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부정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부정문과 부정문
 1) 부정문 설정의 기준 문제
 2) 부정소와 부정 서술어

2. 부정문과 부정 극어
 1) 극어(極語,polarity item)의 성격과 종류
 2) 특수한 구성에서의 부정 극어
 3) 부정 함축과 부정 극어
 4) 부정 극어와 동절 성분 조건 및 재구조화(再構造化,reconstructuring)

3.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
 1) 단형과 장형의 구별
 2) 단형과 장형의 차이
 3) ‘-지’와 어휘 선택 자질

4. ‘안’ 부정과 ‘못’ 부정
 1) 부정의 두 종류
 2) 순수 부정과 의도 부정
 3) 불능 부정과 불급 부정

5. 부정의 범위
 1) 전칭 부정과 부분 부정
 2) 단형 부정과 작은 범위 해석

6. 보문 뒤의 ‘이/기’와 ‘을/를’

7. 명사문의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

8. 부정 명령

본문내용

다.
라. 그런 일을 당하다니 참 안 됐다/*되지 않았다.
3) ‘-지’와 어휘 선택 자질
- 단형 부정과 장형 부정이 같은 것이라고 할 수는 없음. 장형 부정에는 단형 부정에 없는 어미 ‘-지’가 있음
○ 가. 그가 손을 잡지 아니하였다.
나. 그가 손을 안 잡았다.
4. ‘안’ 부정과 ‘못’ 부정
1) 부정의 두 종류
- ‘안’ 부정: ‘안(아니), 아니하다’ 부정으로 무표정적 부정. 순수 부정 또는 의도 부정
- ‘못’ 부정: ‘못, 못하다’ 부정으로 유표정적 부정. ‘상황 부정’의 의미
○ 가. ??쌀이 없어 그 집은 밥을 안 먹는다.
나. ??쌀이 없어 그 집은 밥을 먹지 않는다.
○ 가. 쌀이 없어 그 집은 밥을 못 먹는다.
나. 쌀이 없어 그 집은 밥을 먹지 못한다.
2) 순수 부정과 의도 부정
- ‘아니’를 순수 부정으로 보고 의도 부정과는 무관하게 볼 가능성이 있음. 그러나 ‘아니’가 완전한 순수 부정을 나타내기 보다는 용어에 따라 의도 부정을 뜻하기도 함
○ 가. *철수는 그 사실을 안 안다/알지 않는다.
나. *나는 그 사실을 안 깨달았다/깨닫지 않았다.
다. *나는 온기를 안 느꼈다/느끼지 않았다.
라. *그는 더위를 안 견디겠다/견디지 않겠다.
마. *나는 진리를 안 터득했다/터득하지 않았다.
3) 불능 부정과 불급 부정
- ‘못’ 부정은 동사에 대해서는 장형과 단형이 모두 가능하나, 형용사에 대해서는 단형 부정이 성립 하지 않는다.
○ 가. 철수가 요즈음 못 쉰다.
나. 철수가 요즘 쉬지 못한다.
○ 가. *영희가 못 예쁘다.
나. 영희가 예쁘지 못하다.
- 동사의 경우도 능력,의도,의지,정서적 반응 등의 표현일 경우 ‘못’ 부정이 불가할 수 있음
○ 가. *그녀는 못 변했다/변하지 못했다. <능력>
나. *나는 너를 못 때리마. <의도>
다. 나느 그 일에 마음이 못 내 킨다. <약속의지>
라. 우리는 그 일에 공감이 못 간다. <정서적 반응>
5. 부정의 범위
1) 전칭 부정과 부분 부정
- 부정이 어떤 요소를 부정하고, 부정 되지 못하고 하는 문제를 부정의 ‘범위(scope) 또는 작용역’이라 하며 wide scope narrow와 scope가 있다.
○ 가. 학생들이 다 가지는 않았다. <부분 부정>
나. 학생들이 다 안 갔다. <전칭 부정>
2) 단형 부정과 작은 범위 해석
- 전칭 부정의 경우도 두 가지 해석이 모두 가능하다.
○ 가. 그 사람만 안 갔다. <‘그 사람’의 범위가 큰 해석만 가능>
나. 그 사람만 가지 않았다.
다. 그 사람만은 안 갔다. <다른 사람도 갔음을 의미할 수 있음>
6. 보문 뒤의 ‘이/기’와 ‘을/를’
- 장형 부정의 ‘-지’뒤에는 ‘-이/가’와 ‘을(를)’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들은 격조사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격조사로 보기 어렵다.
- 부정문의 ‘-지’ 뒤에 나타나는 ‘이/가’나 ‘을(을)’를 주제 표시로 본다.
‘이/가’는 정적(靜的, stative)인 상황과 관련되는 주제 표시
‘을(를)’은 동적(動的, dynamic)인 상황과 관련되는 주제 표시
○ 가. 철수가 학교에 가지를/*가지가 않는다(아니한다).
나. 영희가 예쁘지가/예쁘지를 않다(아니하다).
다. 차가 가지를/가지가 않는다.
7. 명사문의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
- 명사 부정문(형용사 ‘이다’ 부정)은 흔히 ‘아니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래서 ‘아니다’에 의한 부정을 명사의 장형 부정이라고 할 수도 있으나, 명사문에도 ‘-지 아니하다’에 의한 부정이 가능하므로, ‘아니다’ 부정을 장형 부정이라 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
○ 가. 이것은 책이 아니다.
나. ?이것은 책이지 않습니다.
○ 가. 그는 적극적이다/적극적이 아니다/적극적이지 않다.
나. 그는 적극적이지 못하다/*적극적이 못이다.
다. 왜 그 사람이 네 은인이지 않고?
8. 부정 명령
- 부정 명령이나 청유는 특이하게 ‘말다’를 이용하지만 ‘말다’가 반드시 명령에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 가. 철수야, 거기를 떠나지 말아라.
나. 우리 이 자리를 떠나지 맙시다.
다. *철수야, 나를 떠나지 않아라/안 떠나라.
- 저주나 다짐을 뜻하는 경우, ‘안(아니하다)’ 명령이 쓰일 수 있고 형식은 명령, 청유이나 그 실제 효력은 다르다.
○ 가. 그 놈의 차가 움직이지 않아라/못 해라. <저주의 경우>
나. 안 쓰자, 안 입자, 안 먹자. <다짐의 경우>
○ 가. 나는 그가 가지 않기를/말기를 바란다.
나. 우리는 그가 떠나지 않았으면/말았으면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9.22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84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