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남인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월남인에 대한 고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월남인이란 누구인가?
⑴ 월남 시기
⑵ 월남 동기
⑶ 월남 인구
⑷ 출신 계급

Ⅲ. 신화로서의 월남인 통념과
그 검증
⑴ 통념
⑵ 통념 검증

Ⅳ. 맺음말

본문내용

착촌 월남인의 구술사를 중심으로」한국산업사회학회, 경제와사회 제43권, 1999.
1947년 5~6월간의 개성 전재민 수용소 월남인의 월남동기 (단위 : %)
월남이유
생활난
귀향
구직
사상
상용(商用)
향학(向學)
총계

65.1%
29.5%
2.8%
1.6%
0.8%
0.3%
100%
를 보면 주로 생활난과 귀향 등의 동기로 남하했고, 사상적 동기는 극소수에 지나지 않았다. 이렇게 볼 때, 월남 동기는 정치·사상적 측면만이 존재했던 것이 아니고, 생활난, 귀향, 구직과 같은 비정치적 동기 또한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Ⅳ. 맺음말
이상에서 월남인들의 월남 시기, 월남 동기, 월남 인구, 출신 계급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기존 월남인에 대한 통념을 검증해보았다.
우선 월남인들의 월남 시기에 관하여, 한국 전쟁 이전 월남인의 수가 전쟁 이후 월남인의 수보다 월등히 많았다는 통념은 실제와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는 전시에 비해 이주의 선택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평시에 월남한 사람이 전시상황 이후보다 더 많다는 것으로, 남한 정권의 상대적 우월성을 나타내려는 정치적 의도가 작용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월남 동기 측면에서, 월남인 대부분의 월남동기가 반공이라는 정치·사상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해왔다. 그러나 월남인들의 월남동기를 심층적으로 살펴본 결과 농지개혁 및 재산몰수, 종교탄압, 생활난, 귀향, 구직과 같은 비정치적 동기 또한 다양하게 존재했으며, 이렇게 볼 때 기존의 통념과는 달리 정치·사상적 동기 이외에도 다양한 월남동기가 존재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밖에 월남인에 대한 강한 통념중 하나로써, 월남인의 대다수가 북한사회 내에서 중산층에 속하는 계층이었고, 그 위치가 월남 이후에도 지속되었다고 인식되어 왔으나 수치상의 조사결과를 살펴봤을 때, 일반 월남인의 경우, 특히 속초, 김제 등지의 월남인 정착지의 사람들의 경우 오히려 사회적 위치가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핀 바를 종합해보면 반공 이데올로기와 관련된 월남인에 대한 통념은 반공국가를 표방해 왔던 역대 정권의 상황 하에서 월남인들을 동원한 결과로서 상당한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실상 반공과는 거리가 먼 일반 월남인들은 거대한 이데올로기의 질곡에 의해 자신의 경험과 기억을 변형 또는 왜곡시켰던 것이다. 월남인들은 반공 이데올로기를 받아들이지 않는 한 ‘빨갱이’이라는 딱지로 인하여 남한에서 생존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 했으며 이 같은 상황에서 월남인들 사이에 상이한 월남 경험이 부각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귀옥 저, 「아래로부터 반공 이데올로기 허물기-정착촌 월남인의 구술사를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제43권, 한국산업사회학회 1999. pp. 234 ~ 261
김귀옥 저, 『이산가족 :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역사비평사, 2004.
김정구 저, 「6·25 전후 월남인들의 월남동기와 계급성에 관한 연구」,『사회평론』, 1992. pp. 242~257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9.2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8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