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중국의 역사와 문화 - 중국 고대문명의 형성과 발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중국의 고인류와 구석기 문화

2. 중국의 신석기 문화

3. 중국 신화의 세계 및 하 왕조의 실재

4. 상 왕조의 건립과 통치구조

5. 주 왕조의 건립과 통치구조

본문내용

삼감의 난이 있었음.
- 주공은 낙양에 낙읍을 건설, 이를 동방 통치를 위한 전진기지로 삼음. 대대적인 봉건 실시.
- 주의 영토는 실제로는 분할 통치되었던 듯 함.(성왕-종주, 주공-성주) 종주는 기원전 771년경 융적의 침입으로 파괴되고 성주로 수도를 옮겼는데 이때까지를 서주라 부름.
2) 천명사상과 봉건제, 종법제의 적용, 정전제
○ 천명사상 : 주나라가 상나라 침략을 합리화하고 정통성 확보를 위해 만든 지배 이념.
- 천명은 원래 하(夏)왕조에 있었으나, 하왕조 걸왕(桀王)의 실정(失政)으로 은의 시조였던 탕왕(湯王)에게 전수되었다. 이에 천명을 받은 탕왕은 하를 멸하고 은을 개국하여 천하를 통치하였다. 그러나 은나라 주왕(紂王)의 실정으로 은나라는 하늘의 신임을 잃고, 주나라의 문왕(文王)이 마침내 천명을 받았다. 이같은 논리는 주나라의 은 정벌과 통치를 합리화하고, 이를 통해 은나라 유민을 포섭·회유하려 했던 고도의 정략에서 나온 것이다.
- 단지 은나라 유민을 주 왕실의 정치적 영역으로 포섭·동화시키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 주 왕실 자체에 새로운 정치사상과 세계관을 수립하게 하려한 것이다.
○ 종법제도 : 중국의 주나라 때 성립한 종족(宗族)의 조직규정이다. 이는 대종(大宗)과 소종(小宗)으로 이루어진다.
- 대종은 제후(諸侯)의 적장자(嫡長子)이외의 아들을 별자(別子)로 하여 조(祖)로 삼고 적장자 상속으로 무한히 이어져 가도록 한 가계(家系)를 말한다.
- 이에 대하여 소종은 대종의 집안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적장자 자손의 남동생이 세운 가계이다. 소종의 특색은 고조·증조·조부·부·자의 5대 동안의 일족을 한 소종집단으로 정한 점이며, 세대가 내려감에 따라 고조도 하천하고 족(族)도 더욱 갈라져 나간다. 이 때문에 소종은 5세로써 바꾸는 종이라 일컬어지는데 그에 비해서 대종은 \'백세불천종(百世不遷宗)\'으로서 시조 이래의 소종집단을 거두어 종족의 중심이 된다.
○ 정전제 : 사방 1리의 토지를 우물 정(井)자로 아홉 등분하여 여덟 농가가 나누어 부치게 하고 가운데 땅은 공동으로 경작하여 조세로 바치게 했던 제도
- 주대에는 상나라의 정전제도를 그대로 이어받아 발전시켰다. 《맹자(孟子)》에 \"900무의 토지를 우물 정(井)자로 나누어 맨 가운데 땅을 공전(公田)으로 하여 공동경작하고 나머지를 여덟 가구에게 100무씩 나누어 경작하게 하되 공전을 먼저 경작한 다음 사전을 경작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데, 이는 정전제도의 구체적인 상황을 설명한 것이다.
- 고대 중국에 과연 이와 같은 정전제가 존재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아주 오래 전부터 다른 의견이 제기되어 왔는데, 현재 정전제도의 시행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의 견해로 나뉘어 있다.
>> 하나는 정전제가 분명히 존재했었다는 시각이다. 다만 그 형식과 성격, 출현시기 등에 대해서만 견해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 다른 하나는 정전제는 완전히 허구에 불과하다는 설이다. 《맹자》에 실려있는 정전의 기록은 고대 중국의 정치가들이 가졌던 이상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키워드

  • 가격4,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9.25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7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