 후에 얻은 순이익은
이익 = 회수금액 - 지불금액
= 회사채 총 액면가격 - 고객에의 지불금액
= 4,000 - 3579.32
= 420.68
∴ 420.68 억 원
4. <삼선전자 사례Ⅱ 중>\\
이 금융기관이 1년 전에 삼선전자 회사채를 구입하기 위하여 지출한 금액을 구하면,
구입가격 = =
= 100 / 1.2250 = 81.63억 원
판매가격 = =
= 85.73억 원
이익 = 판매가격 - 구입가격
= 85.73 - 81.63 = 4.1억 원
투자수익률 =
= 4.1 / 81.63 = 0.0502(또는 5.02%)
∴ 이익 = 4.1억 원, 투자수익률 = 0.0502(또는 5.02%)
5.
28% +2% × = 약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