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차 -
◆상지의 생체역학◆
어깨의 구조
어깨에 발생하는 일반적 상해
주관절의 구조
주관절의 움직임
주관절의 일반적 상해
◆하지의 생체역학◆
고관절의 구조
고관절에서의 움직임
고관절에 가해지는 부하
고관절의 일반적인 상해
슬관절의 구조
슬관절에서의 움직임
슬관절과 하지에 발생하는 일반적 상해
◆상지의 생체역학◆
어깨의 구조
어깨에 발생하는 일반적 상해
주관절의 구조
주관절의 움직임
주관절의 일반적 상해
◆하지의 생체역학◆
고관절의 구조
고관절에서의 움직임
고관절에 가해지는 부하
고관절의 일반적인 상해
슬관절의 구조
슬관절에서의 움직임
슬관절과 하지에 발생하는 일반적 상해
본문내용
전과 내전
- 대퇴골의 수평외전과 내전은 대퇴골이 외전 또는 내전하는 동안 고관절이 90° 굴곡되어 있을 때 일어난다.
▶ 고관절에 가해지는 부하
- 고관절은 중요한 체중지지관절이다. 똑바로 서 있는 동안 체중이 다리 사이로 고르게 분산될 때 각각의 고관절이 지지하고 있는 체중은 고관절 위쪽 신체분절의 1/2이거나 총체중의 약 1/3이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 각 고관절이 받는 총 부하는 지지하는 체중보다 더 크다. 왜냐하면, 크고 강한 고관절근육의 장력이 관절에 압축을 많이 가하기 때문이다.
- 보행의 지지구간 중 고관절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체중의 3~4배이다.
▶ 고관절의 일반적인 상해
(1) 골절
- 골반과 대퇴골은 크고 강한 뼈이지만, 고관절은 보행하는 동안에 체중의 4~7배의 반복적이며 높은 부하를 받게 된다.
- 대퇴골경의 골절은 골다공증이 있거나 쇠약한 노인층에서 주로 발생한다.
(2) 타박상
- 대퇴 앞부분의 근육은 접촉운동을 할 때 받는 타격을 견디기 위해 자리잡고 있다. 내부출혈과 타박상으로 인한 상해는 가벼운 것부터 심각한 것까지 다양하다.
(3) 좌상
- 대부분 일상생활의 활동에서는 고관절 굴곡과 슬관절 신전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 슬관절의 구조
- 슬관절은 큰 활액관절이며, 그 관절낭 속에는 세 개의 관절이 있다.
체중이 부하되는 세 개의 관절은 경골대퇴관절(tiobifemoral joint)의 두 개의 과(condylar)관절과 슬개대퇴관절(patellofemoral joints)이다.
(1) 경골대퇴관절
- 대퇴골과 경골의 내측 및 외측과 사이의 이중과관절로 슬개관절이 주요 경첩관절을 구성한다.
- 외측으로 약간의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인대를 제한하는 기능을 주로 하기 때문에 경첩관절이 변성된 것이다.
- screwint - home : 슬관절의 잠김상태를 만드는 신전의 마지막 몇 도에서 대퇴골에 대해 경골이 약간 외회전하는 현상이다.
(2) 반월판
- 경골과 대퇴골과 사이에 위치한 연골디스크이다.
- 반달 모양의 연골.
- 경골 플라토우의 관절 하간에 깊게 관여하고 슬관절의 충격흡수를 돕는다.
- 반월판이 제거된다면 경골대퇴관절의 스트레스는 무게부하보다 3배 이상 받을 것이다.
(3) 인대
- 많은 인대들이 슬관절에서 교차되는데, 그로인하여 안정성이 증가된다.
- 각 인대는 무릎의 탈구를 막을 수 있는 방향에 위치한다.
- 측부인대(내측, 외측) : 팔꿈치의 측부인대가 하는 기능처럼 무릎에서 외측 움직임을 방지한다.
- 십자인대(전, 후) : 슬관절이 굴곡 또는 신전하는 동안 경골조면에서 대퇴가 전방과 후방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제한하고, 또한 슬관절의 관신전을 제한한다.
- 장경인대 : 대퇴골 외측과와 경골의 외측결절에 단단하게 부착된 넓고 조밀한 근막의 띠이며, 무릎 부위의 전외측인대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슬관절에서의 움직임
(1) 슬관절을 지나는 근육
- 주관절과 같이 슬관절에서도 많은 두 관절근육들이 지나간다.
(2) 굴곡과 신전
- 굴곡이나 신전은 경골대퇴관절에서 이루어지는 주된 움직임이다.
(3) 회전과 수동적 외전과 내전
- 대퇴골과 관계되는 경골의 회전은 슬관절이 굴곡되어 있고 체중부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능하며, 거의 90° 굴곡일 때 회전능력이 최대가 된다.
▶ 슬관절과 하지에 발생하는 일반적 상해
(1) 스포츠 상해
(2) 인대상해
- 무릎 앞쪽에서 가해지는 지속적인 힘은 후십자인대의 좌상이나 파열, 무릎 뒤쪽에서의 힘은 전십자인대의 손상을 일으킨다. (자주 일어남)
(3) 반월판 상해
(4) 장경인대마찰증후군
(5) 연골연화증
(6) 정강이부목
- 대퇴골의 수평외전과 내전은 대퇴골이 외전 또는 내전하는 동안 고관절이 90° 굴곡되어 있을 때 일어난다.
▶ 고관절에 가해지는 부하
- 고관절은 중요한 체중지지관절이다. 똑바로 서 있는 동안 체중이 다리 사이로 고르게 분산될 때 각각의 고관절이 지지하고 있는 체중은 고관절 위쪽 신체분절의 1/2이거나 총체중의 약 1/3이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 각 고관절이 받는 총 부하는 지지하는 체중보다 더 크다. 왜냐하면, 크고 강한 고관절근육의 장력이 관절에 압축을 많이 가하기 때문이다.
- 보행의 지지구간 중 고관절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체중의 3~4배이다.
▶ 고관절의 일반적인 상해
(1) 골절
- 골반과 대퇴골은 크고 강한 뼈이지만, 고관절은 보행하는 동안에 체중의 4~7배의 반복적이며 높은 부하를 받게 된다.
- 대퇴골경의 골절은 골다공증이 있거나 쇠약한 노인층에서 주로 발생한다.
(2) 타박상
- 대퇴 앞부분의 근육은 접촉운동을 할 때 받는 타격을 견디기 위해 자리잡고 있다. 내부출혈과 타박상으로 인한 상해는 가벼운 것부터 심각한 것까지 다양하다.
(3) 좌상
- 대부분 일상생활의 활동에서는 고관절 굴곡과 슬관절 신전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 슬관절의 구조
- 슬관절은 큰 활액관절이며, 그 관절낭 속에는 세 개의 관절이 있다.
체중이 부하되는 세 개의 관절은 경골대퇴관절(tiobifemoral joint)의 두 개의 과(condylar)관절과 슬개대퇴관절(patellofemoral joints)이다.
(1) 경골대퇴관절
- 대퇴골과 경골의 내측 및 외측과 사이의 이중과관절로 슬개관절이 주요 경첩관절을 구성한다.
- 외측으로 약간의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인대를 제한하는 기능을 주로 하기 때문에 경첩관절이 변성된 것이다.
- screwint - home : 슬관절의 잠김상태를 만드는 신전의 마지막 몇 도에서 대퇴골에 대해 경골이 약간 외회전하는 현상이다.
(2) 반월판
- 경골과 대퇴골과 사이에 위치한 연골디스크이다.
- 반달 모양의 연골.
- 경골 플라토우의 관절 하간에 깊게 관여하고 슬관절의 충격흡수를 돕는다.
- 반월판이 제거된다면 경골대퇴관절의 스트레스는 무게부하보다 3배 이상 받을 것이다.
(3) 인대
- 많은 인대들이 슬관절에서 교차되는데, 그로인하여 안정성이 증가된다.
- 각 인대는 무릎의 탈구를 막을 수 있는 방향에 위치한다.
- 측부인대(내측, 외측) : 팔꿈치의 측부인대가 하는 기능처럼 무릎에서 외측 움직임을 방지한다.
- 십자인대(전, 후) : 슬관절이 굴곡 또는 신전하는 동안 경골조면에서 대퇴가 전방과 후방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제한하고, 또한 슬관절의 관신전을 제한한다.
- 장경인대 : 대퇴골 외측과와 경골의 외측결절에 단단하게 부착된 넓고 조밀한 근막의 띠이며, 무릎 부위의 전외측인대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슬관절에서의 움직임
(1) 슬관절을 지나는 근육
- 주관절과 같이 슬관절에서도 많은 두 관절근육들이 지나간다.
(2) 굴곡과 신전
- 굴곡이나 신전은 경골대퇴관절에서 이루어지는 주된 움직임이다.
(3) 회전과 수동적 외전과 내전
- 대퇴골과 관계되는 경골의 회전은 슬관절이 굴곡되어 있고 체중부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능하며, 거의 90° 굴곡일 때 회전능력이 최대가 된다.
▶ 슬관절과 하지에 발생하는 일반적 상해
(1) 스포츠 상해
(2) 인대상해
- 무릎 앞쪽에서 가해지는 지속적인 힘은 후십자인대의 좌상이나 파열, 무릎 뒤쪽에서의 힘은 전십자인대의 손상을 일으킨다. (자주 일어남)
(3) 반월판 상해
(4) 장경인대마찰증후군
(5) 연골연화증
(6) 정강이부목
추천자료
근력의 측정
심혈관계 건강사정
대상별 치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기획
뇌성마비 간략히 포인트 정리요약 !!
[스포츠과학]국내 프로농구선수들의 체격 및 기초체력의 특성 분석
ASO(Arteriosclerosis obliterans, 폐쇄성 동맥 경화증)
케이스스터디- spinal injury, 척수손상
해부생리 기출문제
길랑바레에 관한 고찰
[간호학]Guillan-barre syndrom
관절의 종류, 인대, 근육, 움직임, 골격(해부학)
[재활] 뇌졸중 환자의 포괄적인 재활치료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정의, 뇌혈관질환 원인, 뇌혈관질환 증상, 뇌질환]뇌혈관질환의 정...
척추손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