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능력의 선천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각능력의 선천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 천재는 선천적인가 후천적인가
2.본론 : 지각능력은 선천적인가
3.결론 : 천재의 선천성

본문내용

히 그어져있기 때문에 천재는 결국 타고날 수밖에 없다는 점을 확실히 하고 싶었다. 그래서 ‘지각능력은 선천적이다.’ 라는 생각을 전제하에 두고 많은 책들과 논문들을 검토해보았다. 사실상 내 의견을 지지해주는 논문은 그렇게 많지 않았다. ‘지각능력은 선천적이다.’ 라고 단정해버리면 ‘왜’라는 의견이 더 이상 나올 수 없어 과학은 그 이상으로 발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는 후천성을 지지하는 논문이나 책이 더 많은것이 연구자들이 후천성에 초점을 맞추고 연구를 해 왔기 때문에 그에 관련한 증거자료가 더 많은 것일거라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나는 지각능력이 타고난것이라는 의견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몇 개의 책과 논문들을 발견했다. 이것은 ‘지각 능력이 후천적이다’라고 단정할 수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천재의 얘기로 돌아가보자. 서론에서도 말했듯 분명히 천재들은 일반인이 할 수 없는 일을 행해왔고, 그들로 인해 우리의 세계가 달라지기도 했다. 일반인과 다르기 때문에 그들이 ‘천재’로 불리는 것이다. 만약 천재들에게 타고난 능력이 없었다면 아무리 시간이 흘렀다 한들 이렇게까지 과학이 진일보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본문에서 내가 제시해온 증거들과 현재 천재들이 일반인은 상상할수도 일들을 계속해서 행하고 있는 것만 봐도 인간의 지각 능력에 선천적인 요소가 굉장히 많이 개입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김경란(2007). 지역사회 노인에서 머리둘레와 시공간능력과의 연관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영미·박형배·마기중(2006). 대전소재학생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과 시지각능력의 조사.
대한시과학회지, 8, 85-99.
김혜옥(1987). 취학전 아동의 부분과 전체지각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금택일랑(2010). (여기까지 밝혀졌다)뇌와 마음의 구조. 서울: (주)뉴턴코리아
손진훈·김연희·이경화·박세훈(2001). 공간지각 능력수준에 따른 활성화 뇌 영역의 차이:
fMRI 연구. 한국뇌학회지, 1, 201-209.
유영대(2006). 읽기부진아의 음운처리 능력 및 시지각 능력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정재권·김만원(1997).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의 부분-전체 지각능력. 특수교육학회지, 5,
1-25.
정재훈·이길재(1997). 유전과 환경이 쌍생아의 지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5, 67-74.
Clarke, Robert(2003). (천재들의)뇌. 해나무
David R. Hawkins(1997). 의식혁명. 한문화
Mesulam(1981). A cortical network for directed attention and unilateral neglect. Annuals of Neurology, 10, 309-25.
Michael(2008). 간단명료한 심리학. 서울: (주)시그마프레스
Wicks-Nelson & Israel(2009). 아동기 행동 장애. 서울: (주)시그마프레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6.02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